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리장해
가 꼭지떨림
(1) 증 상ㅇ 9월중 하순경 2차 과실대비기에 꼭지의 꽃받침과 열매살 사이�
접합부에 틈이 생기고 틈 사이에 빗물이 스며들거나 병균이 침입
하여 병든 과실을 만들거나 부분적으로 과뉵이 물로져 상품성을
잃게된다.
(2)발생원인
ㅇ과실형태와 품종에 따라 발생정도가 다르며 길쭉한 장시형인 품
종은 거의 발생치 않으나 납작한 반시 계통의 품종에서 발생이
많으며 동일한 폼종에서도 큰 과실에 발생이 많다.
ㅇ공대보다 고욤대목에 접목한 것이 발생이 많다.
ㅇ과실의비대발육이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거나 토양수분의 급격한
변화에 의하여 양수분의 흡수가 불균일 할 때 발생이 많다.
ㅇ 수세가 왕성한 반면 결실량이 적을 경우와 꼭지가 큰 과실은 꼭지
가 적은 과시로다 발생이 적다.
ㅇ과실의 종자수가 적으면 종자가 편재되어 종자가 있는 쪽으로
부분적 과육발육으로 꼭지떨림이 발생한다.
(3) 방지대책
ㅇ수세의 건전한 관리로 저장양분을 많게 하고 조기에 꽃봉오리 따기
를 실시하여 과일당 세포수를 많게 한다.
ㅇ전 생육기간을 통하여 균형있는 양분의 흡수가 이루어지도록
합리적인 거름주기와 토양수분 관리에 주의한다.
ㅇ열매솎기를 할 때 감꼭지가 작은 것을 솎아준다.
ㅇ과실비대기에 건조시 관수하여 양수분이 지속적으로 흡수되도록
한다.
ㅇ적당한 착과량과 적정 시비수준을 유지하고, 9∼10월에 웃거름주
기를 피한다.
ㅇ신규과원 조성시 고욤대목 대신 공대(돌감)를 이용한다.
ㅇ수관하부에 볏짚 또는 흑색비닐을 멀칭하여 토양의 수분의 급격
한 변화를 막는다.
[ 감나무 과원 볏짚 및 흑색비닐 멀칭효과 ]
처 리 |
관행(무멀칭) |
볏 짚 멀 칭 |
흑색PE멀칭 |
토양경도(kg/c²m ) 토 양 수 분(%) 과 중(g) 꼭지떨림과율(%) 수 량(kg/10a) |
6.6 16.1 202 22.2 1,480 |
2.2 22.7 215 1.5 1,727 |
2.8 19.8 190 4.0 1,807 |
나. 녹반증
(1) 증 상
ㅇ잎, 가지, 뿌리 등에는 이상이 없으나 9월 중순경부터 과피표면
일부가 엽록소가 분해되지 않고 약간 들어가면서 푸른 무늬가 생
긴다.
ㅇ증상이 심할 경우 감이 익으면서 물러져 상품과를 전혀 수확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다.
(2) 발생원인
ㅇ과원 토양의 산도가 높고 석회와 칼슘의 함량이 적으며 망간의
함량이 현저하게 많은 토양에서 발생된다.
ㅇ7∼9월의 강우로 인하여 토양속의 불용성 망간이 가용성 형태로
되어 망간의 과다흡수로 발생된다.
(3) 방지대책
ㅇ녹반증은 망간의 과잉흡수를 억제하는데 있으므로 토양중의
망간을 불용화시키기 위해 석회를 시용하여 토양산도를 교정
한다(300kg/10a)
다. 정부열과
(1) 증 상
ㅇ9월 하순부터 과실의 배꼽부위에 균열이 생겨 과실의 중심부까지
갈라진 부분이 잡균에 의해 검은 변하여 부패한다.
(2) 발생원인
ㅇ 과실배꼽부위가 갈라지는 열과증상은 9월하순 이후에 나타나지만
그 원인이 되는 균열상태는 어린 과실때부터 볼 수 있다. 개화후
암술대가 일찍부터 과실 내부까지 시들어 과실 배꼽부위의 유상
조직 형성이 불완전하여 틈이 생긴 다음 과실배꼽부위의 비대와
아울러 과실이 갈라지게 된다.
(3) 방지대책
ㅇ열매솎기를 적당히 하여 과실이 균일하게 크도록 하고 결과지 기부
에 달린과실과 위로 향한 과실은 적뢰, 적과시 솎아준다.
라. 마그네슘 결핍증
(1)증상 및 발생원인
ㅇ마그네슘 결핍은 대개 여름철 건조가 심한 해에 나타나기 쉽고
결실이 많은 가지의 기부의 잎에서부터 올라가면서 잎맥사이가
누렇게 되는 현상으로 심하면 갈색으로 변하여 낙엽되는 증상
이다.
(2) 방지대책
ㅇ고토석회나 황산마그네슘등 고토비료를 10a당 200kg 정도를 깊
이 갈아 후 유기물과 함께 사용하되 2년에 한번씩 시용한다.
ㅇ칼리와 길항작용을 하므로 칼리의 시용량을 줄이고 증상이 발생
되면 황산마그네슘을 물10ℓ200g(20%)을 녹여 3∼4회 엽면 살포
한다.
2. 기상장해
가. 동 해
(1) 동해의 실태
ㅇ 동해는 대개 과실의 수확이 끝나고 낙엽이 진 후부터 다음해 발아
되기 전에 저온에 의해 나무 전체 혹은 일부가 얼어죽게 되는
것을 말한다.
ㅇ 동해의 피해 정도로 품종, 수령, 나무의 저장양분고ㅘ 휴면 상태 들나무의 내적인 요인과 정온의 강도, 지속시간, 내습 시간 등의
기상적인 요인 및 재배 과수원의 지형과 관리상태 등의 외적인 요인
등에 따라 피해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 감 품종별 저온에 대한 겨울눈 생존율 ]
구분 |
온도 시간 |
-10℃ 12시간 |
-14℃ 60분 |
-18℃ 10분 |
-22℃ 10분 |
단감 |
부 유 차 량 |
50.0 78.5 |
8.0 76.9 |
0 33.8 |
- - |
떫은감 |
사 곡 시 평 핵 무 청도반시 |
100 94.1 - |
70.0 84.0 78.5 |
85.0 84.2 61.5 |
80.0 84.2 50.1 |
(2) 동해 예방과 대책
(가) 물뿌리기
ㅇ기상 예보 등을 통하여 동해 발생이 예상되면 나무 전체에 SS
기 또는 스프링클러를 이용하여 물을 뿌려 수피에 수막을 형성
시켜 외부로부터 저온을 차단하여 피해를 줄이는 방법이다.
(나) 건전한 수세유지
ㅇ과다하게 결실된 나무는 수체 내에 저장 양분의 축척이 적어
내한성이 현저하게 약해진다. 쇠약한 나무가 동해를 쉽게 받는
것도 니 같은 원인이다.
ㅇ웃거름을 과다하게지 주게되면 조직이 경화되지 않아
동해가 심하며, 웃자란 가지나 연약한 나무가 피해가 심하므로
열매솎기와 시비관리를 철저히 하여 건전한 수세를 우지해 주어
야 한다.
(다) 백도제 발라주기
ㅇ특히 유목인 경우 기부와 주지부에 백도제를 발라 나무 몸체의
온도변화를 적게하여 추위로부터 나무를 보호한다.
-백도제 만드는 법: 물18ℓ,소석회 3kg, 아교 113g,소금
500g, 돼지기름 450g을 섞어 만든다.
나. 서리피해
(1) 서리피해 실태
ㅇ 감은 봄에 발아를 시작할 때 저온이나 서리를 맞게되면 대부분
의 눈이 말라죽거나, 생장을 정지함으로써 과실 생산에 큼타격
을 주게된다.
ㅇ 품종에 따라 피해정도다 다르며 발아가 빠른 품종이 피해가 크
며 같은 품종이라도 대목에 따르며 공대보다 고욤이 피해
가 크다.
ㅇ같은 나무에서도 지표면 가까운 쪽이 피해가 심하고, 성목보다
유목이 심하며, 청경재배보다 초생재배가 더 심하다.
ㅇ 아침의직사광선이 쬐이는 곳, 산으로 둘러싸인 곡간지나 분지
등에서 많이 발생되며 남향의 경사지, 부식질 토양, 자갈 섞인
토양등 지온상승이 빠른 과원에서 피해가 심하다.
(2) 동해와 서리 피해 방지 대책
ㅇ 서리는 보통 바람이 없고 기온이 찬 맑은 날 밤에 내리므로 어
느 정도 예측이 가능라며 기상예보에 유의하여 예방에 힘쓴다.
ㅇ 10a당 20∼25곳에 완겨나 톱밥 또는 헌 타이어를 태워 가열
한다.
[ 늦서리시 가열 처리와 훈연처리에 의한 피해 경감효과 ]
구 분 |
눈의피해(%) 수관아래 |
수관중앙 |
수관상부 |
비 고 |
가열(초생재배) 훈연(초생재배) 방임(초생재배) |
23 92 98 |
19 68 74 |
0 63 69 |
10a당 25개소 가열 |
ㅇ 방상팬 EH는 대형 선풍기를 이용하여 송풍실시
ㅇ 스프링클러를 이용하여 살수실시
ㅇ 서리피해의 위험이 있는 지역에서는 토양피복을 늦추어 서리
위험이 없어질 때 토양피복을 하는 것이 서리 피해를 줄일 수
있다.
'과일나무재배 > 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감-정지법 개선에 의한 저수고 재배. (0) | 2007.11.01 |
---|---|
단감의 정지전정. (0) | 2007.11.01 |
감나무수형 및 전지전정법. (0) | 2007.10.31 |
감-결실관리. (0) | 2007.10.31 |
감나무밭-" 거름주기 및 토양관리 " (0) | 2007.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