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dery mildew/Sphaer otheca fuliginea (Shlechtenadahl) Pollacci)
(1) 증상과 특징
주로 잎에 발생하나 빠를 때는 떡잎과 잎자루·덩굴 등에도 발생한다. 잎의 양면에 흰색의 분생포자가 생기므로 쉽게 관찰할 수 있다. 가을이 되면 회색의 병반 위에 흑점 모양의 자낭각을 형성하나 따뜻한 곳에서는 자낭각의 형성이 드물다.
이 병은 어떤 작형에서도 발생하며 주로 생육말기에 발생하는데, 잎의 노쇠를 촉진시켜 수확기를 짧게 하고 수확량즐 저하시킨다.
(2) 발생의 원인
하우스내에서 생육중인 잎 위에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월동하므로 주년재배가 가능한 지방에서는 분생포자의 비산이 큰 전염원이 된다 겨울철에 시설재배를 하지 않는 지역에서는 자낭각을 형성하여 월동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자낭각의 형성은 극히 드물다는 설도 있으나 확실한 결과가 보고되지 않고 있으며, 최근 일본원예시험장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일부 지역에서 자낭각의 형성이 나타나고 있다고 한다.
야외포장에서는 자낭포자의 전염원이 다습시 많이 발생한다고 하나, 고온 건조에서도 발생하기 쉽다고 한다. 이와같이 상이한 조건하에서도 병이 발생하는 공통적인 요인이 기생작물의 노화 및 재배시의 환기불량 등이다.
(3) 대책과 주의점
환기불량이 발병의 요인이므로 밀식을 피하고 늙은 잎은 될 수 있는 대로 제거하여 투광과 통풍이 잘 되게 한다. 하우스재배에서는 혹한기의 하우스 밀폐로 인해 겨울부터 발병하므로 특히 이 시기에 주의를 해야 한다. 가온 하우스에서는 난방기 주변에서 발병하는 예가 많다. 그리고 잎의 뒷면에서 발병하므로 잎뒷면을 잘 관찰하도록 한다. 약제살포로는 바이코수화제 2,500배액이나 아싸액상수화제 500배로 희석하여 일주일마다 3∼4회 잎의 뒷면에 약액이 충분히 묻도록 살포한다.
'농사일반 > 농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비제란?? (0) | 2008.05.09 |
---|---|
참외 담배가루이 약제로 선발-‘디노테프란’·‘스피로메시펜’ (0) | 2008.05.07 |
온실가루이 (0) | 2008.04.19 |
‘온실가루이’ 방제법-저항성 검증된 약제 살포가 최선 (0) | 2008.04.12 |
담배가루이 발생생태 및 방제대책 (0) | 2008.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