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품질 단감 생산을 위한 월별 관리
1. 1월∼2월 관리요령
○ 고품질 감을 생산하기 위한 준비를 하는 시기로 영농계획을 세우고, 이에 따른 실천이 시작되는 시기이기도 함.
○ 주요 작업으로는 과원의 월동 잔재물 제거, 조피작업, 정지, 전정 등이며, 밑거름을 주지 못했던 농업인은 해동과 동시에 농업기술센터에 토양검정을 의뢰하여 처방서에 따른 적정량의 밑거름을 시비해야 함.
□ 정지, 전정의 핵심 포인트
유목(1∼4년) |
o 주지의 후보지는 발생각도가 넓은 것을 선택 o 직립한 가지나 각도가 좁은 것은 유인 |
약목(5∼9년) |
o 주지의 결정과 부주지의 육성 o 유인 등에 의한 저수고화 o 강전정을 급하게 하지 말 것 |
성목(10년이상) |
o 수세를 감안하여 전정량 조절 o 측지 어린 가지에 중심 o 한 나무당 결과 모지수 확인 |
|
|
부유 |
o 강한 결과모지가 대과 생산에 유리함. o 꽃눈을 보고 전정하지 말고 결과모지를 주지 혹은 부주지에 가깝게 붙여야 함. |
갑주백목 |
o 약목때 유인할 수 있는 가지 확보 o 강한 결과 모지는 착과가 불안정하므로 가지각도 확보유인 |
□ 이상적인 정지, 전정
○ 분지각도를 넓게 실시하고, 주지 부주지 중에 측지가 상향지나 내향지는 가급적 사용하지 말고 사용할 경우에는 가급적 빨리 갱신
○ 전정 부위를 3∼5㎝ 남기고 절단 후 후보지 확보
○ 선단이 약하지 않도록 분지각도보다 선단이 높게 전정
○ 품질과 생산량을 감안해 일조량을 좋게 하고 측지갱신을 빨리해야 함.
□ 결과모지와 측지의 간격
○ 측지의 간격은 40∼60㎝ 유지
○ 결과모지의 간격은 결과지가 나오므로 30㎝ 이상 확보
□ 년차별 모지수(1주당)
품종 |
3년차 |
4년차 |
5년차 |
6년차 |
7년차 |
10년차 |
성목 |
모지당 착과수 |
10a당 수량 |
모지길이 |
부유 |
5 |
20 |
70 |
105 |
125 |
185 |
220 |
1.4 |
2.5톤 |
23㎝ |
갑주백목 |
0 |
5 |
25 |
50 |
70 |
125 |
210 |
2.0 |
2.0 |
20 |
□ 병해충 방제의 시작은 조피와 낙엽 제거부터
○ 조피작업과 낙엽처리로 병해충의 근본을 제거
- 탄저병(병든 가지), 흰가루병(가지사이, 낙엽), 낙엽병(낙엽), 노린재, 감꼭지나방, 깍지벌 레(나무껍질)
○ 낙엽, 조피, 이병지는 묻거나 소각처리
□ 정지, 전정의 실례
○ 재식
- 식재할 장소에는 퇴비 등을 충분히 넣음.
- 재식 당년의 발육을 좋게 하려면 뿌리에 상처가 없어야 함.
- 묘목을 50∼60㎝ 높이에서 절단
○ 1년차
- 여름철 관리 : 발육한 신초가 잘 신장하도록 추비를 줌.
- 위에서 두 번째 가지는 바짝 솎아냄.
- 주지 이외의 가지는 자르지 않음.
- 수세가 약하여 신초가 신장하지 않은 나무는 전정
○ 2년차
- 여름철 관리 : 주지 후보지로 2∼3개의 신초는 가능한한 키움. 추비는 2차 신장하지 않도록 나누어 줌.
- 2∼3개의 주지에 3∼4m 크기의 지주를 대고 45℃ 각도로 유인하되, 끝부분은 위로 세움.
- 제1주지는 경사면의 윗부분으로 유인함.
- 겨울에는 무리하게 유인하면 갈라지므로 갈라지지 않을 정도의 각도로 유인해 둠.
- 전정은 유인한 후에 주지에서 위로 향한 가지를 제거하는 정도로 실시
- 주지 선단의 신초는 제거하되 주지 끝은 절단하지 않음.
○ 3년차
- 여름철 관리
o 주지 상에 직립한 신초는 6월에 가지비틀기나 유인하거나 7월에 제거
o 겨울철 유인각도가 적었던 것이나 수세가 강해진 것은 더 각도를 넓혀 재차 유인함.
- 전정과 유인
o 주지 선단이 약해진 나무는 주지 끝이 직립하도록 지주를 덧대어 유인함.
o 주지 이외의 가지도 유인하여 결과모지를 확보하도록 함.
o 주지를 약하게 하는 직립한 가지는 기부에서 바짝 제거하고, 주지선단보다 높은 가지는 아래쪽으로 유인함.
○ 4년차
- 여름철 관리
o 주지에 직립하여 자라는 신초는 일찍 제거함.
o 수세가 강하여 화아분화 될 가능성이 없는 나무는 6월 하순에서 7월 상순경에 환상박피 실시
o 주지보다 높게 자란 가지는 주지보다 낮아지도록 유인하여 될 수 있는대로 결과모지를 확보함.
- 전정과 유인
o 주지 선단이 약해지지 않도록 절단을 다소 약하게 실시함.
o 수세 정도에 맞춰 결과모지를 솎아냄. 수세가 강한 것은 많이 남기고, 약한 것은 적게 남김.
○ 5년차
- 여름철 관리
o 착과가 많은 경우에는 작은 과실부터 중점적으로 적과함.
o 주지 선단이 늘어지지 않도록 유인함.
o 생리적 낙과가 보이는 경우에는 폭이 좁게 환상박피하여 낙과를 방지함.
- 전정과 유인
o 착과가 많았던 가지는 늘어지기 때문에 적당한 상향지를 이용하고 절단함.
o 수세가 강하여 주지가 세워지는 나무는 굵고 다소 긴 지주를 이용하여 유인을 재차 실시함.
o 지주는 가능한 한 땅속 깊이 박아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함.
2. 3월∼4월 관리요령
□ 동해 피해
○ 품종별 결과모지 고사율 및 정아 피해율(%)
구분 |
은풍 준시 |
사곡 시 |
성주 먹감 |
영덕 따배감 |
청도반시 |
함안물감 |
갑주백목 |
평핵무 |
도근조생 |
서촌조생 |
부유 |
차랑 |
결과모지 고사율 |
7.0 |
7.0 |
3.0 |
10.0 |
6.3 |
8.0 |
12.7 |
4.0 |
4.7 |
4.7 |
11.0 |
7.7 |
정아 피해율 |
60.0 |
56.9 |
54.0 |
53.3 |
56.0 |
- |
59.9 |
64.4 |
80.0 |
49.1 |
50.8 |
41.2 |
○ 품종별 원줄기 고사율(%)
구분 |
은풍 준시 |
의성 사곡시 |
성주 먹시 |
청도반시 |
상주둥시 |
월하시 |
갑주백목 |
평핵무 |
도근조생 |
서촌조생 |
부유 |
차랑 |
대핵무 |
상주 |
37 |
38 |
33 |
42 |
17 |
28 |
38 |
100 |
48 |
95 |
72 |
58 |
76 |
대구 |
20 |
13 |
- |
29 |
- |
- |
30 |
31 |
27 |
35 |
29 |
- |
- |
※ 최저극기온(2001년 1월 15일) : 상주·-17.5℃, 대구 -11.7℃. 수령 : 상주 5년생, 대구 10년생. 조사시기 : 2001년 4월. <자료 : 상주감시험장. 2001> |
□ 늦서리의 대책
○ 내한성
- 휴면기는 강하지만 맹아기는 약하므로 특히 발아 후 신초가 약한 시기는 3월 하순∼4월 상순임.
○ 징후
- 하루 중 최고 기온이 15℃ 이하로 내려가고 북풍 혹은 돌풍이 불거나 저녁 무렵에 바람이 건조하고 밤이 청명한 날씨일 때
- 저녁 6시 기온이 8℃ 이하로 1시간에 1∼2℃ 비율로 기온이 내려갈 때, 특히 비가 온 후 이런 상태가 되어도 피해가 커짐.
○ 피해가 큰 부위
- 발아한 직후 전엽기전이 피해를 받기 쉬움.
- 정아 등 빨리 움직이는 눈
- 수관부(2m 이하), 가지의 위쪽에 있는 눈
○ 피해 받기 쉬운 품종
- 발아 전엽이 빠른 품종 : 평핵무, 서촌조생 등
- 갑주백목과 부유는 일반적으로 비해 피해가 큼.
○ 피해 현상
- 조기에 서리가 왔을 때 수침상태가 되고 이후에는 싹 전체가 고사됨.
- 늦게 왔을 때 가지는 살릴 수 있고 잎은 위축되고 꽃봉오리는 고사됨.
○ 서리 피해는 장소에 따라 다른데, 저지대가 피해가 큼.
- 구릉지나 경사지 아래에 나무숲이 있는 장소 계단식 과원 등은 추위에 어느 정도 강함.
□ 3월 중순
○ 병해충 방제(발아 전) : 탄저병, 검은별무늬병 - 석회유황합제
○ 나무에 붙어 있는 수관해충을 방제 - 원줄기, 가지사이에 충분히 살포
□ 4월 상순 - 유목, 약목의 주지유인
○ 4월 하순까지 일제히 처리
- 주지에 지주를 붙여서 유인하고, 분지각도는 넓게 해 줌.
○ 4월 중순 - 접목
□ 4월 하순 : 병해충 방제
- 검은별무늬병, 잿빛곰팡이병(강풍 후 즉시 살포)
3. 5월∼6월 관리요령
□ 5월 상순
○ 눈따기(큰 가지의 절단부분) 불필요한 가지는 없애고 이용 가능한 것만 남김.
○ 병해충 방제 : 잿빚곰팡이병, 흰가루병 등
□ 5월 중순
○ 꽃봉오리 솎기 : 대과 생산을 위한 필수작업
- 개화시작 전 까지 반드시 종료
○ 꽃봉오리 솎기의 순서
- 1결과지에 1개 남겨두는 꽃봉오리
o 꽃받침이 큰 것을 남길 것
o 옆으로 향한 것, 밑으로 향한 것
o 잎수가 5잎 이상인 것
o 늦꽃은 전부 제거
□ 꽃봉오리 솎기의 포인트
품종별 꽃봉오리 솎기 |
부유 |
- 1결과지 1개 착과 단과지는 반드시 적뢰 |
갑주백목 |
- 단과지도 착과시킴. - 수세가 강한 상태는 무적뢰 | |
|
|
|
수세별 |
수세강 |
- 생리적 낙과가 유발되므로 많이 남김. |
수세약 |
- 착과수가 많고 착과 과다가 되기 때문에 많은 꽃봉오리 솎기로 나무 부담을 줄여 줌. |
□ 5월 하순(개화 전)
- 병해충 방제 : 잿빛곰팡이병, 둥근무늬낙엽병, 총채벌레 등
□ 6월 상순
○ 병해충 방제(개화직후) : 둥근무늬낙엽병, 흰가루병, 탄저병 감꼭지나방 등
□ 6월 중순 : 낙과방지대책
○ 측지를 유인하여 채광을 좋게 함.
○ 강한 수세는 낙과를 조장함.
□ 열매솎기(6월 하순∼7월 하순)
○ 착과를 확인한 후 즉시 솎음.
○ 1회 열매솎기보다는 과수원 전체를 돌아보면서 7월 상순까지 끝냄.
○ 열매솎기 대상과
- 소과, 기형, 변형과, 꼭지가 기형인 것
- 가지에 기계적인 상처가 있는 것
- 일소과, 비뚤어진 과, 무핵과
○ 열매솎기 시 남길 과실
- 대과, 피해가 없는 것, 유핵과
- 꼭지의 꽃받침이 4개가 가지런하게 녹색으로 진한 것, 꽃받침이 큰 것.
- 약간 중앙을 피한 것을 남기며 밑으로 달려 있는 것
□ 적과의 정도
○ 결과모지의 길이에 의한 방법
길이(㎝) |
←------ 15 ------→ 30 ←------→ | ||
성목, 약목 |
1과 |
2과 |
3과 |
노목 |
적과 |
1과 |
2과 |
- 부유, 갑주백목 과실생산성이 높은 결과모지 길이 : 20∼30㎝
○ 엽과비에 의한 방법
엽과비 |
15 ←一一一一一一一一一一一一一一一一一一一一→ 20 |
품종 |
갑주백목, 이두, 부유 |
□ 6월 하순 : 병해충 방제
- 둥근무늬낙엽병, 흰가루병, 탄저병, 깍지벌레류 등
□ 추비 : 6월 하순∼7월 상순(질소, 가리)
4. 7월∼8월 관리요령
□ 7월 상순
○ 조기 다수확을 목표로 수세가 강한 나무는 억제 - 환상박피
○ 환상박피 : 처리 부위는 지면에서 20㎝
수간 폭(㎝) |
처리 폭(㎝) |
10∼15 15∼20 20 |
0.5∼1.0 1.0∼2.0 2.0 |
○ 환상박피할 때의 주의점
- 수세가 강한 가지 4∼5년생 이상 실시
- 테이프로 박피한 부분을 보호해 주어야 함.
□ 하계 신초관리
○ 염지, 유인, 적심한 것은 무효가 되지 않고 착과시켜야 함.
○ 염지 : 6월 상순경 긴 발육지 기부를 손가락으로 강하게 돌려서 구부림.
○ 유인 : 6월 중ㆍ하순 유인 철사
○ 적심 : 7월 상ㆍ중순
- 도장한 신초는 절간 신장한 부분에 실시
- 2차 신장한 신초는 2차 신장 부분을 2잎 정도 남기고 자름.
□ 7월 상ㆍ중순(병해충 방제)
○ 7월 상순 : 부유 - 둥근무늬낙엽병, 갑주백목 - 흰가루병 방제
○ 7월 중순 : 부유 - 노린재류, 탄저병 방제
□ 7월 하순(병충해 방제)
○ 나무줄기 해충 방제(줄기, 가지에 충분한 약제 살포)
- 깍지벌레류
○ 건조 방지 대책
- 관수(7월하순∼8월하순) : 7∼10일 간격 1회 30㎜ 정도
- 잡초 예취 및 부초 : 장마기가 시작되기 전 베어서 깔아줌.
□ 8월 하순 : 마무리 적과(최종 착과량 걸정)
○ 목표 착과량을 결정하고 엽과비를 참고로 하여 변형과 소과 중심으로 적과
○ 품종별, 수령별 목표 수량(1주당)
□ 8월 중순 : 병해충 방제
- 탄저병, 감꼭지나방, 노린재류
□ 8월 하순 : 병해충 방제
- 흰가루병, 탄저병, 노린재류, 깍지벌레류
5. 9∼10월 관리요령
□ 태풍 대책(8월∼9월)
○ 사전대책
- 어린나무와 도복이 우려되는 것은 주지에 붙여서 유인
- 가지가 부러지거나 찢어지기 쉬운 것은 주지에 붙여서 결속
○ 사후대책
- 병해충 방제 실시
- 도복된 나무는 세우고, 손상부는 절단하고 흙이 파인 것은 진압 후 세워서 절속
- 뿌리가 끊어진 것은 피해 정도에 준해 가지 잎을 전정
- 상처난 부위는 톱신페스트로 도포함.
- 낙엽이 심한 나무는 일소과를 예방하기 위해 석회유 등으로 보호
- 낙엽 정도에 따라 조정 적과 실시
□ 9월 중순
○ 수상 선과 : 수확기까지(상처과, 병해충과는 적과)
○ 적엽 시작은 착색기부터 : 착색 촉진을 위해서는 결과 절을 중심으로 2매 적엽
□ 9월 하순
○ 조생종 감사비료 시용
- 속효성 비료 사용(요소 등)
□ 수확시 준수사항
○ 조기수확을 하지 않고 착색 정도에 따른 수확 실시
○ 강우시, 조기 서리로 수침된 과, 꼭지떨림과 등은 수확하지 말아야함.
○ 취급에 주의하고 과일에 상처가 나지 않게 주의
○ 감꼭지 부분은 짧게 자름.
○ 아침, 저녁엔 착색이 불분명하므로 수확하지 말 것.
6. 11월∼12월 관리요령
□ 11월 상순 : 부유 수확
○ 낙엽상태에 의한 수세진단
- 건전한 나무는 일제히 낙엽이 짐.
- 질소비료를 늦게 시용했거나 과용시 수관하부에 마른 잎이 되어 남음.
□ 11월 하순 : 낙엽제거, 과원정리
□ 12월 상순 : 중경과 심경
○ 유기물(우분 퇴비) 적극적인 시용 2톤/10a
○ 고토석회, 용성인비 중경과 심경할 때 흙과 혼합
□ 12월 중순 : 밑거름(완효성 유기물 주체로 실시)
○ 연간 시용량 50∼70% 질소 시용
○ 계분 시용시는 밑거름량 감소하고 완숙된 퇴비시용
○ 살포 후에는 중경 실시
○ 늦어도 1월 중순까지는 시용해야 함.
□ 심경법
○ 구덩이식
- 1나무 당 2개 구덩이를 파고 다음해부터 구덩이 위치를 바꿈.
- 1구덩이 당 유기물 6㎏, 용성인비 0.6㎏, 미량원소 10㎏ 시비
- 배수가 좋은 과수원에 실시
○ 고랑식
- 뿌리의 끝이 있는 부분을 파고 넣음.
- 구덩이 길이 1m에 유기물 20㎏, 용성인비 2㎏, 미량원소 35㎏ 시비
- 배수가 불량한 과수원에서 실시
'과일나무재배 > 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나무재배-고품질 과실 생산을 위한 겨울전정 (0) | 2008.01.04 |
---|---|
감나무재배- “대봉” 감나무 가지절단현상 (0) | 2007.12.27 |
단감의 주요병충해. (0) | 2007.12.19 |
감의 생리적장애. (0) | 2007.12.19 |
감... (0) | 2007.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