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자 검은점무늬병의 발생생태 및 방제

 


1. 피해증상
  잎, 가지, 과실에 발병되며 유자의 경우 15년 이상된 성목에서 많이 발병한다. 잎에 감염시에는 잎이 기형이 되고 낙엽이 심하게 되어 수세가 약해진다. 과실에 나타나는 병반은 조건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과실 외관을 나쁘게 하여 상품가치를 떨어뜨린다. 또한 병반의 증상은 감염시기에 따라 증상이 크게 3가지 종류로 나타난다.

가. 검은점이 찍히는 것(黑點型)
  파리똥 모양의 검은점이 많이 찍히는 것으로 6∼8월 초기에 감염될수록 검은점이 크며 흑점부위는 꺼칠꺼칠하고 흑점주위에 은빛 테두리가 가늘게 생긴다. 후기에 걸리면 검은점이 적고 색깔도 옅으며, 착색이 불량해서 흑점주위가 녹색으로 남는다.

나. 눈물무늬를 이루는 것(淚斑型)
  약액이 흐른 것 같이 눈물 흐른 자국을 나타낸다. 꼭지부분에서 배꼽부분으로 이어지게 되며 주로 죽은 가지의 밑부분 과실에서 볼수 있다.

다. 진흙딱지 모양(泥塊型)
  과실꼭지에서 배꼽쪽으로 적갈색 딱지가 군집을 이루며 꼭지부분에는 딱지가 크고 배꼽쪽일수록 딱지가 작고 산발적이다. 잎에 발생되면 심할 경우 잎이 오그라들기도 하며, 가을 이후에 낙엽이 된다.

2. 생리생태
  살아있는 조직에서 전염이 이루어지지 않고 반드시 죽은 가지에 병자각을 이루고, 월동후 날씩가 따뜻하고 비가 오게 되면 포자가 터져서 전염되며, 일단 만들어진 병자각은 3년 정도 감염 능력이 있다. 병포자는 2가지 형태가 있는데 장타원형(알파포자)과 선충모양(베타포자)이 있는데, 25℃ 미만에서는 알파포자가 많고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베타포자가 많다.

  검은점무늬병균이 생체조직에 침입하면 식물세포내에서 이에 대항하는 파이토알렉신이라는 물질을 분비하여 병반이 남게 된다. 감염적온은 24℃이며, 균이 침입하면 6일 정도 잠복기간을 거쳐서 증상이 나타난다. 병포자는 got빛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주로 과면의 외부쪽에 발생이 많으며, 잎에서는 고사지가 많은 수관 내부에 많다.

3. 수령별 검은점무늬병 발생상황
  수령별 검은점무늬병 발생은 잎의 이병도가 5년생 0.9, 10년생, 3.7, 15년생 7.4, 20년생 18.0이고, 과실 이병도는 5년생 0.9, 10년생 3.3, 15년생 8.3, 20년생 29.4로 수령이 많을수록 발병이 심하였는데, 이는 검은점무늬병의 전염원이 되는 마른가지가 많았기 때문이다.

표 1. 수령별 검은점무늬병 발생 상황(잎) (단위 : %)
 

수령
(년)

구 분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누적이
병정도

5

이병율

0

0

0

0

0

0

0.2

0.3

0.8

0.7

0.3

0.1

0

0

0

0

0

0

2.4

이병도

0

0

0

0

0

0

0.1

0.1

0.3

0.2

0.1

0.1

0

0

0

0

0

0

0.9

10

이병율

0

0

0

0.6

0.8

2.2

1.0

1.3

0.6

0.4

1.0

0.3

0.3

0.2

0.2

0

0

0

8.9

이병도

0

0

0

0.2

0.3

0.8

0.4

0.5

0.3

0.3

0.3

0.2

0.2

0.1

0.1

0

0

0

3.7

15

이병율

0

0.2

1.2

1.3

3.3

3.8

2.6

2.0

1.0

1.0

0.8

0.5

0.4

0.4

0.4

0.2

0.1

0

19.2

이병도

0

0.1

0.2

0.3

1.3

1.4

0.8

0.7

0.5

0.5

0.4

0.3

0.2

0.2

0.3

0.1

0.1

0

7.4

20

이병율

0.3

2.4

1.9

1.6

9.2

10.8

5.6

3.6

1.8

2.6

1.4

0.6

0.5

0.4

1.0

0.4

0.3

0.1

44.5

이병도

0.2

0.9

0.5

0.6

3.4

3.8

2.6

1.3

0.7

1.3

0.6

0.3

0.3

0.2

0.7

0.3

0.2

0.1

18.0

표 2. 수령별 검은점무늬병 발생 상황(과실) (단위 : %)

수령
(년)

구 분

6월

7월

8월

9월

10월

누적이
병정도

5

이병율

0

0

0

0

0

0.2

0.7

0.3

0.2

0.2

0.3

0

0

0

1.9

이병도

0

0

0

0

0

0.1

0.3

0.1

0.1

0.2

0.1

0

0

0

0.9

10

이병율

0

0

0

0.3

1.7

2.6

1.4

1.1

0.4

0.5

0.9

0.2

0

0

9.1

이병도

0

0

0

0.1

0.5

0.9

0.4

0.4

0.2

0.3

0.4

0.1

0

0

3.3

15

이병율

0

0.3

0.7

2.9

2.6

5.0

3.0

2.4

0.9

1.3

2.0

0.5

0.2

0

21.8

이병도

0

0.1

0.3

1.1

0.8

2.3

1.2

0.9

0.3

0.4

0.6

0.2

0.1

0

8.3

20

이병율

0

0.9

3.4

9.1

10.5

14.5

9.6

4.9

2.8

2.7

4.3

2.1

0.3

0.2

65.3

이병도

0

0.2

1.0

4.1

5.2

7.9

3.4

2.2

1.2

1.4

1.9

0.6

0.2

0.1

29.4

4. 시기별 포자밀도 및 강우
  강우시 검은점무늬병 포자밀도를 비온 직후 조사한 결과 7월 하순에 빗물 0.01㎖당 81.6개로 가장 많았으며, 6월 하순부터 8월 상순 사이에 병포자가 많이 검출되었는데 이는 강우량과 강우일수가 많았기 때문으로 본다.

표 3. 시기별 포자 밀도 및 강우량
 

구분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포자수
(개/
0.01㎖)

15.5

24.6

1.0

31.5

34.4

47.2

27.4

73.9

81.6

77.2

27.7

8.3

12.4

1.5

15.8

9.3

2.8

0

강우량
(mm)

64.8

58.3

4.0

43.0

36.0

195.0

43.8

127.3

59.3

90.5

52.8

9.0

9.0

4.0

186.8

8.5

25.5

0

강우
일수
(일)

2.5

3.5

1.5

3.0

2.5

5.0

2.5

4.0

2.5

4.5

3.5

1.0

0.5

1.5

3.0

0.5

1.5

0


5. 방 제

가. 검은점무늬병 방제적기는 기상요인에 따라 변동이 있으나, 1차 방제는 6월 상 순, 2차 방제는 7월
     상순에 하며 비가 150mm 이상 내리면 추가 방제가 필요 하다.
나. 전염원이 이병된 마른 가지는 반드시 제거해야 한다.
다. 방제 수령은 10년 이상 과원에서 이병정도에 따라 방제가 필요하다.
라. 적용약제
     만코지 수화제 500배, 디치수화제 1,000배, 프로피수화제 750배.

 

참 고 문 헌

本間保男, 山田畯一. 1969. カンキツ黑點病の感染ならびに發病に關與する要因. 園藝試驗場報告 B 9 : 85∼97.

井上一男, 西ケ谷昭三. 1963. カンキツ黑點病に關する硏究(Ⅱ) 枯枝の病原性ならびに發生生態について關西病蟲害硏究會報 5 : 27∼29.

井上一男, 西ケ谷昭三. 1965 a . カンキツ黑點病に關する硏究(Ⅲ) 傳染について. 關西病蟲害硏究會報 7 : 22∼28.

井上一男, 西ケ谷昭三. 1965b. カンキツ黑點病に關する硏究(第7報)保菌枝の發生機構. 靜岡縣柑橘試驗場報告 10: 76∼83.

松本英起, 石井卓男, 大森尙典. 1980. ウンシユウミカン果實の結果部位における黑點病感染病症の差異. 四國植物防疫硏究 15 : 63∼68.

大森尙典, 松本英紀. 1964. 柑橘黑點病の感染時期に關する硏究. 愛媛縣果樹試驗場硏究報告 4 : 19∼29.

田中彰一, 中村一郞. 1950. 柑橘黑點病菌に關する硏究. 園藝學會雜誌 19(3,4) : 177∼184.

田中彰一. 1955. 柑橘黑點病(メラノズ)に關する硏究. 農業及園藝 30(6) : 765∼77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