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현재 비육방법과 고급육 생산 비육의 차이
    가. 비육목표 : 육량→육질 및 육량(육량도 중요하나 육질이 더욱 중요시 되 고 있음)
나. 비육기간 : 생후 18개월→생후 24개월(등심의 근내지방도를 높게 하려면 생후 24개월령까지 비육 필요)
다. 출하체중을 증가시키므로 등심의 생산량 및 육질향상
라. 사료급여 방법 : 자유채식→제한급여후 자유채식(육성기 배합사료 제한급 여로 조사료 섭취량 증가 소화기 발달 유도)
마. 조사료의 질 : 볏짚→양질조사료(양질조사료 다급으로 증체향상 및 체형 개선)
           
  2. 양질 쇠고기 생산 비육기술
    고급 한우육을 생산하려면 이제까지의 증체위주의 단기 속성비육에서 비육우의 각조직이나 부위 육질 등의 발육기나 발육최대 월령기 등을 감안하여 적정사양(표 1), 비육기간의 연장, 적기 거세에 의한 육질개선 등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가. 성장발육 단계별 합리적 사양
      ○ 육성기 : 고단백질 저열량 사료급여 (CP:14~16%, TDN 68~70% )
    - 골격 및 근육의 발달과 과다한 지방축적 억제.
○ 양질조사료 다급육성 - 충실 건강한 비육밑소 생산
           
     
     
그림 1. 개방식 우사(천정개폐식) 사육
           
      ○ 비육기 : 저단백질 고열량 사료급여 (CP : 11~13%, TDN : 71~73%), 농후 사료 다급, 근내 지방도 충실화
     - 특히 비육후기
○ 조사료의 양질화 : 볏짚 - NH₃ 처리볏짚, 양질사료 작물재배 (생초, 담근먹이, 건초 등)

육성기 및 비육전기에 필요한 TDN중40~20%는 조사료에서 충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1. 비육우의 사육단계별 사료의 영양수준과 급여기준
     

구분

육성기

비육기

이유6개월령

7~12개월령

전기(13~18)

후기(19~24)

영양수준

(%)

CP

TDN

16~19

70

14~16

68~70

12~13

71~72

11~12

72~73

급여기준

(체중비,%)

배향사료

2.0~2.5

1.2~1.5

1.7~1.8

1.8~2.0

조사료

생초담근 먹이

목건초

볏짚

3.0~5.0

2.5~4.0

1.0~1.2

0.8~1.0

6.0~8.0

5.0~7.0

1.2~1.5

1.1~1.8

3.0~5.0

2.5~4.0

1.0~1.2

0.7~1.1

-

-

0.5~0.8

0.4~0.6

         
    나. 비육기간의 연장 및 적정화
      ○ 한우 비육시 비육기간의 연장과 출하체중 증대효과
     육질 (육색, 연도, 맛, 규격) 중 → 상 (수입 상등육보다 우수하게)
○ 비육우의 근내지방도 증진
    - 근내지방 최대 축적 월령 : 18개월 내외
    - 근내지방도 종료월령 : 24개월 내외
○ 한우의 출하체중 적정화
    - 450㎏→550~600㎏
    - 고급 부분육 규격향상
○ 한우의 비육기간 연장
    - 육성비육 : 12~14개월→18개월 내외 (생후 22~24개월령)
    - 큰소 비육 : 6~8→12개월 내외, 일당 증체 목표량 : 0.8㎏내외
           
    다. 거세에 의한 육질개선
      (1) 거세의 효과
        거세 비육의 증체는 대체로 10~15% 내외가 떨어지지만 육질 개선의 효과는 현저하여 일본, 영국 등 많은 나라에서 널리 실시하고 있다. 거세비육우는 특히 체지방 축척량이 많아지지만 쇠고기의 연도, 다즙성, 향미 등의 증진으로 생산비는 증가(비육기간의 연장 등)하지만 고급화 되고 있다.
           
      (2) 거세시기
        거세는 이유후나 체구가 클 때보다는 이유전이나 포유기중 어릴 때가 좋다. 한우 거세우의 증체는 비거세우보다 떨어지며 3~4개월령에 거세한 것이 일당증체량이 제일 높았으며, 비육밑소 구입 후 바로 실시하는 것이 수송 및 각종 Stress와 거세 등으로 한번에 스트레스를 끝낼 수 있다. 사료요구율은 이유전, 포유기, 3~4개월령 비슷하고 육질에서는 거세시기에 관계없이 모두 1등급을 생산하였다.
           
      (3) 거세방법
        (가) 외과적방법 : 고환을 절개하고 정소를 제거(가장 좋은 방법)
(나) 무혈거세 : Burdizzo를 이용 정관을 협착시켜 고환실질을 퇴화시킴
(다) 고무링방법 : 고무로 정관부위를 협착 혈액순환 및 고환을 퇴화시켜 탈락시킴(스트레스가 가장 큼)
※ 거세스트레스 : 일령이 빠를수록 스트레스가 적다.
     
(라) 한우 육성비육우의 육질향상과 적정출하체중
          ○ 출하체중이 증가할수록 일당 증체량은 감소하나 450㎏이후 600㎏까지 0.89㎏의 증체가능하다.
○ 1㎏증체당 농후사료량은 출하체중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며, 도체율은 450㎏ 출하시 60.0%였으나, 550㎏ 이상에서는 약 62%내외다.
○ 도체중은 출하체중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도체율은 450㎏ 출하시 60.0%였으나 550㎏ 이상에서는 약  62% 내외였다.
○ 거래 정육율은 450㎏ 출하시 74.3%였고 550㎏ 이상에서는 70% 내외였으며 거래 정육 제거 지방은  450㎏ 출하시 12%에서 550㎏ 이상 체충이 증가하면 17% 내외로 지방량도 증가된다.
○ 배최장근 단면적은 출하체중 600㎏까지 크게 증가하고 그 이후에는 둔화되었으며 등지방 역시 같은 경향을 보였다.
○ 육량 등급에서 A등급이 450㎏내외보다 600㎏ 이상에서 출현율이 높고
○ 근내 지방도는 600㎏까지 크게 증가하나 그 이후는 둔화되었고 육색은 출하체중이 증가할수록 많아지며 지방색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 육질 등급에서 450㎏보다 600㎏ 이상에 크게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비육밑소 값이 비쌀 경우 출하체중 증대 및 비육기간 연장이 농가에 유리하다.
○ 거세우와 비거세우의 발육및 육질비교(표2).
           
      표 2. 한우 비거세우와 거세우의 발육 및 육질비교
     
구분
비거세
거세
비교(a/b)
     개시시 체중(㎏)
     종료시 체중(㎏)
     일당 증체량(㎏)
     증체당 배합사료량(kg)
     도체율(%)
     거세 정육율(%)
     지방율(%)
     다즙성 (6점만점)
     연도(6점만점)
     전단력(㎏/㎠)
     1등급 출현율(%)
154.7        
550.7        
0.96        
7.30        
61.9        
70.4        
15.3        
4.3        
3.6        
9.4        
28        
148.1        
551.3        
0.78        
9.07        
63.1        
60.8        
20.3        
5.0        
4.6        
6.2        
80%이상        

81        
124        

86        
160        
116        
128        
66        
286        
           
          ○ 거세비육의 일당 증체량은 대체로 15~20%내외가 떨어짐
○ 거세우는 ㎏증체당 사료 소요량이 많아짐
○ 거세 비육우는 특히 체지방 축적량이 많아지지만 쇠고기의 연도, 다즙성 향미 등의 증진으로 고급화
○ 거세로 인한 1등육 생산비율은 크게 개선됨
○ 단, 생산비는 증가 (비육기간의 연장 등)
           
  참 고 문 헌

농촌진흥청. 1996. 축산전문기술교재.
__________. 1990. 표준영농교본(한우).
__________. 1989. 소득작목전문기술(육우)교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