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콩은 한강, 금강, 낙동강 및 영산강을 비롯한 4대강 유역에서 주로 강변, 하천부지에 주산지가 형성되어 재배되고 있는데 매년 홍수로 인한 침수피해가 우려된다. 그러나 땅콩의 침수피해에 관한 조사연구는 그리 많이 되어있지 않아 침수피해정도 예측 및 재배개선에 관한 기본대책자료 설정에 미흡한 점이 많다. 따라서 땅콩재배시 침수에 의한 수량감소정도가 어느 정도이고, 침수일수별 수량구성요소 및 종실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여 침수대책자료로 활용코자 본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본조사는 땅콩의 착협 비대기인 1998년 8월 5일부터 8월 6일까지 2일동안 207mm의 집중호우가 내려 낙동강변 땅콩주산지인 선산지역의 하천부지가 크게 침수되었는데 그중에서도 침수피해가 심하였던 선산군 선산읍 생곡리와 선산읍 가산동에서 1998. 9.11~ 9.13 현지에서 품종별 그리고 침수일수별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상태,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 그리고 식물체의 영양상태 등을 조사분석한 결과이다.
1. 침수가 지상부 새육에 미치는 영향
  침수일수별 땅콩의 주경장에 있어서 재래종은 무침수 39.4cm에 비해 침수일수가 길어짐에 따라 짧아지는 경향이었는데 침수3일째는 15.2cm로 24.2cm나 짧아졌고 분지장도 주경장과 같은 경향으로 짧아졌다. 주당 분지수는 무침수 30.9개에서 침수1일은 17.9개, 침수3일째는 17.0개로 침수기간이 1일정도로 짧아도 현저히 감소되었다. 식물체의 생체중도 무침수가 10a당 1,452kg으로 침수 1일째 855.6kg(59%), 침수 3일째는 1187.4kg(82%)나 감소된 것으로 보아 침수가 땅콩의 지상부 생육에 크게 장해를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표 1. 침수일수별 지상부 생육
품종 침수기간 주경장
(㎝)
분지장
(㎝)
분지수
(개/주)

생체중
(㎏/10a)

건물중
(㎏/10a)
생건비율(%) 단관 생육상태
재래종

무침수
1일
3일

39.4
24.5
15.2
50.8
29.3
18.5
30.9
17.9
17.0
1,452(100)
596(41)
265(57)
346(100)
160(46)
74(22)
23.8
26.8
28.1
양호
잎갈변 다소 불량
잎갈변 극히 불량
영호땅콩 3일 47.8 60.8 14.9 824(57) 239(69) 29.0 극히 불량
주) ( ) : 상대적 지수
2. 침수가 지하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침수일수별 지하부 생육에 있어 근건중은 무침수에 비하여 침수1일 26%, 침수3일째에는 60%나 급격히 감소되었으며, 침수일수별 협장, 협폭은 침수일수가 길수록 감소되었으며, 주당 뿌리혹 박테리아의 무게는 무침수 3.24g에서, 침수 3일째는 0.58g으로 크게 감소되었다.
표 2. 침수일수별 지하부 생육
품종 침수일수 협장
(㎝)
협폭
(㎝)
근건중
(㎏/10a)
경업근중/근건중 뿌리혹 박테리아
(g/주)
재래종 무침수
1일
3일
3.8
3.7
3.6
1.2
1.1
1.1
33.0(100)
24.3(74)
13.2(40)
10.5(100)
6.6(63)
5.6(53)
  3.24(100)
2.72(84)
0.58(18)
영호땅콩 3일 3.2 1.2 27.3(83) 8.8(84) 2.12(65)
주) ( ) : 상대적 지수
  침수일수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은 m2당 협수가 재래종은 무침수 239개에 비하여 침수 1일 130개, 침수 3일 103개로 크게 감소되었다. 그리고 협실비율은 침수시 감소경향이었으나 무침수에 비해 크게 떨어지지는 않았는데 이는 침수시기가 이미 착협이 완성된 상태에서 침수되어 협실비율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종실수량에 있어서도 수량구성요소 감소폭과 유사하였는데, 재래종은 무침수에 비하여 침수1일 61%, 침수3일째 74%가 감수되었고, 영호땅콩은 침수3일째에 59%가 감수되어 재래종에 비해 감수폭이 적었다. 따라서 땅콩은 침수일수가 1일정도로 짧아도 침수에 의한 피해는 매우 크기 때문에 침수시에는 무엇보다 조기 물빼기 작업이 절실히 요망된다.
표 3. 침수기간별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
품종 침수일수 협수
(개/m2)
협실비율
(%)
수량(㎏/10a)
종실 지수
재래종

무침수
1일
3일

239
130
103
78.2
74.8
75.7
513
210
136
401
157
103
100
39
26
영호땅콩 3일 166 73.1 223 163 41
표 4. 침수일수별 종실의 특성
품종 침수일수 종실립수 100립중
(g)
달관 품질 분포(%)
(개/협) (개/m2) 좋음 보통 나쁨
재래종 무침수
1일
3일
1.64
1.48
1.50
392
188
152
111.4
  79.2
  88.6
68.9
49.2
52.6
23.6
29.7
34.1
  7.5
21.1
13.3
영호땅콩 3일 1.75 290 76.9 63.9 26.1 10.0
  침수일수별 협당 종실립수는 침수일수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따라서 m2종실립수도 현저하게 적어졌다. 또한 침수일수별 달관에 의한 색택, 종실크기 등 외형적품질 분포상태에 있어서도 무침수가 가장 양호하였고, 영호땅콩은 침수가 되어도 재래종에 비하여 크게 떨어지지는 않는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침수 등의 기상재해에 대비하여 품종의 선택도 신중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3. 저장기간중 땅콩종실의 품질변화 및 지방산조성
  땅콩의 유통, 저장시 품질의 지표로 볼 수 있는 산패율 즉 산가를 조사한 결과, 침수일수별 산가는 수확당시, 수확후 3개월(1998. 12. 30) 그리고 수확후 6개월(1999. 3. 30)째 공히 무침수에 비하여 침수일수가 길수록 산가가 높아졌으며, 또한 저장일수(저온 4~5℃)가 경과할수록 산가가 증가한 것으로 보아 침수피해가 땅콩 생육과 수량뿐만 아니라 저장기간중의 품질에도 상당한 피해를 준 것으로 관찰되었다.
표 5. 침수일수별 종실의 저장기간중 산가 변화
품종 침수일수 산 가(Acid value)
1998. 9.30
(수확당시)
1998. 12.30
(저장 3개월)
1998. 3.30
(저장 6개월)
재래종 무침수
1일
3일
0.17(100)
0.18(100)
0.21(100)
0.44(259)
0.61(339)
0.68(324)
0.77(453)
1.01(561)
1.24(590)
영호땅콩 3일 0.21(100) 0.62(295) 0.96(457)
주) ( ) : 상대적 지수
표 6. 침수일수별 종실의 지방산 조성 및 조지방함량
(단위 : %)
구분 재래종 영호땅콩
무침수 침수 1일 침수 3일 침수 3일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rachic acid
 Eicosenoic acid
 Behenic acid
 Others
15.7
.4.0
40.8
35.8
.1.0
.0.6
.1.0
.1.5
14.0
.4.4
42.0
35.7
.1.2
.0.6
.1.2
.0.8
15.0
.4.9
42.5
33.2
.1.2
.0.6
.1.1
.1.6
13.8
. 3.1
50.4
28.9
.1.0
.1.0
.1.4
.0.5
조지방(%) 57.2 56.2 55.8 55.7
  침수일수별 지방산 조성과 조지방함량을 조사한 결과 지방산 조성은 침수일수에 따라 뚜렷한 차이는 없었으나 침수일수가 길수록 불포화지방산인 Linoleic acid의 구성비가 낮았고, 조지방의 함량도 1~1.5% 정도 낮았다.
4. 침수일수별 토양성분 변화
  침수피해를 받은 포장의 pH와 C.E.C는 침수일수간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유기물, 인산, 그리고 석회, 고토, 칼리 등 치환성염기의 함량은 무침수에 비해 침수일수가 길수록 함량이 크게 감소된 것으로 보아 침수에 의하여 이들 성분들이 용탈유실되어 비옥도가 현저히 떨어지게 된 결과로 보이며 따라서 침수시 땅콩의 생육장해에 의한 수량감소와 토양의 양분유실을 초래하게 되는 결과도 낳게 되었다.
표 7. 침수지역 침수일수별 토양분석치
품종 무침일수 pH
(1:5)
O.M
(g/㎏)
P2O5
(㎎/㎏)
Ca Mg K CEC
(cmo1+/㎏)
(cmo1+/㎏)
재래종 무침수
1일
3일
7.6
7.5
7.6
18.7
8.0
2.9
576
317
115
4.99
4.70
3.27
3.59
2.14
1.24
0.44
0.39
0.19
6.94
7.11
7.03
영호땅콩 3일 7.1 6.7 173 2.97 2.05 0.23 6.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