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Ficus carica  L.
정명 : 무화과
이명: Ficus carica L.
일반명
      한글명 : 무화과
      영문명 : fig
      기타명 :
             higo [ Spanish , 출처: Dict Rehm ]
             figuier commun [ French , 출처: Dict Rehm ]
             figueira [ Portuguese , 출처: Dict Rehm ]
             fico [ Italian , 출처: HerbSpices ]
             Feigenbaum [ German , 출처: Dict Rehm ]
             echte Feige [ German , 출처: S. Reichel, p.c. ]

 형태특성
  소아시아 원산의 갈잎 넓은잎떨기나무. 높이는 2~4m이다. 가지는 굵으며 성기게 옆으로 퍼지고 갈색 또는 녹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길이 10~20cm로서 넓은 달걀꼴이고 3~5갈래로 깊게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끝이 둔하고 잎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잎앞면은 거칠고 잎뒷면에 잔털이 있으며 5개의 잎줄이 있고 상처를 내면 백색 유액이 나온다.

무화과[사진] 꽃턱이 비대해져서 열매가 된다.
무화과[사진] 꽃턱이 비대해져서 열매가 된다.
 
  잎자루는 길이 2~5cm이다. 봄철부터 여름에 걸쳐 잎겨드랑이에서 꽃턱이 항아리 모양으로 비대해져 내벽에 흰빛이 작은 꽃이 빽빽이 달리며 숨은꽃차례를 이룬다. 암꽃의 꽃덮이조각은 3개이고 씨방과 암술대는 각각 1개이다. 열매는 가지 밑의 것부터 차차 위로 올라가면서 익으며 흑자색 또는 황록색으로 된다. 속명(Ficus)은 라틴 이름이며 그리스어의 sycon에서 유래하며, 종명(carica)은 소아시아의 옛 지방 caria에서 유래한다. 꽃턱이 비대해져서 열매가 됐기 때문에 겉에서는 꽃이 보이지 않아 무화과라고 한다.
 
 재배내력
  원산지는 현재도 다수의 야생종이 있는 소아시아, 아라비아 남부로 생각된다. 재배역사는 오래돼 기원전 3000년경의 수메르 왕조시대에 시작됐다. 따라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과수로 알려져 있다. 이집트에서는 제12왕조시대의 각화(刻畵)에 포도와 함께 기록됐으며, 기원전 2000년 초기에 아시리아인에게 널리 알려지게 됐다.

무화과[그림] 열매와 잎의 형태.
무화과[그림] 열매와 잎의 형태.
 
  곧이어 재배는 소아시아에서 지중해 연안지방으로 전래됐다.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와 ≪오디세우스≫에는 수회에 걸쳐 기록돼 있다. 중국으로의 전래도 당나라 시대에 이루어졌으며, 신대륙으로는 서인도 1520년, 플로리다 1575년경에 전파됐으며, 현재의 주산지인 캘리포니아의 도입은 1769년에 이루어졌다. 한국에도 도입된 시기는 오래됐으나 본격적으로 심기 시작한 시기는 1940년대 중반부터이다.
 
 분류 및 품종
  무화과는 원예상 4가지로 대별된다. 카프리군(Capri)은 동일한 꽃턱 위에 수꽃, 암꽃 충영화(蟲?花)가 같이 달리며, 수미르너군(Smyruna)은 암꽃만이 착생한다. 이들은 모두 작은 곤충인 블라스토파가(Blastophaga grossorum)의 화분매조(花粉媒助)에 의해 수분돼 결실하나 한국에는 이 곤충이 없다. 보통군(Common)은 한국에서 많이 재배되는 품종이 이에 속한다.

[표] 영양성분(가식부 100g당)
[표] 영양성분(가식부 100g당)
 
  암꽃과 중성화가 착생하며 단위결실성이 있어 수분없이도 결실한다. 상페드로군(Sanpedro)은 1년에 2회 결실하며 하과의 경우 단위결실성이 있으나 추과의 발육에는 수분을 필요로 한다. 주요 품종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①봉협시…재래종으로 중국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열매의 무게는 60~70g이며 길둥근꼴이다. 껍질은 햇빛을 받은 면은 적자색이나 아랫부분은 녹황색이다. 한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②승정도핀…1909년 일본에서 육성된 품종으로 과실은 긴 달걀꼴이고 빛깔은 자갈색이며 과분이 많다. 과육은 주홍색을 띠며 향기가 없다. ③화이트제노아…1872년 프랑스에서 일본으로 도입돼 한국으로 전래된 품종이며, 무게는 150g 정도이다. 긴 달걀꼴이고 담갈색이며 과육은 짙은 홍색을 띤다. 당도가 높고 향기가 있다. ④카도타…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많이 재배되는 품종이다. 무게는 70g 정도이고, 짧은 달걀꼴이며 황록색이다. 과육은 크림색을 띤다.
 
 재배환경
  연평균기온이 15도인 지역에서 잘 자란다. 최고기온 23도, 최저기온 8도로서 혹한인 1월의 평균기온이 1도 이상을 요구한다. 토양에 대한 적응성이 넓으나 표토가 깊고 배수력이 좋은 곳이 적합하다. 산성토양에서는 적응성이 약하고 중성토양이 가장 적합하다.
 
 
 재배기술
  번식은 삽목법으로 가장 많이 하며, 내한성이 약하므로 3월 중순경에 재식한다. 재식거리는 6×6m 간격이다. 시비량은 질소를 10으로 할 때 인산 2.9, 칼리 11.1, 석회 14.7의 비율이다. 재식방법은 구덩이 너비 1m, 깊이 80cm 정도로 해 흙과 퇴비를 혼합해 지면보다 약간 높게 만든 후 뿌리를 펴고 심는다.
  무화과는 가지의 생장이 9~10월에도 계속되므로 여름철에 가지의 선단부를 전정하면 적심이 효과가 있어 과실비대와 추과의 비대성숙에 좋다.
 
 수확
  결실은 당년에 발생하는 새가지의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완숙하기 전에 수확한다. 현재 주요 산지로는 캘리포니아 외에 에스파냐, 이탈리아, 터키 등이며 세계 전생산량은 생과로 150만톤이고 이중 20만톤이 건과용이다.
 
 
 병해충
  주요 병해충으로는 역병, 가지마름병, 녹병, 뽕나무하늘소, 선충 등이 있다. 역병이나 녹병은 다이센을 살포해 방제하고 가지마름병은 발코트를 발라주면 재생이 빠르다.
 
 
 용도이용
  성분은 수분 90%, 당분 6~8%이다. 주로 포도당, 과당 등으로 돼 있으며, 구연산, 초산, 사과산도 함유하고 있다. 그냥 먹기도 하고 건과, 푸딩, 파이, 잼 등도 만든다. 특히 잼 가공이 많은데, 껍질을 벗기고 소량의 물과 함께 끓여 충분히 연화시킨 후, 중량의 약 70% 정도의 설탕을 2~3회에 걸쳐 첨가하면서 바싹 졸인다.
  이때 원료과일의 0.2~0.3%의 시트르산이나 타르타르산을 넣어 투명하고 적당한 점성도로 만든다. 시럽을 만들기도 하며 무화과 와인이나 무화과 브랜디로도 이용된다. 또한 단백질 분해효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서 육식을 한 뒤에 먹으면 소화를 도와주고 변비에도 특효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건위장, 소종, 해독의 효능이 있어 한방에서는 소화불량, 식욕부진, 장염, 변비, 이질 등에 치료제로 사용된다.
 
 민속문화
  서양에는 무화과나무에 관한 전설이 많다. 특히 ≪구약성서≫에 의하면 아담과 이브가 금단의 열매(지혜나무의 열매)를 따먹고 자신들의 벗은 몸을 나뭇잎으로 가린다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때 쓰인 나뭇잎이 바로 무화과이며 지혜를 상징하는 나무로 여기기도 한다. 그래서 금단의 열매는 사과가 아니라 무화과라는 설이 나왔다. 이밖에도 번영과 평화를 상징하는 식물로 성서 곳곳에 나오고 있다.
  로마에서는 바커스라는 주신(酒神)이 무화과에 많은 열매가 맺도록 하는 재배법을 가르쳐 주었다고 해 다산의 표상으로 삼고 있다. 꽃말인 다산은 여기에서 유래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