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담배가루이 발생생태 바로알기
 ○ 알과 1, 2, 3, 4령 약충, 그리고 성충단계를 보면 알은 약간 노란색을 띤 긴 타원형이고, 약충은 2령부터 고착상태로 작물체 수액을 흡즙, 감로를 배설하고 4령부터는 충체가 온실가루이와 달리 짙은 노란색을 띰
 ○ 성충은 전체적으로 흰색을 띠며 날개의 중앙 부위가 겹치지 않고 1차형태로 벌어지는 것이 특징임
 ○ 성충과 약충 모두 기주식물의 즙액을 흡즙하여 적은 밀도에서도 피해증세가 나타나며 고밀도 발생시에는 잎이 고사, 과실의 숙성을 저해함
 ○ 약충이 배설하는 감로는 식물에 그을음병을 유발하고 광합성을 저해하여  과실의 수량에도 영향을 주며 약제저항성이 매우 높아서 기존의 온실가루이  약제로는 방제가 어려움

 

[사진 1. 담배가루이의 발생 생태]
2. 담배가루이의 발생 및 피해증상
 ○ 1998년 우리나라에 유입된 외래해충으로 시설재배 장미, 착색단고추, 가지 등의 작물에서 주로 발생하며 2006년에는 풋고추 등에 피해가 보고되었음
 ○ 직접적인 흡즙과 배설물에 의한 잎과 과실에 그을음병 유발 등 2차적인 피해까지 동시에 가져와 상품성을 크게 떨어뜨리는 문제 해충으로 농가에 피해가 확산되고 있음
 ○ CMV, TMV 등을 포함한 약 100여종의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특히 TYLCV(Tomato Yellow Leaf Curl Virus)라는 토마토 황화 잎말림 바이러스 발생시 토마토에 치명적인 해를 줄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만약 발생한다면 큰 피해를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사진 2. 기주식물의 피해증상]

 

 

                                                                   [사진 3. 과실에서의 피해증상]

 

 

                                                             [사진 4. 바이러스 피해증상]

3. 효과적인 담배가루이 피해 예방법
 

                                                           담배가루이 발생 예찰                                               

 

 

                                                                      황온좀벌

                                                                 

                                                                 지중해이리응애

 

                                                 [사진 5. 담배가루이 발생예찰 및 천적]
 ○ 발생 감염주 제거 및 유입 차단
   시설 내에서는 담배가루이에 감염된 묘의 정식을 금지하고 출입문, 창 등에 망사를 설치하여 해충의 외부유입을 차단함
 ○ 초기 발생예찰
   정식 초기 황색 끈끈이트랩 등을 이용하여 예찰을 하여 발생초기에 방제하고, 특히 수출용 파프리카의 경우 농약잔류검사가 의무화되어 있으므로 함부로 농약살포를 할 수 없는 상태임
 ○ 천적의 이용
   천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황온좀벌과 지중해이리응애 등을 같이 병행하여   담배가루이 발생 초기에 방사하면 효과적이고 방사 후 농약 등 살충성분이 포함된 농자재 이용시 방제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온실 환경조건 및 해충발생 정도에 따라 이용 방법 및 방사량이 달라질 수 있으니 반드시 사용 전 전문가와 상의해야 함
 ○ 전용 약제 살포
  - 성충은 알을 껍질속에서 부화하여 유충이 식물체를 흡즙하기 때문에 초기 방제가 중요하고 현재 많은 원예작물에 등록된 전용약제가 없기 때문에 약해에 주의해야 하며, 발생초기에 침투이행성 및 흡착성 약제를 교대로 재배단지별로 공동방제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음
  - 파프리카에 적용 가능한 방제약제 : 파프리카에서 문제시되는 담배가루이의 방제효과가 90% 이상이 되는 아세타미프리드수화제(상표 : 모스피란), 치아메톡삼입상수화제(상표 : 아타라) 2품목이 등록되어 있음
  - 담배가루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담배가루이의 전용약제인 아세타미프리드수화제(모스피란), 피리프록시펜유제(신기루), 부프로페진+아미트라즈유제(히어로) 등을 교대로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임
  - 식물체의 잎 뒷면에 기생하므로 약제가 골고루 묻도록 살포하여야 하며, 알과 유충은 방제효과가 낮으므로 5~7일 간격으로 3~4회 살포해 주어야 함
  - 주의사항 : 농약 살포 후 수정벌을 방사하는 경우 각별히 주의하고 포도,  시설하우스 재배작물(장미 등)에 살포시 약흔이 남을 수 있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