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발생확인
○ 담배가루이는 ’98년 5월 1일, 충북 진천 시설재배 장미에서 최초로 발견된 해충으로
○ 충북 진천, 경기 용인, 고양 등에서 장미, 포인세치아에서만 발생이 확인되었고, 최근 경남, 충남지방에 다발생
※ 일본에서는 ’89년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시설작물의 주요 해충임

■ 분류학적 위치 및 분포
○ 학 명 : Bemisia tabaci (Gonnadius), 매미목 가루이과
※ 세계적으로 16계통이 보고되어 있으며,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B계통은 B. argentifolii라는종으로 분리하기도 함
○ 분포지역 : 일본, 중국 등 아시아 전역, 유럽, 북남미, 대양주, 아프리카 등 전 세계적으로 분포

■ 형태 및 생활사
○ 성충은1.5mm정도의 작은 파리모양이며, 몸색은황색이나 날개는흰색으로 온실가루이와 유사함. 알은 긴폭탄 모양으로 0.2mm정도이며, 4령 유충과 번데기는 1mm정도로 노란색 임
○ 기주식물의 잎뒷면에 기생하며, 성충의 수명은 암컷 60일 정도로서 160개를 산란하고, 부화유충은 식물체를 이동하다 분산하여 한곳에서 고착생활을 함
○ 1세대기간은 27℃에서 약 3주 정도, 8℃이하에서는 생장정지
※ 야외에서는 년간 3~4세대, 시설내에서는 10세대 이상 발생

 
■ 기주식물 및 피해증상
○ 기주식물 : 채소류, 화훼류 등 600종 이상 기록
○ 피해증상
- 성충과 유충이 잎 뒷면에 기생하여 식물체를 흡즙, 피해를 받은 식물은 생육이 억제, 잎이 위축 및 낙엽이 됨
- 다발생시 충체에서 분비하는 배설물로 인해 그을름병 발생 


■ 방제요령
○ 시설 내에 끈끈이트랩을 설치하여 발생초기부터 철저히 방제
○ 약충과 성충은 잎 뒷면에 기생하므로 약액이 식물체에 골고루 묻도록 살포하고, 알과 유충은 방제효과가 낮으므로 1주 간격으로 3~4회 연속 방제 필요
○ 발생지역에서 묘를 구입하여 재배할 때는 담배가루이 감염여부를 조사하여 유묘기부터 체계적으로 방제
○ 출입문 및 환기창에 방충망을 설치하여 외부에서의 유입 차단
○ 발생포장에서는 앞 작물의 잔재물을 완전히 정리하여 전염원을 차단한 후 새로운 작물을 재배
○ 방제약제 : 아세타미프리드수화제, 부프로페진·아미트라즈유제, 피리프록시펜유제 등 9약제 등록 (장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