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증   상
  부유감의 신초기부의 엽에 5월초부터 엽맥의 말단이 흑변하고 흑색반점이 생기며 중록과 주맥부분을 남기고 황화되어 신초선단에 진행한다. 병증세의 진행은 5월에 심하여 낙엽, 낙뢰, 낙과하여 신초의 선단이 고사하여 다음해의 착화수를 감소시킨다. 엽분석 결과는 망간결핍증상을 나타내는 나무의 엽내 망간의 함량은 9 ∼ 27ppm, 동일 과수원의 정상수의 엽내 망간의 함량은 26 ∼ 76ppm, 정상적인 과수원의 엽내 망간의 함량은 70 ∼ 1,844ppm이었다.

2. 발생요인
  토양모암에 망간의 함량이 적은 경우(홍적층이나 제3기층의 황색토 지역)나 다량의 석회나 생계분의 시용으로 토양종의 망간이 불가급태로 되어 뿌리의 흡수가 감쇠되어 결핍증상이 생기는 것으로 생각된다.

3. 방지대책
  발생초기에 유산망간 0.3%액을 10일 간격으로 수회 엽면살포하면 그해의피해는 막을 수 있으며 항구적으로는 토양을 산성으로 돌리기 위하여 망간비료의 시용도 좋으나 실용적으로는 산성비료를 사용하여 증상이 없어질 때가지 엽면살포를 매년 실시한다. 또 곧 효과는 없지만 배수르 좋게 하는 유기물을 시용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본다.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리장해-녹반증.  (0) 2007.07.28
생리장해-과피흑변.  (0) 2007.07.28
생리장해-마그네슘겹핍증.  (0) 2007.07.28
생리장해-꼭지들임.  (0) 2007.07.28
기상재해 대책.  (0) 2007.07.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