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현재 비육방법과 고급육 생산 비육의 차이 | ||||||||||||||||||||||||||||||||||||
가. 비육목표 : 육량→육질 및 육량(육량도 중요하나 육질이 더욱 중요시 되 고 있음) 나. 비육기간 : 생후 18개월→생후 24개월(등심의 근내지방도를 높게 하려면 생후 24개월령까지 비육 필요) 다. 출하체중을 증가시키므로 등심의 생산량 및 육질향상 라. 사료급여 방법 : 자유채식→제한급여후 자유채식(육성기 배합사료 제한급 여로 조사료 섭취량 증가 소화기 발달 유도) 마. 조사료의 질 : 볏짚→양질조사료(양질조사료 다급으로 증체향상 및 체형 개선) | ||||||||||||||||||||||||||||||||||||
2. 양질 쇠고기 생산 비육기술 | ||||||||||||||||||||||||||||||||||||
고급 한우육을 생산하려면 이제까지의 증체위주의 단기 속성비육에서 비육우의 각조직이나 부위 육질 등의 발육기나 발육최대 월령기 등을 감안하여 적정사양(표 1), 비육기간의 연장, 적기 거세에 의한 육질개선 등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 ||||||||||||||||||||||||||||||||||||
가. 성장발육 단계별 합리적 사양 | ||||||||||||||||||||||||||||||||||||
○ 육성기 : 고단백질 저열량 사료급여 (CP:14~16%, TDN 68~70% ) - 골격 및 근육의 발달과 과다한 지방축적 억제. ○ 양질조사료 다급육성 - 충실 건강한 비육밑소 생산 | ||||||||||||||||||||||||||||||||||||
![]() | ||||||||||||||||||||||||||||||||||||
그림 1. 개방식 우사(천정개폐식) 사육 | ||||||||||||||||||||||||||||||||||||
○ 비육기 : 저단백질 고열량 사료급여 (CP : 11~13%, TDN : 71~73%), 농후 사료 다급, 근내 지방도 충실화 - 특히 비육후기 ○ 조사료의 양질화 : 볏짚 - NH₃ 처리볏짚, 양질사료 작물재배 (생초, 담근먹이, 건초 등) 육성기 및 비육전기에 필요한 TDN중40~20%는 조사료에서 충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표 1. 비육우의 사육단계별 사료의 영양수준과 급여기준 | ||||||||||||||||||||||||||||||||||||
| ||||||||||||||||||||||||||||||||||||
나. 비육기간의 연장 및 적정화 | ||||||||||||||||||||||||||||||||||||
○ 한우 비육시 비육기간의 연장과 출하체중 증대효과 육질 (육색, 연도, 맛, 규격) 중 → 상 (수입 상등육보다 우수하게) ○ 비육우의 근내지방도 증진 - 근내지방 최대 축적 월령 : 18개월 내외 - 근내지방도 종료월령 : 24개월 내외 ○ 한우의 출하체중 적정화 - 450㎏→550~600㎏ - 고급 부분육 규격향상 ○ 한우의 비육기간 연장 - 육성비육 : 12~14개월→18개월 내외 (생후 22~24개월령) - 큰소 비육 : 6~8→12개월 내외, 일당 증체 목표량 : 0.8㎏내외 | ||||||||||||||||||||||||||||||||||||
다. 거세에 의한 육질개선 | ||||||||||||||||||||||||||||||||||||
(1) 거세의 효과 | ||||||||||||||||||||||||||||||||||||
거세 비육의 증체는 대체로 10~15% 내외가 떨어지지만 육질 개선의 효과는 현저하여 일본, 영국 등 많은 나라에서 널리 실시하고 있다. 거세비육우는 특히 체지방 축척량이 많아지지만 쇠고기의 연도, 다즙성, 향미 등의 증진으로 생산비는 증가(비육기간의 연장 등)하지만 고급화 되고 있다. | ||||||||||||||||||||||||||||||||||||
(2) 거세시기 | ||||||||||||||||||||||||||||||||||||
거세는 이유후나 체구가 클 때보다는 이유전이나 포유기중 어릴 때가 좋다. 한우 거세우의 증체는 비거세우보다 떨어지며 3~4개월령에 거세한 것이 일당증체량이 제일 높았으며, 비육밑소 구입 후 바로 실시하는 것이 수송 및 각종 Stress와 거세 등으로 한번에 스트레스를 끝낼 수 있다. 사료요구율은 이유전, 포유기, 3~4개월령 비슷하고 육질에서는 거세시기에 관계없이 모두 1등급을 생산하였다. | ||||||||||||||||||||||||||||||||||||
(3) 거세방법 | ||||||||||||||||||||||||||||||||||||
(가) 외과적방법 : 고환을 절개하고 정소를 제거(가장 좋은 방법) (나) 무혈거세 : Burdizzo를 이용 정관을 협착시켜 고환실질을 퇴화시킴 (다) 고무링방법 : 고무로 정관부위를 협착 혈액순환 및 고환을 퇴화시켜 탈락시킴(스트레스가 가장 큼) ※ 거세스트레스 : 일령이 빠를수록 스트레스가 적다. | ||||||||||||||||||||||||||||||||||||
(라) 한우 육성비육우의 육질향상과 적정출하체중 | ||||||||||||||||||||||||||||||||||||
○ 출하체중이 증가할수록 일당 증체량은 감소하나 450㎏이후 600㎏까지 0.89㎏의 증체가능하다. ○ 1㎏증체당 농후사료량은 출하체중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며, 도체율은 450㎏ 출하시 60.0%였으나, 550㎏ 이상에서는 약 62%내외다. ○ 도체중은 출하체중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도체율은 450㎏ 출하시 60.0%였으나 550㎏ 이상에서는 약 62% 내외였다. ○ 거래 정육율은 450㎏ 출하시 74.3%였고 550㎏ 이상에서는 70% 내외였으며 거래 정육 제거 지방은 450㎏ 출하시 12%에서 550㎏ 이상 체충이 증가하면 17% 내외로 지방량도 증가된다. ○ 배최장근 단면적은 출하체중 600㎏까지 크게 증가하고 그 이후에는 둔화되었으며 등지방 역시 같은 경향을 보였다. ○ 육량 등급에서 A등급이 450㎏내외보다 600㎏ 이상에서 출현율이 높고 ○ 근내 지방도는 600㎏까지 크게 증가하나 그 이후는 둔화되었고 육색은 출하체중이 증가할수록 많아지며 지방색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 육질 등급에서 450㎏보다 600㎏ 이상에 크게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비육밑소 값이 비쌀 경우 출하체중 증대 및 비육기간 연장이 농가에 유리하다. ○ 거세우와 비거세우의 발육및 육질비교(표2). | ||||||||||||||||||||||||||||||||||||
표 2. 한우 비거세우와 거세우의 발육 및 육질비교 | ||||||||||||||||||||||||||||||||||||
| ||||||||||||||||||||||||||||||||||||
○ 거세비육의 일당 증체량은 대체로 15~20%내외가 떨어짐 ○ 거세우는 ㎏증체당 사료 소요량이 많아짐 ○ 거세 비육우는 특히 체지방 축적량이 많아지지만 쇠고기의 연도, 다즙성 향미 등의 증진으로 고급화 ○ 거세로 인한 1등육 생산비율은 크게 개선됨 ○ 단, 생산비는 증가 (비육기간의 연장 등) | ||||||||||||||||||||||||||||||||||||
참 고 문 헌
농촌진흥청. 1996. 축산전문기술교재. |
'가축키우기 > 한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우-환경관리로 잡는 송아지 호흡기 질병 (0) | 2008.02.01 |
---|---|
한우-잘못알기 쉬운 한우 사양관리 (0) | 2008.02.01 |
소에 대한 몇 가지 궁금한 것 (0) | 2008.02.01 |
한우-각종질병의 예방접종의 중요성 (0) | 2008.01.31 |
한우-가축 예방약 취급요령 (0) | 2008.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