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증상과 발생요인

  마그네슘결핍은 대개 여름철 건조가 심한 해에 나타나기 쉽고 결실이 많은 가지의 기부의 잎에서부터 올라가면서 잎맥사이가 누렇게 되는 현상으로 심하면 갈색으로 변하여 낙엽 되는 증상이다.

  감에서의 마그네슘결핍증은 근군의 분포깊이 20∼55cm 토양내에 치환성 마그네슘의 포화도가 9%정도일 때 발현한계라고 한다.

maggelpip.jpg

  2). 방지대책

  마그네슘결핍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고토석회나 황산마그네슘 등의 고토비료를 격년 시용한다. 시용향은 고토함량에 따라 다르나 고토 석회를 10a당 200kg정도를 깊이갈이를하여 유기물과 함께 시용하는 것이 좋다.

중상이 발생되면 황산마그네슘을 물 10리터 당 200g(2%액)을 녹여 3∼4회 살포한다. 마그네슘과 칼리와는 길항작용이 있어 칼리성분이 많으면 마그네슘흡수가 억제되므로 칼리의 시용량을 감한다.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리장해-과피흑변.  (0) 2007.07.28
생리장해-망간겹핍증.  (0) 2007.07.28
생리장해-꼭지들임.  (0) 2007.07.28
기상재해 대책.  (0) 2007.07.28
단감재배관리-기상재해 분야  (0) 2007.07.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