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우의 경제형질
    도체중이라든가 생시 체중과 같이 가축의 능력을 나타내는 척도를 형질이라고 한다. 한우를 비롯한 많은 가축들은 수많은 형질을 갖고 있는데 이 중 경제적으로 가치가 있는 형질을 경제형질이라고 한다. 한우의 경우 경제 형질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성장형질, 도체형질 그리고 번식형질이다.
  한우에서 3가지로 분류한 경제형질을 다시 세분화하면 성장형질에는 생시체중, 이유시체중, 6개월령체중, 12개월령체중, 18개월령체중, 출하시 체중 및 체형이 있고, 체형은 다시 구체적으로 체장, 체고, 십자부고, 고장, 흉위, 흉폭, 흉심, 요각폭, 전관위, 좌골폭 및 곤폭으로 나눌 수 있다. 도체형질에는 도체중, 등지방두께, 배장근단면적, 근내지방도 및 도체율이 있으며, 번식형질은 수정율, 배란율, 사산율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한우는 다양한 형질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한우의 형질은 개체가 가지고 있는 유전자에 의해서 표현되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형질에 대한 유전자를 밝혀내어 능력이 우수한 유전자를 갖고 있는 한우를 선발하여 이용하면 한우의 능력을 개량하는데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나, 이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밝혀내는 것도 어렵지만 한 형질에 여러 유전자가 동시에 관여하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유전자를 이용한 한우 개량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이 아니다.
  한우의 경제형질을 크게 3가지로 구분하였으나 형질을 구분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는 양적 형질과 질적 형질이다. 한우에서의 경제형질이 대부분 양적 형질에 속하는데, 근내지방도 같은 경우는 질적 형질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럼 양적 형질과 질적형질은 어떻게 구분이 되는가? 양적 형질은 체중이나 체위와 같이 형질에 대한 표현형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형질을 말한다. 하지만 질적 형질은 표현형이 연속적인 숫자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몇 가지로 구분되는 것을 말한다. 한우의 근내지방도를 예를 들면 1~7로 근내지방의 정도를 구분하고 있다. 질적 형질의 다른 예를 들면 분만 난이도 같은 형질의 경우 순산, 난산 등 몇 가지 정도로 구분하여 표현할 수 있다.
           
  2. 평가 방법
    가. 모형
      모형이란 가축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개체의 표현형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효과와 다른 외부효과로 분리해 놓은 수학식을 말한다. 따라서 모형에 어떠한 요인을 첨가하느냐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의 모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개체의 표현형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효과는 개체 자신의 유전자 효과와 어미나 아비의 유전자 효과 또는 조부모의 유전자 효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다른 외부효과로는 어미의 산차, 어미의 연령, 사육 장소, 성별 및 출생년도와 계절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유전자 효과와 환경적인 요인을 이용하여 개체의 표현형을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학식 즉 모형을 이용해 개체의 표현형에서 유전적 요인이 차지하는 비율을 추정하여 유전적 요인이 우수한 개체를 선발하는 것이다.
           
    나. 모형의 종류
      이렇게 개체의 표현형에 영향하는 요인으로 표현되는 모형은 어떤 유전자 효과를 평가하느냐에 따라서 몇 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개체 자신의 유전자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모형에 유전적 요인으로 개체의 유전자 효과를 추가하는 것을 개체모형이라고 한다.
  한우에서 개체의 생시체중과 이유시체중은 개체의 유전적 요인에 의해서도 표현되지만 어미의 건강상태, 비유능력 및 어미의 유전적 요인에 의해서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어미의 비유능력이 좋을 경우 자식이 많은 우유를 섭취해 이유시체중이 어미의 비유능력이 떨어지는 경우보다 좋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어미의 효과를 모체효과라 하고 이런 경우 모형에 모체효과를 환경적 요인으로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모형을 모체효과가 있는 개체모형이라고 한다.
  이외에 아비모형은 아비의 유전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모형에 아비의 유전적 효과를 넣은 모형을 말한다.
           
    다. 개체 모형
      개체모형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개체 자신의 표현형에 개체의 유전적인 요인이 얼마나 되는가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형이다. 개체의 유전적 요인은 아비와 어미로부터 전달받은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개체 자신의 유전적 능력은 자식에게 얼마나 우수한 유전자를 전달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전적 능력이 우수한 암소와 수소를 교배하면 자식의 유전적 능력이 다른 개체보다 우수하게 나타날 것이다.
  다음과 같은 두 마리의 개체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다음 두 마리 개체의 도체중이 330㎏으로 같다고 하자. 개체의 표현형에 영향하는 요인을 환경적 요인과 개체 자신의 유전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나타내면 아래 그림 1과 같다.
           
 
 
그림 1. 개체의 표현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 경우 만약 두 개체 중에 한 마리를 선택하여 교배를 하려한다면 표현형으로 선택할 경우 두 마리 모두 330㎏이므로 아무 개체나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후대에 전달할 수 있는 요인인 개체 자신의 유전적 요인이 B 개체의 경우 5㎏이고 A 개체는 10㎏이므로 A 개체를 선택하여 교배하는 것이 다음 세대의 능력을 더 우수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라. 육종가(Breeding Value)와 추정 전달 능력(PTA)
      어떤 가축의 육종가는 그 가축의 종축으로서의 가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KPN000'이란 종모우의 18개월령 체중에 대한 육종가는 우리나라에 있는 여러 암소를 임의로 뽑아 'KPN000'과 교배하여 송아지를 얻은 다음, 이 송아지들의 18개월령 평균체중에서 우리나라 소 전체의 18개월령 체중의 평균을 뺀 값을 2배한 값이 된다. 여기서 2배를 하는 것은 ‘KPN000' 능력의 절반만이 송아지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암소를 많이 뽑을수록 다시 말해 교배하여 얻은 송아지의 숫자가 많을수록 추정된 육종가의 정확도는 높아진다(무한히 많은 암소와 교배를 하여 송아지를 얻으면 정확한 육종가를 구할 수 있다). 하지만 사실상 이렇게 하기란 비용, 시간, 노력이 많이 들고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일정한 두수의 암소를 뽑아 교배를 하여 송아지를 얻어 이를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육종가를 추정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추정한 육종가(Estimated Breeding Value)의 정확도를 표시하기 위해 '신뢰도'를 표시한다.
  어떤 개체의 육종가가 음(-)의 값이 나왔다면 아래 식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그 개체의 능력이 전체 평균보다도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여기서 주의할 것은 육종가가 음의 값이 나왔다고 해서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만약 체중에 대한 사료요구율(체중 1㎏을 증가하는데 필요한 사료의 양)의 육종가를 추정하여 보니 A란 소는 2가 나오고 B란 소는 -2가 나왔다고 하자. 이는 A 소가 평균보다 2㎏을 더 먹고 체중 1㎏을 낸다는 것이고 B 소는 평균보다 2㎏이나 적게 먹고도 같은 양의 체중이 증가한다는 것이 된다. 즉, 이런 경우에 음의 값이 나온 것이 더 우수한 것이 된다
           
   
개체 A의 육종가 추정치 = 2 × (개체 A 자손들의 평균 - 전체 평균)
    ※ 주의 : 수식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육종가는 전체평균에 대한 값이므로 미국에서 구한 육종가와 한국에서
             구한 육종가를 그대로 비교할 수는 없다. 즉, 미국의 평균이 한국의 평균과 같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형질의 육종가간의 비교도 아무런 의미가 없다.
           
    'KPN000'의 참육종가가 100이었다면 이 개체가 자손에게 유전적으로 물려 줄 수 있는 능력은 정자 또는 난자는 전체 유전자의 절반만 가지므로 100의 절반인 50이 된다. 즉 어떤 개체가 그 다음 세대로 전달하는 값은 그 개체의 육종가의 절반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어떤 개체가 새끼에게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유전전달능력(Transmitting Ability)'이라고 하고 이는 그 개체 육종가의 절반이 된다. 즉,
           
   
A 개체의 유전전달능력(TA) = ½ × A 개체의 육종가(BV)
           
    가 된다.
  그러나 여기서 주의할 것은 어떤 가축의 참육종가를 정확히 아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통계적으로 추정한 '추정 육종가(Estimated Breeding Value;EBV)'를 사용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참육종가 대신에 추정한 육종가 즉 추정 육종가를 사용하고 이에 따라 우리가 구한 유전 전달 능력도 역시 참유전 전달 능력이 아닌 추정전달능력(Predicted Transmitting Ability;PTA)이 되는 것이다. 즉,
           
   
A 개체의 추정유전전달능력(PTA) = ½ × A 개체의 추정육종가(EBV)
           
    이 된다. 여기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은 추정 유전 전달 능력도 육종가와 같이 항상 양의 값이 좋고 음의 값이 나쁜 것은 아니다. 육종가를 추정한 대상형질이 무엇이냐에 따라 다르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수식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추정 전달 능력은 육종가에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에 육종가와 마찬가지로 미국에서 구한 추정 전달 능력과 한국에서 구한 추정 전달 능력을 그대로 비교할 수는 없다
           
    마. 혈연관계
      개체의 혈연관계는 개체의 유전적 능력을 평가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쓰이는 자료이다. 개체의 표현형은 부모로부터 받은 유전자에 많은 영향을 받는데, 그 부모 역시 또 다른 부모의 유전자를 전달받아 후손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따라서 개체의 성적에 혈연관계를 반영하여 보다 정확한 유전적 능력을 추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자료가 없는 개체, 즉 능력 성적이 없는 개체에 대해서는 개체간의 혈연관계를 이용해 유전적 능력을 추정하게 된다.    예로 자손의 유전적 능력을 이용해 자료가 없는 아비나 어미의 유전적 능력을 추정하는 것을 들 수 있고, 현재 후대검정 보증 종모우를 선발하기 위해서 후보 종모우의 정액을 이용해 많은 자손을 생산하고 생산된 자손의 자료를 이용해 후보 종모우의 유전적 능력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보증 종모우를 선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개체의 성적을 측정하고 수집하는 것만큼 개체의 혈연관계 즉 부모에 대한 자료 역시 유전 능력 평가에 매우 중요한 것이다. 하지만, 개체의 정확한 혈연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인공수정이 체계화되어야 하는데 비용이 많이 드는 관계로 아직도 자연교배를 실시하는 농장이 있다. 물론, 자연교배를 하면서도 혈연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나 능력이 평가된 수컷이나 암컷을 이용하여 교배하지 않기 때문에 유전 능력의 개량에는 오히려 역행하는 측면이 있다.
           
  3. 평가방법
    가. 평가대상형질
    (1) 성장형질 : 생시(W0), 3개월령(W3), 6개월령(W6), 12개월령(W12), 18개월령(W18) 및 출하시체중(FW)
(2) 도체형질 : 도체중(CW), 도체율(DP), 등지방두께(BF), 배장근단면적(EMA), 근내지방도(MS)
           
    나. 분석전 보정
    W3, W6, W12, W18, FW 형질들은 사육일령에 따라 선형보정하였다.
           
    다. 분석모형
      개체의 혈통정보를 이용하여 개체들 간의 혈연관계를 구하였고 환경효과를 고정효과로 처리하였으며 개체들에 대하여는 개체들 간의 혈연관계를 고려한 상가적 유전효과(direct additive genetic effects) 및 이유전 형질에 대하여 모체 유전효과(maternal genetic effects)를 임의변량으로 간주한 개체모형으로 설정하였으며 도체형질에 대하여는 도축일령을 공변이(co-variate)로 설정하였다. 또한 모든 형질의 분산성분추정은 MTDFREML Program(Boldman 등, 1995)을 이용하였으며 수렴의 판단기준은 10-8로 간주하였고 이때의 해를 육종가 추정치로 하였다.
  분석 모형은 다음과 같다.
           
    (1) 이유전 형질(W0, W3)
   
Yijkl = μ + YSi + Sj + Lk + AGEl + Aijkl + Mijkl + eijkl
      여기서, Yijkl: 관측치
             μ : 전체 평균
             YSi : i번째 연도-계절효과(1978~1998, 사사기와 방목기)
             Sj : j번째 성의 효과(암,수)
             Lk : k번째 출생지역의 효과〔한개부(내,외부), 축산연(대관령지소, 남원지소)〕
             AGEl : l번째 어미 연령의 효과
             Ajikl : Random Direct Additive Genetic Effects
             Mijkl : Random Maternal Genetic Effects
             ejikl : Random Error
           
    (2) 이유후 형질(W6, W12, W18, FW)
   
Yijkl = μ + YSi + Sj + Lk + Aijkl +eijkl
      여기서, Yijkl : 관측치
             μ : 전체 평균
             YSi: i번째 연도-계절효과(1978~1998, 사사기와 방목기)
             Sj : j번째 성의 효과(암컷, 수컷 비거세, 수컷 거세)
             Lk : k번째 출생지역의 효과〔한개부(내,외부), 축산연(대관령 지소, 남원지소)〕
             Aijkl : Random Direct Additive Effects
             eijkl : Random Error
           
    (3) 도체 형질(CW, DP, BF, EMA, MS)
   
Yijkl = μ + YSi + Lj + Sk + Dijkl + Aijkl + eijkl
      여기서,Yijkl : 관측치
             μ : 전체 평균
             YSi : i번째 연도-계절효과(1978~1998, 사사기와 방목기)
             Lj : j번째 출생지역의 효과〔한개부(내,외부), 축산연(대관령지소, 남원지소)〕
             Sk : 거세 효과
             Dijkl : 도축일령에 대한 Co-variate
             Ajikl : Random Direct Additive Effects
             ejikl : Random Error
           
    (4) 18개월령의 체위
   
Yijkl = μ + YSi + Lk + Aijkl + eijkl
      여기서, Yijkll : 관측치
             μ : 전체 평균
             YSi : i번째 연도-계절효과(1978~1998, 사사기와 방목기)
             Lk : k번째 출생지역의 효과〔한개부(내,외부), 축산연(대관령지소, 남원지소)〕
             Ajikl : Random Direct Additive Effects
             ejikl : Random Error
           
  4. 분석결과
    표 1은 1981년도부터 2001년도까지 각 형질별 분석에 포함된 개체수를 말한다. 발육형질(생시체중, 이유시체중 등)은 개량기관별 당·후대검정에 참여한 개체로 6,635두부터 13,808두의 범위로 분포하고 있으나 도체형질(도체중, 도체율 등)의 개체수가 작은 것은 후대검정에 참여한 두수이기 때문이다.
  표 2는 이유전 형질에 대한 연도별 암수별 표현형 평균체중과 표준오차를 표시하였다. 생시체중에는 암수별 년차별로 차이가 없으나 최근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유시체중도 약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표 1. 각 형질에 대한 표현형 평균 및 표준오차
   
형질
분석개체수
평균체중±표준오차
  생시체중(W0), kg
  3개월령체중(W3), kg
  6개월령체중(W6), kg
  12개월령체중(W12), kg
  18개월령체중(W18), kg
  출하시체중(FW), kg
  도체중(CW), kg
  도체율(DP), %
  배장근단면적(EMA), ㎠
  등지방두께(BF), ㎝
  근내지방도(MS), 점
13,808  
10,649  
12,383  
7,977
6,635
3,783
3,916
3,891
3,674
3,868
3,153
  23.3 ± 3.168
  70.8 ± 13.155
131.3 ± 27.97 
282.1 ± 65.45 
423.3 ± 95.24 
527.8 ± 80.58 
300.0 ± 40.51 
  58.2 ± 1.97
  78.4 ± 9.43
  0.62 ± 0.32
  2.20 ± 1.30
           
    표 2. 출생년도별 이유전 형질의 표현형 평균 및 표준오차                                             (단위 : kg)
   
연도/형질
생 시 체 중 (W0)
이 유 시 체 중 (WW)
암컷
수컷
암컷
수컷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3.4 ± 2.67
25.2 ± 2.96
25.1 ± 1.77
24.3 ± 3.18
20.6 ± 2.71
22.6 ± 2.81
22.9 ± 2.65
22.7 ± 2.47
22.7 ± 2.93
21.4 ± 2.54
22.0 ± 2.59
22.6 ± 2.34
22.6 ± 2.80
22.1 ± 2.86
22.0 ± 2.76
22.1 ± 2.47
21.9 ± 2.80
22.8 ± 3.95
23.9 ± 3.83
23.8 ± 4.53
25.7 ± 3.28
26.9 ± 2.60
27.3 ± 2.77
26.7 ± 2.46
25.6 ± 2.22
21.9 ± 2.84
24.9 ± 3.07
25.2 ± 2.85
24.4 ± 2.93
24.1 ± 3.10
22.7 ± 2.90
23.4 ± 2.72
24.4 ± 3.11
24.7 ± 3.12
23.6 ± 3.14
23.8 ± 3.11
23.7 ± 2.79
24.1 ± 2.87
24.2 ± 3.24
25.9 ± 4.34
25.7 ± 3.91
29.0 ± 3.50
  66.7 ± 6.88
  72.1 ± 13.33
  69.3 ± 8.25
  66.5 ± 11.65
  66.5 ± 9.04
  70.6 ± 10.15
  71.5 ± 10.59
  70.5 ± 9.54
  62.6 ± 10.40
  72.4 ± 12.15
  67.9 ± 11.44
  70.2 ± 9.54
  63.2 ± 9.36
  66.9 ± 10.44
  66.0 ± 11.98
  64.1 ± 10.05
  61.0 ± 10.46
  66.4 ± 17.58
  77.8 ± 13.50
  72.4 ± 16.06
  89.6 ± 5.29
  72.4 ± 6.48
  78.5 ± 9.48
  76.0 ± 10.46
  71.9 ± 9.60
  71.9 ± 9.11
  77.6 ± 9.68
  78.6 ± 11.46
  71.6 ± 10.01
  68.46 ± 10.95
  79.2 ± 14.89
  78.1 ± 9.67
  73.1 ± 10.62
  70.0 ± 11.57
  73.5 ± 11.05
  72.4 ± 13.39
  72.9 ± 13.99
  77.2 ± 17.07
  75.9 ± 14.33
  76.5 ± 14.57
  73.4 ± 14.42
~
           
   
  표 3과 표 4는 년차별로 이유후 형질에 대한 암컷과 수컷의 표현형 평균을 나타난 표로 연차별로 연도가 증가 할수록 체중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암컷의 경우 6개월령 체중이 1981년도에 123Kg에서 2001년도에 152Kg으로 증가되였고 12개월령과 18개월령 체중도 1981년도에 182, 258Kg에서 2000년도에 각각 230, 297Kg으로 증대되였다. 수컷도 마찬가지로 6,12 및 18개월령 체중에 연도가 증가 할수록 증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표 3. 출생년도별 이유후 형질의 표현형 평균 및 표준오차                                                (단위 : kg)
   
연도/형질
6개월령체중
12개월령체중
18개월령체중
출하시체중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123.8±15.56
135.3±23.35
131.4±18.50
125.6±21.46
114.7±15.80
120.7±19.40
122.3±19.43
120.7±18.65
106.3±21.01
128.0±22.23
124.6±18.15
122.7±18.77
108.3±22.01
114.5±19.14
126.3±19.19
124.5±19.40
119.5±23.29
114.7±25.56
133.7±31.01
126.4±20.83
152.2±11.10
182.2±21.49
192.0±24.91
197.0±31.58
203.0±33.70
189.7±28.42
160.3±19.62
185.1±29.64
192.1±19.67
169.2±25.43
168.7±30.88
173.7±23.17
204.9±30.69
210.6±28.42
210.3±26.66
197.9±33.24
211.7±31.44
189.2±31.71
200.9±30.83
205.9±45.32
230.5±43.95
~
257.5±22.80
264.8±27.92
261.3±24.81
255.2±38.12
243.4±33.80
220.1±26.50
238.7±32.44
242.0±23.63
227.9±26.95
~
216.7±28.51
278.5±40.00
279.2±38.85
266.6±33.91
274.0±41.97
254.5±22.17
298.5±44.85
290.1±41.06
204.6±27.23
297.4±38.88
~
~
~
~
~
~
~
~
~
~
~
~
~
331.9±20.85
~
317.8±44.72
335.0±31.91
361.2±50.43
314.0±36.13
~
~
~
           
    표 4. 출생년도별 이유후 형질의 표현형 평균 및 표준오차                                                 (단위 : kg)
   
연도/형질
6개월령체중
12개월령체중
18개월령체중
출하시체중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132.6±13.27
146.0±17.17
142.1±20.51
135.4±19.03
132.4±23.80
140.7±22.81
141.5±25.46
132.8±29.23
124.7±28.31
143.2±24.33
139.9±22.97
133.8±28.08
133.4±35.46
139.4±27.46
146.7±26.97
141.8±26.97
141.8±29.98
140.9±30.34
158.9±26.65
145.1±21.27
327.2±24.52
336.4±28.74
322.6±27.00
341.1±36.04
335.3±31.23
331.1±30.73
335.1±37.33
320.5±36.17
311.6±45.08
331.9±42.31
318.4±46.58
300.1±52.53
267.8±52.79
277.3±51.48
315.9±44.22
316.9±46.59
284.7±44.36
249.3±40.68
278.9±43.18
336.1±39.86
475.7±42.11
480.4±44.19
446.0±28.78
489.4±28.90
471.8±41.33
458.9±40.49
465.9±45.65
458.9±46.53
469.4±56.17
477.9±49.82
460.3±63.54
459.8±58.44
439.3±62.08
451.7±61.60
494.7±58.03
480.6±62.54
417.1±57.37
394.9±57.02
439.3±39.84
514.6±40.71
~
~
~
~
~
468.7±15.34
485.5±50.20
562.7±69.07
551.5±71.64
517.2±61.08
540.5±60.97
535.5±61.68
521.2±64.69
547.2±63.75
592.1±67.60
567.0±65.34
504.8±55.78
500.5±55.59
542.4±46.10
~
           
   
  출생년도별 도체 형질에 대한 표현형 변화 추세는 표 5와 같다. 도축후 1일 간 냉장후 냉도체중은 1985년도에 276kg에서 1999년도에 314kg으로 변화되였고 등지방두께는 연도가 증가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 외에 도체율, 배장근 단면적 및 근내지방도는 연차별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6과 표 7은 연차별 주요 체위의 변화추세로 체고, 체중, 흉심, 요각폭 및 흉위에서 암·수별로 연차가 증가될수록 증대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표 5. 출생년도별 도체형질의 표현형 평균 및 표준오차
   
연도/형질
냉 도 체 중
(kg)
도 체 율
(%)
등지방두께
(cm)
배장근단면적
(cm2)
근내지방도
(점수)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76.3 ± 26.99
262.1 ± 27.45
268.8 ± 27.05
266.6 ± 28.15
275.3 ± 31.72
283.5 ± 29.22
309.6 ± 37.49
308.6 ± 31.23
303.4 ± 36.20
328.4 ± 32.16
345.6 ± 36.43
326.7 ± 40.92
295.1 ± 30.78
293.0 ± 35.12
314.8 ± 31.18
59.9 ± 1.62
58.3 ± 1.62
58.0 ± 1.86
57.7 ± 1.69
58.8 ± 1.82
58.7 ± 1.56
58.8 ± 1.97
57.8 ± 1.77
58.0 ± 1.85
57.7 ± 1.56
58.8 ± 2.06
58.7 ± 1.75
57.8 ± 2.25
57.7 ± 2.49
57.3 ± 1.60
0.8 ± 0.32
0.8 ± 0.35
0.8 ± 0.36
0.8 ± 0.33
0.6 ± 0.32
0.5 ± 0.26
0.4 ± 0.22
0.4 ± 0.20
0.3 ± 0.20
0.4 ± 0.21
0.6 ± 0.34
0.6 ± 0.32
0.6 ± 0.32
0.6 ± 0.26
0.8 ± 0.31
~
81.9 ± 9.97
80.4 ± 9.22
76.6 ± 8.83
78.9 ± 9.34
77.5 ± 8.25
76.7 ± 8.73
77.9 ± 7.58
76.5 ± 7.88
81.7 ± 9.00
86.5 ± 9.65
80.1 ±10.37
74.2 ± 8.06
72.6 ± 7.83
81.6 ± 8.41
~
~
~
~
2.8 ± 1.00
2.9 ± 1.07
2.3 ± 1.12
1.9 ± 0.91
1.4 ± 0.80
1.2 ± 0.63
1.3 ± 0.68
2.1 ± 1.57
3.0 ± 1.43
2.7 ± 1.34
2.7 ± 1.37
           
    표 6. 연도별 18개월령의 주요 체위의 표현형평균                                                         (단위 : cm)
   
연도/형질
조사두수
체고
체장
흉심
요각폭
흉위
1974
1977
1980
1983
1986
1989
1992
1995
1998
2,855
2,834
2,604
2,247
1,819
1,755
1,295
2,134
3,093
117.5
117.7
119.7
121.0
122.0
122.6
124.8)
125.3
126.5
128.0
129.4
131.9
133.4
135.1
137.6
142.6
145.2
144.1
60.0
61.5
63.0
64.5
64.5
65.3
67.8
68.3
70.1
36.1
37.1
38.7
39.2
39.5
42.0
44.4
45.5
46.4
157.8
161.7
165.7
169.6
171.3
177.0
188.4
189.0
191.2
           
    표 7. 연도별 18개월령의 주요 체위의 표현형 평균                                                         (단위 : cm)
   
연도/형질
조사두수
체고
체장
흉심
요각폭
흉위
1974
1977
1980
1983
1986
1989
1992
1995
1998
2,989
2,990
2,954
2,830
2,384
2,770
2,734
4,321
5,011
112.4
113.1
114.6
115.3
115.3
115.8
115.3
115.5
116.6
122.2
122.6
124.3
124.8
125.1
127.6
129.5
129.7
130.1
56.4
57.7
58.7
58.9
59.3
59.6
59.9
59.7
60.2
35.4
36.0
37.2
37.3
37.7
38.1
38.0
38.1
38.7
149.9
150.9
153.3
155.8
156.7
158.0
159.9
160.0
159.5
           
      앞에서 서술된 분석모델에 의한 생시체중과 이유시체중에 대한 유전분산과 환경분산은 표 8과 같다. 표 8은 개체에 대한 생시 및 이유시 체중에 대한 유전력()은 각각 0.17과 0.26으로 나타났고 모체에 의한 유전력()은 각각 0.09, 0.22로 추정되였으며, 표 9는 이유후 발육 형질의 유전력으로 6, 12, 18 및 종료시 체중에는 각각 0.41, 0.32, 0.33 및 0.43로 추정되였다.
  도체 형질에 대한 유전력은 표 10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도체중, 도체율, 등지방두께, 배장근단면적 및 근내지방도는 각각 0.36, 0.40, 0.35, 0.33 및 0.34로 추정되였고, 체위 형질로 체고 십자부고 체장 흉심 흉폭 고장 요각폭 좌골폭, 곤폭 및 흉위의 유전력은 표 1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 0.47, 0.39, 0.39, 0.30, 0.18, 0.28, 0.38, 0.35, 0.51 및 0.52로 추정되였다.
           
   
표 8. 이유전 형질에 대한 분산과 유전모수 추정치

표 9. 이유후 형질에 대한 분산과 유전모수 추정치

표 10. 도체형질에 대한 분산 및 유전모수 추정치

표 11. 18개월령의 체위에 대한 분산 및 유전모수 추정치(비거세우)

    표 12. 보증종모우의 육종가와 신뢰도
   
보증종모우
명호
육종가
도체중
배장근단면적
근내지방도
육종가
신뢰도
육종가
신뢰도
육종가
신뢰도
kpn-279
kpn-334
kpn-261
kpn-232
kpn-336
kpn-338
kpn-243
kpn-244
kpn-289
kpn-263
kpn-200
kpn-291
kpn-256
kpn-267
kpn-179
kpn-281
kpn-305
kpn-333
kpn-227
12.758    
1.583
6.806
1.332
8.285
7.437
5.738
11.796  
7.165
6.205
8.41  
-1.503   
11.757   
3.772 
9.137 
15.786   
5.962 
10.116   
3.11    
78
71
70
69
57
61
76
68
76
71
75
79
67
63
75
65
75
71
72
2.174
0.526
1.567
0.632
2.298
0.615
-0.315  
3.378
0.464
2.913
3.172
0.401
-0.189  
2.000
1.004
2.885
0.734
4.004
-1.223   
2.174
0.526
1.567
0.632
2.298
0.615
-0.315  
3.378
0.464
2.913
3.172
0.401
-0.189  
2.000
1.004
2.885
0.734
4.004
-1.223   
0.665
0.751
0.579
0.719
0.469
0.538
0.592
0.259
0.52
0.375
0.276
0.604
0.398
0.356
0.306
0.072
0.337
0.058
0.505
76
69
67
65
55
58
74
74
74
67
72
77
65
61
71
63
73
69
70
           
      표 12는 위의 모델로 분석된 결과로 현재 이용하고 있는 보증종모우에서 주요도체 형질에 대한 유전능력을 표시하고 있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우 보증종모우의 유전능력 부분에 KPN-279번 보증종모우의 도체중에 대한 육종가가 12.76kg이라고 하는 것은 90년도 출생한 보증종모우 자손의 도체중이 실제 평균 300kg이면 이때의 육종가를 0.00kg이라고 가정한다. KPN-279으로 인공수정하였을 경우 송아지를 생산한 번식.비육농가가 비육 후 판매하였을 경우 이 종모우 육종가의 반절값인 6.88kg이 자식(송아지)에 전달되므로 어미소의 유전능력을 무시하더라도 태어나는 송아지 평균 도체중에 6.88kg을 더 생산하여 평균 306.88kg된다는 것을 말하여 주고 있다.
           
    참 고 문 헌

농림부, 축산기술연구소. 2000. 가축개량관련자료.
박영일 외 . 1995. 가축육종학. 향문사.
박철진. 1999. 한우의 성장 및 도체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및 유전적 변화 추세에 관한 연구.
축산기술연구소. 2000. 한우유전능력평가보고서 8. 9호.

'가축키우기 > 양계,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전식품 계란에 대한 올바른 이해  (0) 2008.02.22
닭고기의 모든 것  (0) 2008.02.22
양계사도면 ....  (0) 2008.01.30
한우와 육우 교잡종  (0) 2008.01.29
한우산업의 현황과 전망  (0) 2008.01.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