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발생현황
    녹병은 남쪽지방이나 제주도의 난지형 마늘에서 많이 발생한다. 심한 해에는 30~50%의 이병엽율을 보여 큰 피해를 초래한다. 생육후기인 5월에 심하게 발생하는데 강우가 많아 기온이 내려가고 비료분이 부족하여 생육이 불량할 때 많이 발생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무안, 고흥, 남해 등 마늘 주산지와 제주도에서 피해가 크고, 의성, 단양, 영동 등의 내륙지방에서는 병발생을 찾아볼 수 없다.
 
  2. 병 징
    잎에는 처음 황색의 작은 반점이 나타나고 진전되면 적황색으로 변한다. 진전되면 감염부위가 융기되고 균열되어 적황색의 분말이 분출되며, 5~6월 수확기에는 회색 내지 흑갈색의 병반이 형성된다. 심한 포장은 잎 전체가 주황색으로 말라 죽는다.
 
 
 
그림 1. 녹병의 병징
 
  3. 병원균(Puccinia allii)
    진균계의 담자균문에 속하며 동포자와 하포자를 형성한다. 이 병원균은 순환물 기생균으로 인공배양이 불가능하며, 파속식물에 기생한다. 피해식물에서 동포자의 형태로 월동하여 1차전염원이 되며, 공기 중에 비산 전파되고 기공을 통하여 침입한다. 하포자는 2차전염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하포자의 발아적온은 9~18℃이다.
 
  4. 발병유인
    6월에 기온이 저하되어 서늘하면 병발생이 많아지고 특히 따뜻한 지방에서 온도가 내려갈 때 피해가 크다. 기온은 22~23℃이하로서 강우가 많은 해에 많이 발생하며 24℃이상의 기온에서는 발생이 매우 적다. 비료가 부족하여 생육이 불량하면 많이 발생한다.
 
  5. 방제대책
  가. 재배적 방제
  ⑴ 수확 후 이병물을 깨끗이 제거한다.
⑵ 계속해서 해마다 발생하는 포장은 다른 작물을 윤작한다.
⑶ 비료가 부족하면 추비를 사용하여 초세를 양호하게 하여 준다.
 
  나. 약제 방제
  ⑴ 파종시 종구소독을 하는 것이 좋다.
⑵ 발병초기부터 잎마름병 약제를 충분히 살포한다.
⑶ 파녹병에 등록된 약제(누아리몰유제, 마이탄수화제, 지오판리프졸수화제, 부탄엠수화제, 핵사코나졸액상 수화제, 디페노코나졸유제 등)를 사용할 때는 약해에 유의해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