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촌애(김영수)
2008. 3. 2. 11:31
2008. 3. 2. 11:31
1년간의 포도재배과정 |
|
12월 ~ 3월 |
가지치기 |
![](http://kiljin.co.kr/www/templates/winestory/images/connaite_02_02_images_03.jpg) |
많은 가지에 포도가 열리게 되면 수분의 함량은 높아지고 와인을 양조하는데 필요한 요소들(아로마, 당분)은 부족하게 된다. 따라서 포도나무가 생장을 시작하기 전에 나무에 열린 포도송이의 수를 제한하기 위해 가지를 치게 된다. |
3월 |
나무의 생장 시작 |
싹이 트기 시작하고 꽃눈이 열리기 시작한다. 뿌리가 영양분의 흡수활동을 시작하는 시점이기에, 이때가 바로 땅 고르기를 할 시점이다. |
4월 |
나뭇가지 잡기 |
최대한 햇빛을 고르게 받기 위해 포도나뭇가지의 형태를 잡아준다. |
|
5월 |
병충해 예방 |
![](http://kiljin.co.kr/www/templates/winestory/images/connaite_02_02_images_04.jpg) |
노균병, 오이디움과 같은 병충해를 막기 위해 예방을 하는 시기 |
|
6월 |
꽃이 피는 시기 |
![](http://kiljin.co.kr/www/templates/winestory/images/connaite_02_02_images_05.jpg) |
꽃이 피고 수정이 되어 포도알이 형성된다(이때부터 약 100일 후에 수확하게 된다) |
|
7월 |
포도알 성장 |
![](http://kiljin.co.kr/www/templates/winestory/images/connaite_02_02_images_06.jpg) |
포도알 속 수분과 당분 증가 |
|
8월 |
포도 색 변화 |
![](http://kiljin.co.kr/www/templates/winestory/images/connaite_02_02_images_07.jpg) |
청포도에서 적포도로 색깔이 변화, 포도알의 부패를 막기 위해 나뭇잎을 솎아내어 통풍을 유도 |
|
9월 |
수확 |
![](http://kiljin.co.kr/www/templates/winestory/images/connaite_02_02_images_08.jpg) |
9월 3주째부터 지역에 따라 수확 시작 |
|
10월 |
수확종료 |
![](http://kiljin.co.kr/www/templates/winestory/images/connaite_02_02_images_09.jpg) |
수확이 종료되는 시기로 다음해를 준비하기 위해 비료 등을 살포하여 토지비옥화 작업을 한다. |
11월 |
생장정지 휴식기 |
낙엽이 떨어지며 포도나무의 생장정지 |
| |
|
포도알이 형성되면서 숙성이 되는 8월까지가 가장 중요한 시기로, 이 시기 동안 비가 내리거나, 온도가 저하된다면 포도의 숙성이 충분하지 않게 되고, 수분함량이 많아지게 되어 와인양조기간 동안 와인이 변질될 위험이 높다. 수확하는 시기 또한 기후나 토질에 따라 지역적으로 차이가 있으며, 추수 시 이상적인 수준의 최대수확을 하는데 중요한 목적이 있다. 여기서 이상적인 수준이란 포도의 당분뿐만 아니라 새콤한 맛의 산도는 물론 색깔, 향기, 적절한 탄닌을 의미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