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장(肝)의 제 질환
1. 간장이 하는 일
ㅇ 해독기능 : 혈액속의 독성분 해독 ㅇ 조혈기능 ㅇ 영양분을 체세포에 골고루 나눠주는 기능 : 포도당으로 만들어서
ㅇ 간은 음식물 중 독성분을 먹이로 먹고, 담즙(쓸개즙)을 만들어 담낭에 저장 ㅇ 담즙생성 : 70∼80㏄/일 ㅇ 신장, 간장, 폐장 : 신경세포가 30% 정도임
ㅇ 음식물 속에 신맛, 떫은맛, 쓴맛, 아린맛 : 독성분 현대의학에서는 타닌성분, GOT, GPT 또는 산이라 함
2. 위산과다
ㅇ 음식물속에 독성분이 함유되어 들어오면 → 혀의 체세포가 알아채고 → 뇌에 전달하면 → 뇌는 독성분이 들어 온 만큼 담즙을 내 보내 → 이독제독의 원리로 해독한 다음 → 대변을 통해 밖으로 내 보냄
ㅇ 이 과정에서 담즙이 나오면서 균형을 잃고 과다하게 나오는 것 : 위산과다
3. 지방간
(1) 의의
ㅇ 신장기능 저하 → 혈액속 요산수치 ↑ → 산소함유량 ↓ → 간의 체세포 활동 둔화 → 소화기능 저하 → 혈액속 유지방, 단백질 농도 ↑ → 뻑뻑해진 성분이 간의 모세혈관에 낌 → 시간이 흐르면 산화 합성되어 → 지방층으로 바뀜 → 지방간
ㅇ 초기에는 간세포 사이사이에 지방이 끼다가 심해지면 간 전체를 덮어 초음파 검진기에 간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음
(2) 직접원인
ㅇ 신장기능이 떨어진 것이 직접원인 - 신장기능이 떨어지면 인체의 모든 세포는 활동이 둔화되어 소화불량 세포가 됨 - 이때 초기증세는 대부분 산소부족으로 인한 만성피로가 오고, - 좀더 진행되면 저혈압, 고혈압이 옴
- 이러면 장을 통해 들어온 영양분이 에너지로 승화되지 못하고, 몸안에 지방으로 변위되어 축적됨 - 이 과정에서 이 놈이 간에 축적되면 지방간이 됨
- 인체내의 지방질은 피의 유속이 느린곳, 피의 흐름이 원할치 못하는 곳부터 쌓이게 됨 - 피의 유속이 느리면 산소가 부족하게 되고, 산소가 부족하면 세포의 활동이 둔화됨
(3) 간접 원인
ㅇ 술 많이 먹는 사람과 소고기 많이 먹는 사람이 지방간 많음 ㅇ 우리몸의 지방은 포화지방임 - 따라서 불포화지방을 만나야 분해됨
ㅇ 포화지방 : 초식동물의 지방 (소, 염소, 토끼, 양 등) - 지방이 어혈을 형성하여 혈관을 막어버림 → 40℃ 넘어야 녹음 ㅇ 포화성 불포화지방 : 잡식동물의 지방 (개, 오리, 닭, 돼지) - 생선류 및 해조류는 불포화임 (특히 참붕어가 좋음)
(4) 현대의학 : 지방흡입술 이용함
4. 간염
ㅇ 혈액속 요산수치가 높아지면 → 산소 부족이 되고 → 백혈구는 무기력해 지니 → 그 사이 침입세균이 간에서 자리를 잡고 세력을 키우면 → 간염 ㅇ 세균 : 무리지어 살고, 그들만의 언어가 있고, 나름대로의 지식도 있음 ㅇ 현대의학에서는 이를 간과함 → 무조건 죽일려고만 함
5. 담석
ㅇ 간이 먹어 치우지 못한 독성분은 → 혈액속에 그대로 축적되고 → 일정 농도이상 되면 → 혈액속의 칼슘, 석회질, 질소, 각종 영양소가 화학반응을 일으킴 → 담석
6. 간경화
ㅇ 담석 상태에서 간이 돌처럼 화석화 되면 → 간경화
7. 간암
ㅇ 혈액속의 독성분 많아지고, 산소부족이 오고, 먹이 부족이 합쳐지면 → 간의 체세포가 환경적 생명의 위협을 느껴 본능적으로 2세를 남기려 함 → 갑자기 세포분열을 정상보다 빠르게 하면 → 간암
<간 기능 회복에 좋은 것들>
ㅇ 간 기능 저하시 외관상 증세 - 눈 밑, 입술, 엄지손가락 안쪽 또는 몸 전체가 은은하게 검거나 푸르다. - 성격이 예민해지고, 포악해지고, 그 후유증으로 위장장애 발생 - 얼굴 등 부위별로 피의 유속이 느린 곳부터 뾰루지, 종기가 나기 시작함
ㅇ 대표적 식물들 - 모과 말린 것, 찔레열매(반 익은것)말린 것, 귤껍질(진피), 푸른감잎, 산사, 은행잎(반쯤 익은 것), 석류 말린 것, 계피 - 주의사항 : 이 식물은 독이 많으므로, 3∼5가지 혼합하고, 적은 양을 써야 함
ㅇ 대표적 동물들 - 돼지나 오리의 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