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균사생장 조건

(가) 균사생장 범위는 5~32℃이나 최적온도는 25℃ 내외이며, 5℃이하가 되면 균사생장이 정지되고 32℃이상이 되면 사멸 위험성이 있다.

(나) 균사생장시 원목의 수분함량은 38~42%가 적당한데 벌채시 원목의 수분함량은 45~48%이므로 반드시 건조시켜야 한다.

(다) 표고버섯의 균사배양시 공기중의 습도는 80~90%로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라) 균사배양시에는 광이 필요하지 않으나 알맞는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산광이 될수 있도록 차광망을 설치 하는 것이 균사생장에 도움이 된다.

(2) 자실체 발생 조건

(가) 표고는 영양생장 과정을 거쳐 생식생장을 하여 버섯이 발생하게 되는데 원기가 형성되는데에는 온도, 습도, 광선, 영양분등의 영향을 받는다.

(나) 원기형성시의 온도는 계통에 따라서 다르나 7~17℃가 최적임(5℃이하와 30℃이상에서는 원기가 형성되지 않음)

(다) 항온보다는 변온이 좋으며 하루중 최고와 최저의 온도차가 8~10℃일 때 버섯발생이 가장 양호하다.

(라) 표고는 광(光)을 좋아하나 직사광선보다 산광을 필요로 하며 암흑상태에서는 버섯이 전혀 발생되지 않음

(마) 버섯발생시 원목내의 수분함량은 50~60%, 공기중의 습도는 80%정도일 때 자실체 발생상태가 양호함(원목내의 수분함량이 80% 이상으로 포화상태일때는 산소부족으로 발이 불량)



(1) 원목의 선택

(가) 표고균은 사물기생 목재부후균으로 형성층에 영양분이 많고 심재부가 적으며 표피가 벗겨지지 않은 원목을 선택해야 한다.

(나) 원목의 굵기(말구직경)는 10~20cm 정도가 적당하며, 굵을수록 첫 버섯의 발생은 늦으나 품질은 양호하다.

(다) 나무껍질은 균사를 보호하며, 원목내의 수분을 유지하고, 균사생장 후에는 버섯을 발생시키는데 큰 역할을 한다.

(라) 표고재배에 적당한 나무는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물참나무 등이며 탄닌성분이 많은 것이 좋다

(2) 원목의 벌채

(가) 원목의 벌채는 영양분이 많고 수피가 벗겨지지 않는 수액이 정지된 시기가 좋으며, 벌채적기는 나무의 단풍이 30~40% 정도 든 10월 상순부터 다음해 물이 오르기전인 2월 하순까지가 좋다.

(나) 가을벌채는 북향, 서향, 동향, 남향 순으로 하며, 이른 봄에는 역순으로 벌채한다.

【표 1】원목의 굵기와 ㎡당 본수

원목굵기(cm)
5
8
10
15
20
25
본 수(㎡당)
395
154
99
44
25
16

(3) 토막치기와 건조

(가) 토막치기 적기는 연필 굵기 정도의 작은 가지를 꺽어 쉽게 부러지던가 원목의 자른 부분에 잔금이 나 있을 때가 적당하다.

(나) 인력사정이 좋을 때는 벌채와 동시에 1.0~1.2m로 절단하여 정(井)자 모양으로 쌓아서 건조시킨다.

(다) 원목을 건조시키면 수피가 원목에 밀착되고 수피에 묻은 잡균도 불활성화되어 잡균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라) 건조기간은 수종과 계절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략 40~60일 정도 건조시키면 접종하기에 알맞다.

(마) 원목의 수분함량이 25%이하로 건조되면 균사생장이 되지 않으며, 인위적으로 수분을 조절하여 접종할 경우에는 거의 실패하게 된다.

(바) 원목은 수분함량의 균일한 조절과 균사배양 후 버섯발생 작업등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소경목, 중경목, 대경목을 구분 건조시키는 것이 편리하다.



(1) 종균의 선택

(가) 버섯재배에 있어서 종균은 매우 중요하며, 수량을 높이기 위해 우량품종을 선택해야 한다.

1) 저온성( 8~18℃) : 임협 2, 5호, 산림 1, 3호, 모리 290, 505호

2) 중온성(15~25℃) : 임협 3, 6호, 산림8호

3) 고온성(15~25℃) : 임협 1, 4, 7호, 산림 2, 4, 7호, 농기 3호, 모리 465호

4) 톱밥재배용 : 농기3호, 산림5, 6호

(나) 톱밥종균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원목의 수분함량이 다소 많을 때에도 종균과 형성층이 접하는 면적이 많아 초기의 균사생장이 빠른 장점이 있으나 종균의 접종작업에 인력이 많이 소요된다.

(다) 성형종균은 버섯균사가 완전히 생장한 톱밥종균을 부수어 일정한 성형기에 넣고 스치로폼 마개를 한 후 1주일 정도 배양을 하여 사용하고 있다. 성형종균은 톱밥종균에 비하여 접종작업이 빠르고 노약자도 가능하며 비용이 30%정도 절감되면서 활착율과 균사의 생장속도도 비슷하다.

(라) 성형종균 제조시 주의할 점

1) 종균의 성형장소는 청결하고 푸른곰팡이와 같은 해로운 미생물의 밀도가 낮아야 한다. 바닥은 시멘트 등으로 깨끗이 포장이 되어야 하며 실내는 작업전에 미리 70% 알콜, 벤레이트나 팜마쉬 800배액을 살포하고 유황을 태우는 훈중소독을 하여야 한다.

2) 작업과 관련된 기구들도 미리 소독을 하여야 하며 매일 작업이 끝난 후에도 청소를 한다음 소독약제를 뿌리고 작업을 하지 않을 때는 자외선 살균등을 켜 놓는다.

3) 종균은 사전에 철저한 육안검사를 하여 균사의 활력이 강하고 잡균이 없는 좋은 것만을 암냉소에 보관하며 사용한다.

4) 성형작업실은 직사광선이 들어오지 않으며 온도는 15℃, 습도는 70%이하를 유지하여야 잡균의 발생율이 낮다.

5) 성형종균의 제조시에는 톱밥배지의 수분함량, 톱밥의 크기 등에 따라 스치로폼 마개가 성형기의 표면과 수평이 되도록 조절한다.

6) 성형작업을 마친 것은 15~18℃의 배양실에 넣되 가운데 부분이 호흡열에 의해 고온피해를 받거나 균사의 세력이 떨어질 염려가 있으므로 10매 이상 겹치지 않게 놓는다.

7) 성형종균의 배양기간은 7~10일 정도가 알맞다. 따라서 너무 일찍 배양을 하지 말고 접종일자에 맞도록 순차적인 배양을 하여야 활력이 왕성한 종균을 심을 수 있다.

8) 배양기간이 길어지거나 고온에서 배양을 하게되면 종균의 수분이 증발되어 수축되므로 성형판에서 종균을 분리하기는 쉬우나 균사의 활력은 이미 약해지게 된다.

9) 성형종균은 저장력도 약하며, 저온에서 오래두면 마게가 떨어지므로 3~5℃의 냉암소에 단기간만 저장을 한다.

10) 종균을 심을 때에는 성형판의 뒷면을 자세히 관찰하여 균사의 밀도가 낮거나 백색이외의 종균은 미리 제거를 한다.

11) 종균은 한 번에 너무 많이 빼놓고 심을 경우 건조가 되기 쉬우므로 성형판을 몇 개로 나누어서 빼면서 즉시 심는다.

12) 종균을 심은 후에 습도가 낮거나 골목이 건조하게 되면 다른 종균보다 균사의 활착이 부진하기 쉬우므로 접종초기에는 골목의 온습도 관리를 잘 하여야 한다.

(2) 종균접종

(가) 종균의 접종시기는 3월 중순~4월 중순경이 적기이며, 맑은 날 음지에서 실시하고 벗꽃이 필 때까지는 끝마치도록 해야 한다.

(나) 구멍을 뚫는 드릴의 회전속도는 분당 6,000~10,000회전, 드릴날의 직경은 12mm의 표고 전용을 사용한다.

(다) 구멍의 깊이는 원목의 직경이 10cm일때 2.5cm 정도이나, 굵은 원목은 3~4cm로 깊이 뚫는다.

(라) 접종구멍은 절단면에서 5cm떨어진곳에서 부터 15~20cm 간격으로 6~7개가 알맞다.

(마) 열간 간격은 5~6cm, 앞에 뚫은 구멍과 지그재그형이 되도록 하고 원목 1본당 30~40개정도 뚫는다.

(바) 종균은 구멍당 1~2g을 접종하며, 종균1병당 10본 정도 접종할 수 있다.



(1) 임시 눕히기

(가) 눕혀두는 장소는 비닐하우스가 가장 좋으나, 야외에서 대량으로 할 때에는 장작쌓기나 베게목 쌓기를 한 후 비닐을 덮고, 구멍을 뚫어 통풍이 잘 되도록하고 그 위에 차광망을 덮는다.

(나) 골목의 수분함량이 많고 생기(生氣)가 있을 경우에는 정(井)자 쌓기, 건조가 심한것은 세워쌓기를 한다.

(다) 임시눕히기 기간중의 적당한 온도는 15~20℃, 습도는 90% 이상 유지하고, 종균접종 3주일후 부터 수시관수하여 골목의 건조를 방지하여야 함.

(라) 종균접종 부위로부터 균사가 활착되어 20mm정도 생장되었거나 기온이 20℃이상일 때 임시눕히기를 중단 한다.

(2) 본 눕히기

(가) 본 눕히기 장소는 7음 3광으로 습도는 70~80%, 온도는 20~28℃로 통풍과 배수가 잘되는 동향 또는 동남향의 온난한 10~15도의 경사지가 적당하다.

(나) 눕혀두는 방법은 정자형(井字形)쌓기, 베게목쌓기, 가위목쌓기 등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베게목쌓기가 많이 쓰인다.

(다) 베게목 쌓기는 지면에 60cm 높이로 가로목을 설치하고, 골목을 3~4개씩 30~45도 정도 비스듬히 기대어 세워 놓는 작업을 반복한다.

(라) 장마가 끝난 7월 중순과 8월 하순경에 골목의 상.하 뒤집기 작업을 하여 균사가 균일하게 생장하도록 한다.

(3) 골목 세우기

(가) 세우는 방법은 버섯의 발생작업이 쉽도록 가위목형으로 하며, 장소는 통풍과 배수가 양호한 "동남향의 3광 7음, 4습 6건"이 되는 숲속이 좋으나 하우스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나) 한번 버섯을 재배한 곳은 가능한 피하는것이 좋으며, 계속 재배할 경우에는 미리 정지작업을 하고 살충.살균제나 소석회등을 살포한 후 재배를 한다.



(1) 버섯발생

(가) 품종별로 종균접종 후 부터 적산온도를 보면 저온성은 5,700~6,000℃, 중온성은 4,000~4,500℃, 고온성은 3,000~3,500℃이다.

(나) 골목의 수분조절 방법은 살수는 2~3일, 침수는 1~2일 정도 실시 한다.

(다) 중온성, 고온성 품종은 버섯발생시 도골 또는 타목을 한후 수분조절을 함

(라) 침수를 위하여 물리적 충격을 받은 골목은 이동 즉시 침수하지 않으면 버섯 발생이 불균일 하거나 전연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를 해야 한다.

(2) 수확 및 건조

(가) 생표고 버섯은 갓이 5~6부, 건표고는 7~8부 벌어진 것을 수확 한다.

(나) 고온기에 수확한 버섯은 저온저장고에 넣거나 서늘한 장소에서 2~3시간 예냉처리 후 포장을 해야 한다.

(다) 화력건조시 40~45℃에서 3~4시간 예비건조, 50~55℃에서 8~12시간 본건조, 55~60℃에서 1~3시간 후기건조 순으로 실시 한다.

(라) 건조시킨 버섯은 "동고, 향고, 향신, 등외"로 선별 포장하여 판매를 한다.



(1) 버섯이 발생하여 수확을 하면 골목내의 수분이 감소되고, 균사체내의 영양분이 소모되어 표피내에 생겼던 원기도 적어지게 된다.

(2) 골목의 휴양기간은 기온이 20℃이상 높을 때에는 25~30일, 기온이 낮을 때에는 40일 정도가 필요하다.




(1) 온 도

(가) 표고버섯 균사가 자랄수 있는 온도는 5~32℃이며 최적온도는 25℃임.

(나) 표고가 발생할 때의 온도는 품종에 따라서 다르나 12~18℃가 최적임.

(다) 변온 조건하에서 자실체 발생이 촉진되므로 하루의 주야간 온도 차이가 8~10℃일 때 양호하다.

(라) 온도가 너무 낮은 5℃이하나 30℃이상에서는 원기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갑작스로운 발이 작업이나 외부환경이 적절하지 않을 때는 주의를 해야 한다.

(2) 수 분

(가) 버섯의 발생수가 가장 많은 골목의 수분함량은 50%~60%가 알맞다.

(나) 수분이 적으면 버섯 발생량이 적고 품질이 나쁘며 침수시간이 너무길어 원목내의 수분함량이 80%이상으로 과다하여 포화 상태일 때에는 산소부족으로 발이상태가 불량하게 된다.

(3) 습 도

(가) 습도가 낮을 때에는 골목의 표피가 건조되기 쉽고 심하면 어린 버섯의 생육이 정지되거나 고사하게 된다.

(나) 버섯이 발생될 때에는 90%이상의 습도를 유지하고 버섯이 생장함에 따라 60~70% 정도로 낮추어 품질을 향상 시킨다.

(4) 광

(가) 버섯발생을 시킬 때 광을 필요로 하나 직사광선은 오히려 해가 되므로 충분한 산광이 비쳐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광은 7음 3광이 버섯발생 및 생육에 좋다

(나) 암흑상태에서는 전혀 버섯이 발생되지 못하나 빛을 조사하면 20여일 후에 원기가 형성 된다

(다) 광량이 많으면 버섯의 대가 굵고 짧으며, 갓이크고 색깔이 짙어져 품질이 좋지만 너무 과다하면 버섯이 말라 죽고 골목의 껍질이 경화된다.



균사생장 ⇒ 버섯발생억제 ⇒ 예비살수 ⇒ 골목침수 ⇒ 물빼기 ⇒ 버섯발생(발이) ⇒ 생육 ⇒ 수확 ⇒ 휴양을 한 다음 다시 반복과정을 거치며, 과정별 주요작업은 다음과 같다.

【표 1】단계별 주요작업 과정
재배시기
품 종
재배기간
억제→
예비살수→
침 수→
여 름
고온성
6~9월
없 음
골목건조시
2~5일살수
수온16~18℃5~20시간
가 을
고온성
중온성
10~11월
없 음
골목건조시2~5일살수
10월:15~24시간
11월:24~48시간
5~20시간
겨 울

중온성
저온성
12~3월
1~2개월
없 음
수온10℃이상
1~3주야

중온성
저온성
4~6월
2월부터
골목건조시살 수
6~20시간

재배시기
물빼기→
버섯발생→
생 육→
수 확→
휴 양
여 름
없 음
피복(습도유지
1~3일 유지
16~25℃
통풍양호
서늘한곳
2~3일 생육
6~7부 개산
1일 2회수확
서늘한 장소
2~3주간
가 을
실내
3~6일
피복(습도유지4~5일 유지
낮20℃전후
4~7일 생육
7부이내 개산
2~3일간 수확
골목장에 옮김, 살수20~40일간
겨 울
실내
5~20일
피복(습도유지
3~5일 유지7~18℃
낮20℃전후
야간 0℃이상7~10일 생육
7부 개산
2~4일간 수확
하우스내 유양
살수 및 피복
30~40일간
실내
1~3일
피복(습도유지3~5일 유지
낮 20℃
4~7일 생육
7부이내 개산
2~3일간 수확

골목장에 옮김, 살수

20~40일간


버섯의 발생온도범위는 10-25℃서 주 발생시기는 6월, 9월상순-10월하순이나 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저온기에 발생된 것은 건조품을 만들 수 있으나 생표 고용으로 적당하다.


톱밥재배용으로 버섯의 발생온도 범위는 10-20℃, 습도는 75-90%이다. 공조시설을 이용한 재배사에서는 년중생산이 가능하며,생표고 생산용이다.


톱밥재배용으로 버섯의 발생온도는 10-20℃이고 발생실의 습도는 80-90%이다. 생표고 생산용이며 품질이 균일하고 육질이 부드럽다.

버섯의 발생온도 범위는 11-23℃이며, 7월, 9월상순-11월하순에 많이 발생한다. 종균을 접종한 2년차의 수량이 높으며 생표고용으로 적당하다.


버섯의 발생온도 범위는 12-25℃이고 주 발생온도는 17℃내외이다. 버섯의 발생시기는 5월중순-6월하순,9월상순-10월중순이다.
균사생장이 빨라 버섯나우를 만드는 기간이 짧고 첫 버섯의 발생도 접종 후 150일 정도로 빠르다. 버섯은 크고 육질은 중간정도이다. 연중 수확기간이 길고 자극에 예민하여 버섯의 발생조작이 비교적 쉬운 편이다.


버섯의 발생온도 범위는 14-26℃이며, 주 발생온도는 18℃내외이다. 종균을 접종한 이듬해 가을부터 발생하기 시작하며 주로 6월상순-7월 초순, 8월하순-9월하순에 발생한다. 버섯은 크고 육질이 두껍고 단단하여 개체중이 무겁다. 또한 생버섯의 선도 유지기간이 길고 건표고용으로도 적당하다


일본에서 육성되어 품종 등록이된 저온성으로는 균흥115,135호,모리123,147호등이 있으며, 중저온성 품종으로는 모리252,256,290,505호,균흥169,170호, 중고온성 품종은 균흥535,610호,모리468,602,707,863호등이 있다.
이러한 품종들은 일반 종균배양소에서 구입을 할수 있으나 육성한 회사에 로열티를 지급하지 않은 것은 불법으로 거래되는 것이므로 주의를 해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