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무에 달리는 과실 수가 적당해야 열매가 커지고 품질도 좋아지는데,
무엇보다 이듬해 꽃눈 생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나무에
달리는 열매를 조절하기 위한 꽃봉오리 솎기와 열매솎기작업은 필수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 그 시기로는 꽃봉오리 솎기작업이 지금부터 꽃이 피기 전까지 실시해야 하고,
열매솎기작업은 여름철 장마가 끝난 후인 7월 상·중순에 실시한다.
이들 작업 중 꽃봉오리 솎기방법은 과수원에 수꽃나무가 8%이상 심겨져 있거나
과수 관리에 자신 있는 농가에서 하는 것이 안전하면서 유리하고, 그렇지 못한 농가에서는
장마가 끝난 후 열매솎기를 해주는 것이 좋은데, 열매솎기의 경우, 과실을 크게 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이듬해 꽃눈분화에는 도움이 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 꽃봉오리 솎기 방법은 열매가 달리는 주 가지에 새로 난 가지 수가 3개 이하일 때는 1~2개의
꽃봉오리를 남기고, 새가지 수가 4개 이상일 때는 가지의 세력을 감안하여 2~5개의 꽃봉오리를 남기면 된다. 7월에 실시하는 열매솎기방법은 각 가지의 세력에 따라 잎 매수 15~25매당 1개 정도의 과실을 남기고 솎아 주면 단감 상품성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다.
무엇보다 이듬해 꽃눈 생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나무에
달리는 열매를 조절하기 위한 꽃봉오리 솎기와 열매솎기작업은 필수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 그 시기로는 꽃봉오리 솎기작업이 지금부터 꽃이 피기 전까지 실시해야 하고,
열매솎기작업은 여름철 장마가 끝난 후인 7월 상·중순에 실시한다.
이들 작업 중 꽃봉오리 솎기방법은 과수원에 수꽃나무가 8%이상 심겨져 있거나
과수 관리에 자신 있는 농가에서 하는 것이 안전하면서 유리하고, 그렇지 못한 농가에서는
장마가 끝난 후 열매솎기를 해주는 것이 좋은데, 열매솎기의 경우, 과실을 크게 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이듬해 꽃눈분화에는 도움이 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 꽃봉오리 솎기 방법은 열매가 달리는 주 가지에 새로 난 가지 수가 3개 이하일 때는 1~2개의
꽃봉오리를 남기고, 새가지 수가 4개 이상일 때는 가지의 세력을 감안하여 2~5개의 꽃봉오리를 남기면 된다. 7월에 실시하는 열매솎기방법은 각 가지의 세력에 따라 잎 매수 15~25매당 1개 정도의 과실을 남기고 솎아 주면 단감 상품성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다.
'과일나무재배 > 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시 빨리 만드는 요령.. (0) | 2008.10.10 |
---|---|
감나무 묘목심는 법 (0) | 2008.10.03 |
단감 꽃봉오리 따기-너무 빠르면 새가지 손상 우려 (0) | 2008.04.12 |
감나무재배 작업관리일정 (0) | 2008.04.08 |
단감나무재배-단감 탄저병 ‘석회유황합제’로 예방을 (0) | 2008.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