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루이
(가루이과, Aleyrodidae/Trialeurodes vaporariorum (Westwood); greenhouse whitefly)
(1) 피 해
1970년대 말∼80년대 초에 외국에서 침입한 해충으로 침입초기에는 주로 란타나 등 온실식물에 발생하였으나, 그 후 급속히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현재는 온실식물은 물론 비닐하우스의 원예작물의 주요 해충이 되고 있다. 주로 잎뒷면에 군서생활을 하며 흡즙하기 때문에 발생이 많을 때에는 잎이 퇴색, 시들고 심하면 말라죽는다.
또한 많은 양의 감로를 배설하여 그을음병을 일으킨다. 피해 초기에는 잎과 과일의 표면에 감로가 쌓여 흑갈색의 그을음병 콜로니가 생기나 점차 확대되어 잎과 과일이 검게 된다. 그을음병이 잎을 덮게 되면 동화작용과 호흡작용을 방해하여 식물의 생육이 나빠지고, 과일에 그을음이 덮이면 수확물의 상품가치가 현저히 저하되어 출하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작업할때 눈·코·입으로 성충이 날아 들어와 일을 방해하기도 한다.
(2) 형 태
성충의 크기는 약 1.5㎜로서 4개의 백색 날개를 가지고 있다. 번데기의 크기는 약 0.8㎜로서 타원형을 이루며, 전체가 담황백색 내지 담황갈색으로 등면에 11쌍의 왁스돌기가 있다. 알의 크기는 0.2∼0.5㎜로 자루가 달린 장타원형이며, 초기에는 담황색을 띠나 점차 흑색으로 변한다. 성충과 알은 주로 생장점 두근의 비교적 어린잎에 많이 기생하며, 하위잎에는 발육하고 있는 유충과 번데기가 기생하고 있다.
온실가루이의 기생이 현재 어떤 상태에 있는지를 아는 것이 방제에 중요하므로 상위·중위 ·하위의 잎뒷면을 조사한다. 발생초기에는 일부분의 포기에서만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온실내에서는 여러 장소의 포기에 대해서 관찰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온실 입구, 온풍배출구 부근에 기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특히 주의하여 관찰한다.
온실가루이
(3) 생태 및 생활사
온실가루이는 기주식물이 상당히 많아 박과류·토마토·가지·화훼류·관상식물·잡초 등 200여 종의 식물에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박과류 중에는 오이·호박에 많이 기생한다. 가온하는 시설태배에서는 겨울에도 발육과 증식을 계속하며, 야외에서는 겨울에는 발생하지 못한다. 성충은 어린잎을 좋아해서 어린잎에서 흡즙하고, 산란한다.
암성충의 평균수명은 30∼40일, 한 마리당 산란수는 100∼200개이다. 알은 약 1주일만에 부화하며, 부화유충은 처음에는 이동이 가능하나 점차 고착하여 흡즙한다. 유충기간은 8∼10일, 용기간은 약 6일로서, 온실내에서는 늦어도 1개월에 1세대를 경과하며, 연간 10세대 이상 발생한다. 발생이 진전되면 알·유충·용·성충의 각태를 항상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방제가 곤란하다.
발육최적 온도범위는 23∼28℃이며, 40℃ 이상의 고온과 강우가 많은 조건에서는 발생이 억제된다. 작물재배가 연속해서 되는 온실에서는 발생이 많다.
(4) 방제대책
도장위생 등 경종적 조치를 철저히 하면 온실가루이의 발생이 현저히 경감된다. 온실가루이의 발생을 단절시키기 위해서는 앞작물 재배가 끝나면 잔재물과 잡초를 철저히 제거하고, 온실 주변의 노지에 온실가루이의 발생원도 깨끗하게 제거하면 발생이 현저히 줄어든다.
각태별로 약제에 대한 반응이 다르기 때문에 한두 번의 약제살포로는 방제가 어렵다. 육묘기간 중에 관리를 잘 하여 온실가루이의 발생을 억제하고 발생초기에 중점적으로 약제를 살포한다. 약제살포시에는 약액이 잎뒷면까지 묻도록 살포하고, 보통 7∼10일 간격으로 3회 정도 방제하는 것이 좋으며, 정기적으로 성충의 발생상황을 잘 살펴보아 약제살포 계획을 세운다.
알과 다 자반 유충·번데기에 대해서는 일반 살충제로는 살충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유충과 번데기의 발생이 많은 시기에는 침투성 살충제를 살포하는 것이 좋다.
'농사일반 > 농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외 담배가루이 약제로 선발-‘디노테프란’·‘스피로메시펜’ (0) | 2008.05.07 |
---|---|
호박-흰가루병(白紛病) (0) | 2008.04.19 |
‘온실가루이’ 방제법-저항성 검증된 약제 살포가 최선 (0) | 2008.04.12 |
담배가루이 발생생태 및 방제대책 (0) | 2008.04.10 |
담배가루이 발생생태 및 방제요령 (0) | 2008.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