연작장해(連作障害)
① 계속해서 한 작물을 재배하면 연작장해가 나타난다.
오래 전부터 예를 들면 가지科 식물(가지, 토마토, 감자, 담배 등)을 같은 밭에서 매년 계속해 서 재배하면
[이것을 연작(連作)이라고 한다] 작황이 나빠지기 때문에 5년 정도 간격을 두고서 그 사이에
다른 작물을 바꾸어서 재배하는 것[윤작(輪作)]이 좋다고 한다.
② 연작장해의 원인
ⅰ) 보통은 비료로서 주지 않는 미량의 특정물질을 그 식물이 계속해서 흡수하여 이듬해 부족 을 일으킨다.
ⅱ) 뿌리에서 배출하는 물질이 축적되어 자가중독을 일으킨다.
ⅲ) 그 식물의 감수성(感受性)이 높은 특정의 병해충이 재배지(栽培地)에 지나치게 만연되어 있 는 등이다.
③ 가지과 식물에서 특히 윤작(輪作)을 필요로 하는 것은 토양에서 유래하는 청고병(靑枯病), 위조병(萎凋病),
역병(疫病) 등 치명적인 병에 가지과 식물이 특히 감수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작장해는 흙 뒤집기를 하거나,
객토(客土 : 다른 곳에서 다량의 흙을 운반해서 상층부 에 깔이 주거나 넣어주는 것),
혹은 토양소독으로 방지 할 수 있다.
출처 : 시골로 간 꼬마
글쓴이 : 이명희 원글보기
메모 :
'농사일반 > 토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성 토양 . (0) | 2007.09.06 |
---|---|
알칼리화된 토양의 pH 조절방법 (0) | 2007.08.06 |
과수원 토양개량 드릴 이용하면 쉬워요” (0) | 2007.06.12 |
토양개량용으로 사용하는 숯가루와 목초액 (0) | 2007.06.06 |
석회질비료의 종류와 특성 (0) | 2007.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