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닭고기와 관련된 잘못된 상식 | ||||||||||||||||||||||||||||||||
○ | 닭껍질에는 VitB2가 많아 피부와 점막에 좋다. | |||||||||||||||||||||||||||||||
○ | 젊은이가 먹으면 바람난다는 날개는 콜라겐 성분이 많은데 이것은 피부윤택 과 노화 방지의 효과가 크며 맛이 좋아 젊은이보다는 웃어른에게 드리려는 뜻에서 생긴 이야기로서 과학적 근거는 없다. | |||||||||||||||||||||||||||||||
○ | 옛부터 내려오는 말로 임산부가 닭고기를 먹으면 태어날 아기의 살결이 거 칠어져 닭살이 된다든지, 산모가 먹으면 젖이 귀해진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과학적으로 전혀 근 거가 없다. 오히려 양질의 단백질과 소화되기 쉬운 식품을 많이 섭취해야하는 임산부에게 닭고기는 권장식품으로 성장기의 청소년에게는 더 없이 좋은 단백질 식품이다. | |||||||||||||||||||||||||||||||
![]() 그림 1. 다양한 닭고기 제품 | ||||||||||||||||||||||||||||||||
2. 닭고기 수급동향 | ||||||||||||||||||||||||||||||||
표 1. 연도별 닭고기 소비량 | ||||||||||||||||||||||||||||||||
| ||||||||||||||||||||||||||||||||
○ | 1인당 년평균 소비 증가율(1990~1997) : 7.5% | |||||||||||||||||||||||||||||||
○ | 생산주기가 짧아 생산의 과잉 과소가 수시로 발생된다. | |||||||||||||||||||||||||||||||
○ | 년말년시 및 여름철 더위에 수요가 많아 계절적인 편중 현상을 보인다. | |||||||||||||||||||||||||||||||
○ | 닭고기는 저장성이 떨어져서 비축기간이 짧음 : 2~5℃에서 10~14일, 영하 18℃에서 6개월정도 보관 가능하다. | |||||||||||||||||||||||||||||||
3. 닭고기의 특성 | ||||||||||||||||||||||||||||||||
가. 생산주기가 짧아 육류부족시 기민하게 생산공급할 수 있다. | ||||||||||||||||||||||||||||||||
○ 육계 출하 소요일수 : 40일 내외 1.5~2.0㎏(년간 6회전 가능) ○ 돼지 5~6개월, 소 18~24개월 | ||||||||||||||||||||||||||||||||
나. 닭고기는 쇠고기나 돼지고기에 비해 가격이 싸다. | ||||||||||||||||||||||||||||||||
○ 육계의 사료효율은 소나 돼지에 비해 훨씬 우수하여 생산비가 낮고 가격이 싸다. - 사료요구율 : 육계 1.5~2.0, 돼지 3.5~4.0, 소 7~8 | ||||||||||||||||||||||||||||||||
다. 닭고기는 지방함량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다. | ||||||||||||||||||||||||||||||||
| ||||||||||||||||||||||||||||||||
| ||||||||||||||||||||||||||||||||
○ 닭고기는 쇠고기나 돼지고기에 비해 지방함량이 낮고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높으며, 콜레스테롤 함량은 낮다. ○ 가슴고기는 백색육(White meat) 으로서 특히 지방함량이 낮아 다이어트 식 품으로 적격이며 맛이 담백하고 소화흡수가 잘된다. 라. 양질의 단백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 ||||||||||||||||||||||||||||||||
![]() 그림 2. 닭고기의 가공작업 | ||||||||||||||||||||||||||||||||
○ 닭고기는 섬유질이 가늘고 연하며 양질의 단백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어린이나 노약자들의 건강 식품이다. - 닭고기와 인삼을 이용한 삼계탕은 보약이며 주요 수출품 | ||||||||||||||||||||||||||||||||
표 3. 주요 육류의 육질특성 비교 | ||||||||||||||||||||||||||||||||
| ||||||||||||||||||||||||||||||||
자료 : 일본축산시험장, 1995. | ||||||||||||||||||||||||||||||||
○ 닭고기가 소, 돼지보다 단백질함량이 높고 지방함량은 낮으며 고기가 가장 연하다. | ||||||||||||||||||||||||||||||||
4. 닭고기의 영양가 | ||||||||||||||||||||||||||||||||
가. 닭고기의 일반성분 | ||||||||||||||||||||||||||||||||
| ||||||||||||||||||||||||||||||||
| ||||||||||||||||||||||||||||||||
○ 수분 및 단백질 함량은 가슴고기보다 다리고기가 적다. ○ 지방은 가슴고기에는 거의 없고 다리고기는 7.74%이다. | ||||||||||||||||||||||||||||||||
나. 광물질 현황 | ||||||||||||||||||||||||||||||||
| ||||||||||||||||||||||||||||||||
| ||||||||||||||||||||||||||||||||
○ 닭고기에는 각종 광물질이 많이 들어있어 곡류를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 사람의 영양 개선은 물론 체위를 향상시키는데 좋은 식품이다. ○ 가슴고기는 다리고기에 비해 칼슘, 나트륨, 철, 아연 및 구리함량은 낮고, 인, 칼륨 및 마그네슘 함량은 높다. | ||||||||||||||||||||||||||||||||
다. 비타민 함량 | ||||||||||||||||||||||||||||||||
표 6. 닭고기 100g중 비타민 함량 | ||||||||||||||||||||||||||||||||
| ||||||||||||||||||||||||||||||||
○ 닭고기에는 각종 비타민이 풍부하게 들어있으며 특히 간에는 많은 양의 비타민A가 들어 있다. | ||||||||||||||||||||||||||||||||
라. 아미노산 조성 | ||||||||||||||||||||||||||||||||
| ||||||||||||||||||||||||||||||||
| ||||||||||||||||||||||||||||||||
○ 닭고기에는 각종 아미노산이 풍부하게 들어 있고 아미노산 균형이 좋아 고급 단백질 식품이다. ○ 특히 함유황 아미노산인 메치오닌(methionine)은 장·노년기의 사람은 스스 로 체내 에서 합성할 수 가 없다. 따라서 한국인과 같이 곡류를 주식으로 하는 민족은 메치오닌이 부족한 편이며 닭고기는 훌륭한 메치오닌 공 급원이다. ○ 간장은 발암물질을 해독하므로 메치오닌이 부족하면 암에 걸리기 쉽다. 간장은 해독 작용 이외에 콜레스테 롤을 합성 또는 분해하는 작용도 한다. ○ 메치오닌이 부족하면 콜린(choline)의 합성이 충분하지 못하여 간장은 원활하게 작용하지 않고 지방간이 되기 쉽다. ○ 메치오닌은 항암, 항동맥경화, 혈압강하작용 및 정력감퇴 예방작용이 있다. 메치오닌이 부족하면 성선을 자극하는 뇌하수체 호르몬의 분비가 활발하지 않기 때문이다. | ||||||||||||||||||||||||||||||||
마. 지방산 조성 | ||||||||||||||||||||||||||||||||
| ||||||||||||||||||||||||||||||||
| ||||||||||||||||||||||||||||||||
주 |
1) SFA : 포화지방산 2) USFA : 불포화지방산 3) MUFA : 단가 불포화지방산 4) PUFA : 다가 불포화지방산 | |||||||||||||||||||||||||||||||
○ 가슴고기는 다리고기에 비하여 포화지방산 함량은 높고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낮으며, 불포화지방산중 단가 불포화지방산 비율은 높고 다가불포화지방산 비율은 낮다. ○ 가슴고기는 지방함량이 낮고, 지방함량이 비교적 높은 다리고기는 불포화지방산이 많고 지방산 조성이 좋 아 고급식품으로 불 수 있다. ○ 닭고기에는 필수지방산인 리놀산(Linoleic acid, 18:2, 오메가 6지방산), 리놀렌산(Lionlenicacid, 18:3, 오메가 3지방산) 및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20:4, 오메가 6지방산)이 풍부하게 들어 있다. ○ 필수지방산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거나 합성이 되더라도 충분한 량이 되지 못하므로 반드시 음식을 통해서 섭취해야 하며 부족시 각종 결핍증상이 나 타난다. ○ 필수지방산이 부족하면 피부병, 부종(edema)등이 발생하고 정력이 감퇴한다. 따라서 곡류를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 국민에게는 닭고기가 좋은 영양소 공급원이다. | ||||||||||||||||||||||||||||||||
5. 닭고기의 생산과 유통 | ||||||||||||||||||||||||||||||||
가. 닭고기 생산 | ||||||||||||||||||||||||||||||||
표 9. 닭고기 생산국별 도체중 | ||||||||||||||||||||||||||||||||
| ||||||||||||||||||||||||||||||||
자료 : FAO, 1993. | ||||||||||||||||||||||||||||||||
○ 한국의 평균도체중은 1.0㎏으로서 중국과는 동일하나 태국과 미국보다는 낮고 일본의 1.9㎏보다는 현저히 낮다. | ||||||||||||||||||||||||||||||||
![]() 그림 3. 자동화 도계시설 | ||||||||||||||||||||||||||||||||
표 10. 육계도계 중량별 생산비율 | ||||||||||||||||||||||||||||||||
| ||||||||||||||||||||||||||||||||
자료 : H사, 1994. | ||||||||||||||||||||||||||||||||
○ 우리나라에서 출하되고 있는 육계의 도계 중량별 생산비율은 삼계 1.67%, 쎄미 18.08%, 센타 52.72%, 하이 27.53% 정도이다. | ||||||||||||||||||||||||||||||||
나. 도체율과 부분육 생산량 | ||||||||||||||||||||||||||||||||
표 11. 도체율과 복강지방 축적율 | ||||||||||||||||||||||||||||||||
| ||||||||||||||||||||||||||||||||
○ 도체율은 암컷 70.6%, 수컷 71.4% 평균 71.0%이다. ○ 복강내부와 근위주위에 침착된 복강지방은 생체중 대비 암컷 3.07%, 수컷 2.35%, 평균 2.71%이다. | ||||||||||||||||||||||||||||||||
표 12. 부분육 생산비율 | ||||||||||||||||||||||||||||||||
| ||||||||||||||||||||||||||||||||
○ 도체중 대비 부분육 생산비율은 다리 31.0%, 가슴 28.6%, 날개 12.0%, 등 21.1% 및 목 6.0%이다. | ||||||||||||||||||||||||||||||||
표 13. 발골육 생산량 | ||||||||||||||||||||||||||||||||
| ||||||||||||||||||||||||||||||||
○ 도체중 1,742g의 육계에서 부분육 생산량은 다리 541g, 가슴 497g이고, 발골 육 생산량은 다리 427.5g, 가슴 414.4g이다. | ||||||||||||||||||||||||||||||||
다. 닭고기 유통경로와 소비형태 | ||||||||||||||||||||||||||||||||
![]() 그림 4. 우리나라의 닭고기 유통경로 | ||||||||||||||||||||||||||||||||
○ 1980년대 이후 육계 계열업체가 등장하면서 닭고기 유통경로도 변화하여, 그 동안 수집반출상에 의해 주도 되었던 닭고기유통이 계열업체가 직접 유통에 참여함으로써 도계장 중심의 유통체계가 형성되었다. | ||||||||||||||||||||||||||||||||
표 14. 국내 닭고기 형태별 소비현황 | ||||||||||||||||||||||||||||||||
| ||||||||||||||||||||||||||||||||
○ 우리나라 닭고기 형태별 소비현황은 통닭이 97.2%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가 공품은 2.8%에 지나지 않는다. ○ 외식산업의 발달과 함께 부분육과 가공육의 소비가 점차 늘어날 것으로 추 정된다. |
'가축키우기 > 양계,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산란계의 사양관리 (0) | 2008.02.24 |
---|---|
완전식품 계란에 대한 올바른 이해 (0) | 2008.02.22 |
양계사도면 .... (0) | 2008.01.30 |
한우와 육우 교잡종 (0) | 2008.01.29 |
한우의 유전적 특성 (0) | 2008.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