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청경재배
나무 주위에서 과수 이외의 식물을 모두 제거하여 과수원을 잡초없이 깨끗하게 관리하는 방법을 청경재배라 한다. 청경하는 방법에는 잡초를 매거나 제초제를 사용하여 잡초가 자라지 못하게 하는 방법이다.
과수원에 사용하는 제초제는 크게 발아 억제제와 경엽처리제로 나눈다. 토양처리제는 지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잡초의 발아를 억제하는 약제로 잡초가 발아하기 전에 살포해야 효과적이며 다년생 잡초에서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경엽처리제는 초종에 따라 잘 듣고 안 듣는 비선택성과 선택성 제초제가 있다.
비선택성제초제는 흐린 날이나 오후에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선택성제초제는 이행성 제초제로 살초폭이 넓어 화본과 잡초, 광엽잡초, 숙근성잡초, 잡목 등에도 효과적이다.
2). 초생재배
과수원에 일년생이나 다년생 풀 또는 작물을 재배하거나 자연적으로 발생한 잡초를 키우는 것이 초생재배이다. 초생재배는 나무 밑에서 재배하기 때문에 일조가 부족하여도 잘 자랄 수 있는 풀, 근군이 깊지 않아서 과수의 양분이나 수분의 경합을 일으키지 않는 풀, 과수에 병충해를 옮기지 않는 풀을 골라 선택해야 한다. 과수원 초종으로는 캔터키 블루그라스, 자운영, 독새풀, 클로버 등이 이용되고 있다.
초생재배를 함으로써 표토의 침식이 방지되고 유기물의 증가로 지력이 증진된다. 초생재배시 수관밑은 풀을 없게 관리한다.
3). 멀칭재배
볏짚, 보릿짚, 풀 등을 지표면에 덮어 주는 방법을 멀칭재배라 한다.
토양에 멀칭을 하면 토양수분의 증발억제와 표토의 유실 방지에 효과가 높고 짚이나, 풀의 분해로 토양중에 무기태질소, 치환성 칼 리가 증가되는 경우가 많다.
4). 절충재배
청경, 초생, 멀칭재배 방법 중 둘 또는 세가지 방법을 절충 혼용하는 방법을 절충식재배라 부른다. 예를 들면 나무와 나무 사이는 초생재배를 하고 나무밑은 청경재배를 하는 부분 초생재배(sod with strip cultivation)법과 나무가 어릴 때는 잡초와의 양수분 경합을 피하기 위하여 나무 주위만 멀칭하는 부분 멀칭법이 있다. 평지 과수원에서는 나무 밑은 청경재배로 하고 줄사이는 초생재배하는 부분초생재배를 하는 것이 좋으며 경사지 과수원에서는 나무 사이를 초생재배하고 나무밑은 멀칭하여 토양 유실을 막는 절충식을 하는 것이 좋다.
과수원의 표토관리법을 종합하여 그 장단점을 보면 표 5-2와 같다. 이상에서 언급한 표토관리 방법은 과수원의 위치, 수령 등에 따라 다르지만 여러 방법을 절충하여 과수원의 표토를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일 경우가 많다.
〈표 5-2〉 표토관리 방법의 장단점 비교 |
관리방법 |
장 점 |
단 점 |
청 경 법 |
①초생과의 양수분 경합이 없 다. |
①토양이 유실되고 영양분의 소실이 쉽다. |
초 생 법 |
①유기물의 적당한 환원으로 지력이 증진된다. |
①과수와 초생식물과 양수 분 경합이 있다. |
부 초 법 |
①토양 침식을 방지한다. |
①이른봄에 지온 상승이 늦어 진다. |
과수는 영년성, 심근성 작물로 근군의 깊이가 과수 생육에 큰 영향을 주므로 재식 후 해가 갈수록 토양의 영향을 더 많이 받게 된다. 과수원 토양은 표토뿐만 아니라 심토의 물리성과 화학성이 다같이 과수재배에 적합해야 한다.
1). 토양 개량 목표
감은 심근성으로 토심이 깊은 토양에서 수량성이 높고 품질이 좋다. 따라서 안정생산 및 품질향상을 위하여 깊이갈이와 유기물시용, 관수 및 배수의조절, 산성화방지를 위한 석회시용, 토양의 표면관리 및 경사지의 토양유실방지 등과 같은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표 5-3> 감나무의 뿌리 분포 상태 |
토양깊이별 |
뿌리크기와 수직분포 비율(%) |
총 뿌리무게에 대한 | ||
굵은뿌리 |
중간크기의 뿌리 |
잔뿌리 | ||
0∼20㎝ |
2.6 |
1.6 |
4.3 |
0.61 |
20∼40 |
32.1 |
7.2 |
19.4 |
2.73 |
40∼70 |
54.7 |
71.1 |
31.1 |
4.37 |
70∼100 |
7.6 |
14.9 |
37.4 |
5.28 |
100이상 |
3.5 |
4.6 |
7.8 |
1.09 |
<표 5-4> 과수원 토양 개량 목표 |
항 목 |
목 표 치 | |
물 리 성 |
유효토심 |
60㎝ 이상 |
지하 30㎝ 부위의 수분 함량 |
pH 2.7 | |
화 학 성 |
pH(H2O) |
6.0∼6.5 |
고토(마그네슘) 함량 |
2me/100gr | |
유 기 물 함 량 |
3% 이상 |
2). 깊이갈이와 유기물의 시용
깊이갈이는 토양을 부드럽게 하고 통기성을 증가시켜 뿌리의 호흡과 생리작용을 원활하게 하며, 가는뿌리의 밀도를 증가시켜 시비효과를 증대시키는 동시에 보수력과 보비력을 증가시켜 필요에 따라 계속적인 양분흡수를 가능케 하고 가뭄의 피해를 경감시킨다.
한편 약제살포에 의한 동제와 비소제 등의 표토 축적을 경감시킨다. 그러나 토층구조가 잘 발달되어 경토가 깊고 배수가 잘되는 토양은 그러한 토층구조의 유지를 위해 심경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5-5> 깊이갈이와 유기물시용이 뿌리분포에 미치는 영향 |
심 도 |
개량후 2년차 |
개량후 5년차 | |||||
관행 |
깊이갈이 |
깊이갈이 |
관행 |
깊이갈이 |
깊이갈이 | ||
(㎝) |
━━━━━━━━━(뿌리g/100㎖ 토양)━━━━━━━━━ | ||||||
10∼30 |
45.8 |
39.0 |
35.5 |
202.2 |
93.6 |
86.8 | |
40∼60 |
4.8 |
41.3 |
40.9 |
25.8 |
109.7 |
120.5 | |
70∼90 |
0 |
36.3 |
35.3 |
0 |
97.0 |
102.3 |
깊이갈이 시기는 휴면기에 실시하되 뿌리가 절단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깊이갈이의 깊이는 깊을수록 좋으나 많은 노력이 소요되므로 80㎝ 깊이로 하고 유기물이 고루 섞이게 한다. 지하수위가 높고 배수가 불량한 곳에서 부분적인 깊이갈이를 하게 되면 물이 고이게 되므로 암거를 겸한 도랑식 깊이갈이가 바람직하다.
3). 토양개량제의 이용
감은 야산 또는 경사진 산지를 개간하여 과원을 조성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러한 토양은 토심이 낮고 부식함량이 적으며, 표토유실과 아울러 염류의 용탈이 심하여 강산성 토양이 많다.
감은 산성토양에 강한 나무이지만 생육에 적합한 토양산도는 pH 5.6∼6.5 정도의 미산성 토양이므로 석회와 유기물을 시용하여 산성토양을 개량함과 아울러 토양완충능을 증가 시켜야 한다.
근래 감에 있어서도 생리적 장해 과실의 발생이 많이 나타나고 있음은 화학비료 위주의 거름주기와 토양염류의 불균형에서 발생하는 것이 많으므로 깊이갈이와 아울러 유기물의 증시 등 연속적인 토양개량제의 시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과일나무재배 > 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감재배관리-기상재해 분야 (0) | 2007.07.28 |
---|---|
거름주기. (0) | 2007.07.28 |
저수고의 전정. (0) | 2007.07.28 |
감나무의 수형. (0) | 2007.07.28 |
정지.전정 결실관련 연구. (0) | 2007.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