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화과는 뽕나무과에 속하며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의 카리카이다. 아열대 지방에서 자라는 과수로서 젖빛 수액을 가지고 있다. 무화과는 아열대성 과수인 관계로 우리나라에서는 전남 서해안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재배면적은 전국적으로150~180㏊정도이며 2500M/T정도가 생산되고 있으며, 세계 총 재배면적 410,705㏊, 생산량은 1,177,639M/T(1998,FAO)으로 터키, 이집트, 그리스, 이란, 모로코 순으로 생산되고 있다.
  무화과는 다른 과실과는 달리 외측 화방부분과 다수의 소화(小花)가 발육하여 과육으로 되며 완전히 성숙하여야만 과수로서의 풍미를 가지는 과수이다. 무화과의 꽃차례(花序)는 아래쪽 마디에서 차례로 착생하며 수확시기는 8월 중순에서부터 10월 상순까지이다. 무화과의 성숙과일은 과피가 연약하여 상온에서 생과의 저장성은 1~2일로 저장성이 매우 약하고 이로 인한 장거리 유통이 어려운 과실이다.
  무화과 과실의 품질은 당도 및 외관에 의하여 좌우되며 또한 맛을 내는 당도는 재배포장의 환경, 나무 연령과 시비방법 등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무화과의 당도는 11.2~16.9°Bx의 범위에 있고 특히 무화과 수확기간 중 잦은 관수 및 강우에 따라 과실 당도는 현저히 저하된다.
  무화과 비가림하우스 과실비대기 적정관수 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1998년부터 1999년까지 2년간 무화과의 비대기간인 8월 22일부터 10월 2일까지 41일간 관수량과 관수간격을 달리하여 무화과 재배 주품종인 승정도우핀 2년생을 φ670 × W600 × H700㎜ 플라스틱 용기에 밭흙(사양토) 180ℓ를 담아 재배하여 무화과의 당도, 생육상황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관수방법 및 관수간격
     비가림 하우스에서 용기재배방식으로 표 1과 같이 관수방법을 토양수분 20kpa에 관수시점으로 하여 10kpa에 관수를 정지하는 관수방법인 재배농가의 관행 2.2일(1회당 19.3ton/10a)과, 토양수분 40, 60kpa 시점인 4.9일(1회당 34.9ton/10a), 5.8일(1회당 37.6ton/10a) 간격으로 관수하여 10kpa에 관수를 정지하는 3가지 방법으로 나누어 재배한 결과 같은 기간의 관수회수는 관행 2.2일 간격으로 관수하였을 때 17.9회, 4.9, 5.8일 간격으로 관수하면 관수회수는 각각 8.3, 7.0회로 관수 회수를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었으며 총 관수량도 55~82ton 절감할 수 있다.

 
표 1. 수확(비대)기간 중 관수회수 및 관수량
관수시점
(kpa)
간수간격
(일)
관수회수
(회)
1회 관수량
(ton/10a)
총 관수량
(ton/10a)
20(관행)
40
60
2.2
4.9
5.8
17.9
  8.3
  7.0
19.3
34.9
37.6
345
290
263
주) 용기의 크기 : 프라스틱 용기 180ℓ, 관수정지 시기 : 10kpa

 
그림 2. 승정도우핀 숨종 및 용기내 토양수분 측정모습

  2. 무화과 생육상황
     관수간격에 따른 무화과의 생육상황은 관수간격 2.2, 4.9, 5.8일 간격으로 재배시 18절간 평균 길이 6.7, 6.1, 6.1㎝로 2.2일 간격으로 재배하였을 때 약간의 도장성을 보였으며 4.9, 5.8일 간격으로 관수 재배한 것은 차이가 없었다. 또한 간장은 관수를 자주 할수록 커서 174.2, 168.1, 152.6㎝ 였으며, 10번째 마디의 경경은 4.9일 간격 관수가 20.2㎝로 가장 굵었으며 다음으로 2.2일 19.6㎝, 5.8일에서 18.0㎝ 순이었다.
  무화과에서 수량을 구성하는 요소는 수확절위 및 수확과수, 과중이다. 2.2, 4.9, 5.8일 간격으로 관수시 수확절위는 13.9, 14.3, 14.5절로 관수 간격이 길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수확과수는 주당 50.6, 52.0, 45.1개로 4.9일 간격 관수재배시 1주당 수확과가 관행 2.2일 간격 관수 1.4개 많았고 5.8일 간격 관수재배보다 5.5개 많았다. 2.2일 간격 관수재배는 도장성 자람으로 인한 미착과 마디가 발생하였으며 5.8일 간격 관수재배는 마디 중간의 낙과가 발생하였다.

 
표 2. 생육 및 수량
관수시점
(kpa)
수확절위
(절)
수확과수
(개)
과 중
(g)
절간길이
(㎝)
간 장
(㎝)
경 경
(㎜)
수 량
(kg/10a)
20(관행)
40
60
13.9
14.3
14.5
50.6
52.0
45.1
66.7
65.0
63.2
6.7
6.1
6.1
174
168
153
19.6
20.2
18.0
676(100%)
676(100)
570 (84)
주) 승정도우핀 2년생

  3. 무화과 품질
     관수방법별 (표 2) 수량성과 (표 3) 품질에 있어서는 2.2, 4.9, 5.8일 간격으로 관수하였을 때 10a당 수량은 676.6, 676.0, 570.0㎏으로 2.2, 4.8일 간격 관수재배는 수량의 차이가 없었으나 5.8일 간격 관수재배에서는 16%가 감수되었다. 무화과 과실의 종경에 대한 횡경의 비율인 과형에 있어서는 관수간격이 길수록 과형지수가 낮은 원형과를 보였으며 짧을수록 장타원형과를 보였다. 종경, 횡경 및 과형지수를 살펴보면 2.2일 간수간격일 때 72.1㎜, 52.9㎜, 1.36이었고, 4.9일 69.6㎜,

 
표 3. 관수방법에 따른 무화과 과일의 품질
관수시점
(kpa)
종 경
(㎜)
횡 경
(㎜)
과형지수
(종경/횡경)
가용성고형물
(°BX)
산 도
(%)
색 택*
(외관)
20(관행)
40
60
72.1
69.6
67.2
52.9
53.7
56.4
1.36
1.30
1.19
12.6
13.5
14.1
0.19
0.20
0.19
4.6
4.6
4.5
주) * 색택 1 아주나쁨, 5 아주좋음

     53.7㎜, 1.30이었으며 5.8일 12.6, 13.5, 14.1°Bx로서 토양수분이 높을수록 당도는 높았다. 무화과 비대기의 토양수분은 과실의 산도 및 색택(외관)에 관하여는 영향을 거의 주지 않는 것으로 보여지며 과실의 색택에 영향을 주는 것은 일조량 및 온도에 따라 영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당도의 변화는 관행적으로 관수하는 방법인 2.2일 간격으로 관수하는 방법보다는 4.9일 간격으로 관수하였을때 당도는 0.9°Bx, 5.8일 간격으로 관수하면 1.5oBx정도의 당도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관수간격에 따른 무화과의 생산량에 있어서는 관행 2.2일 관수방법 보다 수확절위를 13.9절에서 주당 50.6개(개당 66.7g) 수확하였으나 4.9일 관수에 있어서는 14.3절에 52.0개(개당 65.0g)를 수확하여 수량의 차이는 없으면서 당도는 증가 하지만 5.8일 관수간격에는 당도는 높일 수 있으나 생산량은 16%가 낮아진다. 따라서 무화과 수확기 관수방법에 있어서는 약 5일에 1회씩 충분하게 관수하는 것이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 높은 당도의 무화과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여겨진다.

'과일나무재배 > 무화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화과 시설재배  (0) 2008.03.03
무화과...  (0) 2007.12.08
무화과의 주요 병해..  (0) 2007.12.06
무화과 적정 착과량 및 결과지 간격  (0) 2007.12.06
무화과 재배-보릿짚 피복 역병억제 효과  (0) 2007.11.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