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큰양송이 균주의 배양적 특성 |
큰양송이버섯 균주의 배양배지는 퇴비추출배지(CDB)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양호하고 배양온도는 25℃, 최적pH는 7이 적당하다. |
〔표 10-1〕배지종류에 따른 균사체 생장량(버섯시험장, '01) |
(mg/40ml/30일) |
균 주 |
배지종료 |
CDB |
ME1 |
MCM |
PDB |
YM |
MMM |
KME 59007 양송이707(대조) |
239.5 180.0 |
239.5 180.0 |
125.3 124.8 |
117.8 155.6 |
120.8 110.4 |
115.3 124.0 | |
CDB:퇴비추출배지, ME1:맥아추출배지, MCM:버섯완전배지, PDB:감자추출배지, YM:효모맥아추출배지, MMM:버섯최소배지 | |
〔표 10-2〕배양온도에 따른 균사체 생장량(버섯시험장, '01) |
(mg/40ml/30일) |
균 주 번 호 |
배 양 온도 |
15℃ |
20℃ |
25℃ |
30℃ |
KME 59007 양송이707(대조) |
335.2 391.2 |
350.7 413.2 |
371.7 359.7 |
321.9 331.2 | | |
|
〔표 10-3〕배지 pH에 따른 균사체 생장량(버섯시험장, '01) |
(mg/40ml/30일) |
균 주 |
pH |
4 |
5 |
6 |
7 |
8 |
KME 59007 양송이707(대조) |
164.0 184.2 |
223.9 196.5 |
212.0 165.2 |
317.1 267.7 |
253.7 241.2 | |
탄소원으로는 sucrose와 starch에서 질소원으로는 ammonium nitrate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며, C/N율은 10에서 양호한 균사생장을 보인다. | |
|
〔표 10-4〕탄소원에 따른 균사체 생장량(버섯시험장, '01) |
(단위 : mm/14일) |
균 주 |
탄 소 원 |
Glucose |
Fructose |
Lactose |
Sucrose |
Starch |
Mannitol |
Dextrose |
KME 59007 양송이707(대조) |
34.5 26.3 |
34.2 18.8 |
33.3 28.7 |
41.5 31.8 |
39.7 35.7 |
31.0 24.5 |
33.2 24.7 | | |
|
〔표 10-5〕질소원에 따른 균사체 생장량(버섯시험장, '01) |
(단위 : mm/17일) |
균 주 |
질 소 원 |
M.E. |
A.T. |
A.N. |
A.C. |
Y.E. |
Peptone |
Urea |
KME 59007 양송이707(대조) |
49.5 42.3 |
40.3 45.5 |
54.5 56.8 |
40.8 43.5 |
50.3 42.8 |
52.0 42.0 |
0 0 | |
M.E.:Malt extract, A.T.: Ammonium tartrate, A.N.:Ammonium nitrate, A.C.: Ammonium chloride, Y.E.:Yeast extract | |
|
〔표 10-6〕C/N율에 따른 균사체 생장량(버섯시험장, '01) |
(단위 : mm/20일) |
균 주 |
C/N율 |
10 |
20 |
30 |
40 |
50 |
KME 59007 양송이707(대조) |
3.35 3.88 |
2.50 3.78 |
2.13 3.03 |
1.78 2.40 |
1.90 2.55 | | | |
나. 자실체 형태적 특성 |
큰양송이버섯 자실체는 생육개체수가 적을수록 형태적으로 양송이보다는 매우 큰 대형버섯으로 생육된다. 평당 4주기 수량이 44.6kg으로 양송이보다는 다소 낮았으나 개체중은 무겁다. |
|
〔표 10-7〕자실체 형태적 특성(버섯시험장, '01) |
균 주 |
형 태 적 특 성 및 수 량 |
갓크기(mm) |
갓두께(mm) |
대길이(mm) |
대굵기(mm) |
개체수(개/평) |
개체중(g) |
수량(kg/평) |
KME 59007 양송이707(대조) |
51.9 25.3 |
23.8 21.9 |
1,814 26.0 |
44.6 50.0 |
23.1 17.2 |
19.0 2,231 |
22.3 49.5 | | |
|
|
〈그림 10-1〉KME 59007의 자실체 형태 |
〈그림 10-2〉양송이707(대조)의 자실체 형태 | | | |
가. 배지제조 및 재배관리방법 |
볏짚은 수분을 흡수시키기 위하여 180cm×180cm×180cm 크기의 퇴적틀에 밟아 쌓아가면서 관수하여 3일간 가퇴적하여 수분을 흡수시키고 유기태영양원으로 계분과 미강을 각각 볏짚 건물량의 10%와 5%를 사용한 후 요소를 이용하여 퇴적시 전질소 수준을 1.5%로 조절한다. 본퇴적 후 뒤집기는 2~3일 간격으로 5회 실시하는데 요소는 본퇴적으로부터 3회에 걸쳐 1/3씩 분시하고, 뒤집기시 수분을 보충하여 수분함량이 70~75%가 되도록 조절한 후 마지막 뒤집기 때 볏짚무게의 1%에 해당하는 석고를 첨가한다. 야외퇴적이 끝난 퇴비는 재배사 균상에 입상한 후 수증기를 주입하면서 가온하여 60℃에서 6시간 정온후 48~58℃에서 후발효를 5일간 실시하고 매일 3~4회 20분씩 재배사 환기를 실시한다. 살균 및 후발효 후 접종은 곡립종균을 평당 6 lbs 층별재식하고 배양온도 23℃, 상대습도 90%에서 15일간 균사생장 시킨 후 2~3cm 두께로 복토를 한다. 복토는 양토를 사용하여 소석회를 첨가하여 pH 8.0으로 조절하여 80℃에서 60분간 증기살균 후 하온시켜 사용하며 복토후 5일간 복토층의 균사생장을 유도하여 균사가 부상된 곳에 후토를 실시하여 균일한 균사생장을 유도하여야 한다. 후토 후에는 복토층에 관수를 실시하고 재배사온도를 16℃로 하온시켜 버섯발생을 유도하고, 발이후 생육온도는 17~18℃로 유지한다. |
〔표 10-8〕배지제조(버섯시험장, '01) |
(단위 : kg) |
질소농도 |
볏짚 |
계분 |
미강 |
요소 |
석고 |
2.0% |
600 |
100 |
50 |
13.0 |
6 | | | |
나. 배지재료별 생육상황 |
1) 배지재료의 C/N율 변화 |
야외발효작업전 배지재료의 C/N율은 볏짚이 88, 면실피 69, 폐면 53이었으나 발효기간 중 배지재료별 C/N율의 변화양상은 그림 1과 같이 야외발효가 진행될수록 배지재료의 C/N율은 낮아져 후발효 직전의 C/N율은 모든 배지재료에서 30내외, 후발효 후에는 25이하로 양송이의 균사생장에 적합하였으며, 이는 야외퇴적 기간 중에 질소함량, 부숙도, 가비중 등이 증가되므로(Flegg and Randle, 1981), 발효에 의한 질소함량의 증가로 C/N율이 감소되었음을 나타낸다. |
|
〈그림 10-3〉발효기간경과에 따른 배지재료별 C/N율 변화(버섯시험장, 2001) | |
후발효 종료후 수분함량은 볏짚이 73%였고, 면실피는 60%로 보수력이 낮아 수분함량의 감소가 매우 심했고(표2), 배양일수는 볏짚에서 14일로 양호하며 배양 중 오염 없이 초발이소요일수도 21일로 가장 짧았던 반면, 면실피와 폐면은 배양일수가 볏짚에 비해 3~4일 길었고, 배양 중 오염율은 높은 편이다. | |
|
〔표 10-9〕퇴비배지의 특성 및 배양적 특성(버섯시험장, '01) |
배지재료 |
수분함량(%) |
수분함량(%) |
pH(1:10) |
배양일수(일) |
균사 생장정도 |
배양중 오염정도 |
초발이 소요일수(일) |
볏 짚 폐 면 면실피 |
73 70 60 |
35.4 24.0 34.7 |
8.9 9.5 7.5 |
14 18 17 |
+ + + + + + |
0 3 5 |
21 30 27 | |
Column test 0: 무, 1: 소(10% 이내), 3:중(11~30%), 5: 심(31~50%), 7: 극심(51%이상) | |
|
〔표 10-9〕퇴비배지의 특성 및 배양적 특성(버섯시험장, '01) |
배지재료 |
갓크기(mm) |
갓두께(mm) |
대길이(mm) |
대굵기(mm) |
개체수(개/평) |
개체중(g) |
수 량(kg/평) |
수량지수 |
볏 짚 폐 면 면실피 |
45.1 53.5 41.6 |
23.6 28.8 22.9 |
23.6 28.8 22.9 |
19.3 16.7 17.8 |
2510 1757 1610 |
22.1 28.6 20.3 |
44.8 39.2 27.9 |
100 88 62 | | | |
다. 퇴비배지의 적정 질소농도 |
볏짚퇴비의 부숙도는 질소농도 2%에서 가장 높았고, 접종전 NH4+-N 함량도 34ppm으로 매우 양호하였으며, 배양이 양호하여 초발이소요일수가 24일로 짧고. 평당 수량도 높았다. | |
|
〔표 10-11〕질소농도별 볏짚발효배지 특성(버섯시험장, '01) |
질소농도 |
수 분함 량 (%) |
퇴비부숙도 (%) |
pH (1:10) |
NH4+-N함량 (ppm) |
전질소함량 (N%) |
입상전 |
접종전 |
입상전 |
접종전 |
1.0 N% 2.0 N% |
67.4 62.3 |
28.8 39.7 |
8.8 8.7 |
74.9 185.3 |
11.2 34.0 |
1.52 1.96 |
1.52 2.02 | | |
|
〔표 10-13〕배양특성 및 수량(버섯시험장, '01) |
질소농도 |
초발이 소요일수(일) |
오염율 |
균사체배양율 (%) |
개체수 (개/평) |
수 량 (kg/평) |
1.0 N% 1.5 N% 2.0 N% |
29 25 24 |
3 1 0 |
48.3 75.0 90.0 |
865 1,859 1,857 |
16.6 40.5 42.4 | |
달관조사: 0; 무발생, 1; 10%이내, 3; 10~30% 달관조사: (배양표면적/전체표면적)×100% | |
|
|
|
〈그림 10-6〉질소농도 2.0% |
〈그림 10-7〉볏짚 발효배지 |
〈그림 10-8〉폐면 발효배지 | | | |
라. 적정 발이 및 생육온도 |
생육온도에 따른 자실체의 크기(표 17)는 21℃에서 15℃에 비해 개체중이 두배에 가까운 자실체를 얻을 수 있다. 생육온도별 자실체의 중량에 따른 상품(商品)비율은 21℃에서 75%로 증가되었고(표 18) 버섯발생 및 생육에 소요되는 기간은 온도가 높을수록 단축되는 결과를 나타낸다. 평당수량은 18℃에서 39.2kg으로 높은편이다. |
|
〔표 10-17〕생육온도별 자실체 특성조사(버섯시험장, '01) |
생육온도 (℃) |
갓크기 (mm) |
갓두께 (mm) |
대길이 (mm) |
대굵기 (mm) |
개체중 (g) |
15 18 21 |
45.3 48.6 67.1 |
22.0 23.5 28.7 |
18.5 21.8 19.3 |
18.5 21.8 19.3 |
23.0 27.8 47.5 | | |
|
〔표 10-18〕생육온도별 자실체 상품비율(버섯시험장, '01) |
생육온도 (℃) |
상 |
중 |
하 |
개체중 (g) |
개체수비율 (%) |
중량비율 (%) |
개체중 (g) |
개체수비율 (%) |
중량비율 (%) |
개체중 (g) |
개체수비율 (%) |
중량비율 (%) |
15 18 21 |
46.1 54.3 64.5 |
11.2 28.6 51.0 |
24.5 48.9 75.1 |
26.2 24.3 24.1 |
57.5 42.9 42.0 |
57.5 42.9 42.0 |
11.6 11.7 10.0 |
31.3 28.5 7.0 |
14.6 12.4 1.6 | | |
|
〔표 10-19〕온도별 발이 및 생육특성(버섯시험장, '01) |
온도(℃) |
초발이소요일수(일) |
발이주기(일) |
자실체수(개/평) |
자실체수(개/평) |
15 18 21 |
23 24 26 |
11.6 8.7 7.7 |
2,364 2,070 640 |
36.5 39.2 26.6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