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서리피해가 심한 단감나무의 품종별 착과수준 및 새로 발생한 가지에 착과한 과실의 숙기
○ 서리피해시 도근조생, 갑주백목은 착과율이 매우 낮으며, 부유 18.6%, 서촌조생 42.4%, 상서조생 22.9%의 착과율을 보였음
○ 피해를 입은 서촌조생은 개화기가 13일 늦었으나 숙기(9.18), 과중(168g)은 정상주와 비슷하였음
○ 부유의 경우도 개화기가 10일 늦었으나 숙기(10.30) 및 과중(200g)이 비슷하였음
○ 단감나무의 서리피해후 새로운 가지에 과실이 착과할 경우 적과를 하지 말고 정상적인 재배관리를 행할 것
2,토양수분 조건이 단감 꼭지들림과 발생에 미치는 영향
○ 꼭지들림과는 꼭지생장기의 토양수분 부족, 또는 과실비대 제3기에 건조한 토양조건에서 급격한 수분증가로 인해 발생이 많아짐
○ 꼭지생장기에 토양수분이 부족하면 꼭지 생장을 억제하여 성숙기에 과실크기에 비해 꼭지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짐으로 꼭지들림이 조장됨
○ 건조한 토양에 관수를 할 때 일시에 많은 양을 관수하지 말고, 2∼3일 간격으로 점진적으로 관수량을 늘여주어 토양수분의 급격한 변 화가 없도록 해야 꼭지들림과 발생을 줄일 수 있음
○ 과실비대 제3기 개시부터 수확기까지 관수를 하지 않으면 꼭지들림과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나, 과실크기가 감소하므로 관수를 하되 수확 전 10일경까지 점진적으로 관수량을 줄여주는 것이 좋음.
3.강풍에 의한 단감원 낙엽피해수의 적과 효과
○ 9월 상순 강풍에 의한 낙엽시 엽과비가 10이하로 되면 과중 감소 및 품질 저하가 심해짐
○ 적엽 후 남은 잎의 활력은 상대적으로 증가함
○ 9월 상순 강풍에 의한 낙엽피해시 당해 및 이듬해 수량 및 품질을 고려한 적정 적과비율
- 세력이 약한 나무에서는 엽과비가 15이상 되도록 함.
- 바람에 의해 낙과된 과실도 적과 수에 포함시킴
- 손상된 잎들은 손상 정도에 따라 1/4, 1/2 등의 잎 수로 계산
4.태풍피해 단감에서 적과에 의한 익년의 생산성 회복
○ 태풍으로 엽피해가 50%미만인 경우 이듬해 착화수 및 수량이 어느정도 확보되나 80%이상인 경우 이듬해 착화가 매우 불량하여 수량이 현저히 감소함
○ 8월 상순경 태풍 및 조풍으로 엽고사, 낙엽 등으로 피해가 80%이상 심하게 발생할 경우는 조기에 과실을 100%적과 실시하는 것이 이듬해 착과량 증대에 효과적임
5.단감 낙엽피해시 적과 효과
○ 9월상순 50%낙엽피해시, 25%적과하면 당해연도 수량은 무적과수보다 20% 감소하였으나, 과실의 품질이 양호하여 소득이 11%높았음. 또한 이듬해에 무적과수보다 과실품질이 향상되고 수량이 8%많아 소득은 54%향상되었음
1. 현황 및 문제점 | ||||||||||||||||||||||||||||||||||
2. 시험성적(`99) | ||||||||||||||||||||||||||||||||||
| ||||||||||||||||||||||||||||||||||
※ 조사지역 : 완도
| ||||||||||||||||||||||||||||||||||
| ||||||||||||||||||||||||||||||||||
z DMRT 5% | ||||||||||||||||||||||||||||||||||
3. 기술사용요령 | ||||||||||||||||||||||||||||||||||
4. 보조성적 | ||||||||||||||||||||||||||||||||||
| ||||||||||||||||||||||||||||||||||
※ 조사일 : 8월9일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