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환
 
기관 : 원예연구소 나주배연구소
 
성명 : 손동수
 
전화 : 061-331-7278
           
  1. 선발경위
  선사환은 일본 신내천현에서 우연실생으로 발견된 품종이다. 원예시험장(現 원예연구소)에서는 1966년에 도입하였으며 1991년에 수꽃착생이 많고 화분량이 많아 수분수 품종으로 선발하였다.


그림 1. 선사환
           
  2. 주요특성
    가. 생육특성
  수세는 중정도이고 수자는 개장성이며 약간 왜화성을 나타낸다. 가지는 밀생하며 굵기는 중정도이고 절간장이 짧다. 암꽃 착생이 많아 결실성이 높으며 수꽃 착생이 많고 꽃가루양이 많으며 개화기간이 길어 수분수로 유망하다.

나. 과실특성
  숙기가 10월 중하순으로 만생종이며 나주지방에서 수확기는 10월 20일경이다. 과중은 120g으로 소과종이며 과형은 원형이다. 과피는 선홍색으로 광택이 적고 거칠며 과정부가 원형 줄무늬로 균열이 된다. 과육은 갈반이 많이 생기는 불완전단감이며 육질이 거칠다. 당도는 14.5°Bx로 중정도이다.

표 1. 주요생육 및 과실특성
품 종
만개기(월.일)
숙 기(월.일)
수꽃 착생
과 형
과 중(g)
당도(°bx)
과피색 
선 사 환
서촌조생
5.31
5.28
10.2
   9.25

원 형
단보주
120
180
14.5
15   
등 홍
등 홍

다. 내병충성
 탄저병에 강하나 흰가루병에 약하다.

라. 수량성 및 상품성
 착화량이 많아 수량성은 2,200㎏/10a인 풍산성이다.

표 2. 수량성 및 상품성
품 종
꼭지들림
저장력
수확전낙과
단위결과
품 질
수량(㎏/10a)
선 사 환
서촌조생
극 소
극 소
중(20)
약(10)
극 소
극 소


2,200
2,100
           
  3. 적응지역
 내한성이 약해 남부지방의 단감 안전재배지대가 재배적지이다.

4. 재배상의 유의점

 
  • 수세가 약한 편이므로 착과량을 조절하고 심경 및 유기물 시용으로 수세를 강하게 해야 한다.
  • 수꽃 확보를 위하여 전정시 약한 가지를 많이 남긴다.
           
  참 고 문 헌

감재배(표준영농교본).
現代のカキ(石崎政彦著).
カキの生理生態と栽培新技術(中村三夫, 福井傳一著).
農業技術大系(果樹編 4).

  송본조생부유
 
기관 : 원예연구소 나주배연구소
 
성명 : 손동수
 
전화 : 061-331-7278
           
  1. 육성경위
  일본 교토부의 송본씨 과수원에서 부유품종의 아조변이로 1935년경에 발견되어 송본조생부유라 명명하였다.
           
  2. 생육특성
    가. 나무의 성질
  약간 직립성이며 수세는 부유에 비하여 약한 편이며 성과기에 이르러서도 부유보다 나무가 작다. 1년생 가지는 짧고 굵으나 가지의 발생정도는 많지 않다. 잎색은 황록색을 띄며 성엽이 되어도 크기가 작은 편이다. 수꽃이 피지 않기 때문에 수분수를 혼식해야 안정적으로 결실을 할 수 있는 품종이다.
나. 과실특성

숙기는 부유에 비해 2주정도 빠르며 외관은 부유와 비슷하나 육질이 부유에 비해 조금 떨어진다. 과육은 치밀하고 갈반 밀도가 조밀하다. 당도는 16~17도이고 과즙이 많은 품종이다. 떫은맛은 전혀 없으며 품질은 중간정도이다.


그림 1. 송본 조생부유

           
  3. 재배적지
 부유품종보다 조기수확하고 수상에서 완전탈삽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재배가능 지역이 부유품종의 재배지역보다 넓은 잇점이 있다.

4. 재배시 유의할 점

 
  • 토양의 수분조건과 미량요소의 흡수상태에 따라 녹반증 또는 저장중에 흑반증상이 나타나기 쉬우므로 유기물의 시용과 석회의 시용 등 토양관리에 철저를 기해야 한다.
  • 탄저병과 낙엽병에 약하므로 6월상순부터 10일간격으로 3회 이상 약제살포를 철저히 해야 한다.
           
  참 고 문 헌

감재배(표준영농교본).
現代のカキ(石崎政彦著).
カキの生理生態と栽培新技術(中村三夫, 福井傳一著).

           
  영동월하시
 
기관 : 원예연구소 나주배연구소
 
성명 : 손동수
 
전화 : 061-331-7278
           
  1. 육성경위
  영동월하시는 충북 영동지방이 주산지로 원예시험장(現 원예연구소)에서 1959년부터 1968년까지 수집 검토하여 1차 선발한 품종이다. 1974년부터 주요 생육 및 과실특성을 조사한 결과 연시, 곶감용으로 우량시되어 1981년에 최종 선발하였다.

그림 1. 영동월하시
           
  2. 생육특성
    가. 나무의 성질
  수세는 중정도이고 수자는 반개장성으로 1년생가지는 굵고 길게 자란다. 잎이 매우 크며 꽃눈 착생이 양호하고 발아기는 늦으나 만개기는 빠른 편이다.

나. 과실특성
  숙기가 10월하순으로 만생종이며 나주지방에서는 수확기가 10월25일경이다. 과중은 330g으로 대과종이고 과형은 편원형으로 횡단면은 방형에 가갑다. 과피는 등황색으로 광택이 많고 매끄러우며 과분이 많다. 과육은 황색으로 연하여 갈반이 전혀 없는 완전떫은감이다. 당도는 18.5°Bx로 매우 높고 연시 및 곶감용으로 적합하다.

표 1. 주요생육 및 과실특성
품 종
만개기(월.일)
숙 기(월.일)
수꽃착생
과 형
과중(g)
당도(°Bx)
과피색
영동월하시
5.31
10.25
없 음
편 원
330
18.5
등 황

다. 내병충성
  탄저병에 다소 강하고 흰가루병에는 약하다.

라. 수량성 및 상품성
  수량성은 2,100㎏/10a로 풍산성이며 과다착과시 해거리가 있는 편이다. 극대과로서 연시용으로 적합하고, 곶감 제조시 건조가 어려우나 곶감의 크기가 크고 색택이 적갈색으로 상품성이 매우 높다.

표 2. 수량성 및 상품성
품 종
꼭지들림
수확전 낙과
단위결과
품 질
용 도
수량(㎏/10a)
영동월하시
극 소
없 음

극상
연시, 곶감
2,100
           
  3. 적응지역
  내한성이 강한 편으로 중부내륙의 추운 지방을 제외한 전국재배가 가능하다.

4. 재배상 유의할 점

 
  • 단위결실력이 약하고 종자형성력이 강하므로 반드시 수분수를 혼식해야 한다.
  • 결실모지 발생이 적으므로 예비지전정 및 절단전정이 필요하다.
  • 질소 과다, 강전정은 도장지 발생이 심하고 신초가 도장하여 낙과가 심하므로 시비량 및 전정 정도를 조절한다.

           
  참 고 문 헌

감재배(표준영농교본).
現代のカキ(石崎政彦著)

 

 

         
  차 랑
 
기관 : 원예연구소 나주배연구소
 
성명 : 손동수
 
전화 : 061-331-7278
           
  1. 선발경위
  차랑은 일본시즈오카현에서 19세기 중엽 우연실생으로 발견된 품종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10년경에 부유품종과 같이 도입되었다.
           
  2. 주요특성
    가. 생육특성
  수세는 강하며 수자는 직립성으로 가지는 짧고 굵으며 밀생하여 절간이 짧고 회갈색으로 윤기가 있어 단단한 느낌을 준다. 잎의 크기는 중간정도이고 타원형으로 빳빳하고 어린 잎은 녹황색이다. 단위결과성도 부유에 비해 강한 편이다. 착화량은 중정도이며 해에 따라 극히 적은 경우가 있으나 낙과가 적으며 착과량에 대한 부담 능력이 낮아 해거리가 심한 편이다.

나. 과실특성
  숙기는 10월 하순에서 11월 상순으로 만생종이며 나주지방에서 수확기가 10월 31일 경으로 부유보다 3~4일 빠르다. 과중은 230g으로 대과종이고 과형은편형으로 횡단면은 방형이다. 과정부에는 넓고 얕은 8개의 골이 있으며 과실측면에는 4개의 깊은 골이 꼭지 부위까지 이어져 있다. 과피는 주황색으로 광택이 많고 매끄러우며 과분이 많다. 과육은 등홍색으로 치밀하며 갈반이 적은 완전단감이다. 당도는 16.0°Bx로 부유보다 높고 조기에 완전 탈삽된다.

표 1. 주요생육 및 과실특성
품 종
만개기(월.일)
숙 기(월.일)
수꽃 착생
과 형
과 중(g)
당도(°Bx)
과피색
차 랑
부 유
5.3
6.1
10.31
11.4  

편 방
편 원
230
220
16   
15.5
등 홍
등 황


그림 1. 차 랑


다. 내병충성
  탄저병, 낙엽병에 강하다.

라. 수량성 및 상품성
  수량성은 1,800㎏/10a으로 낮은 편이며 과다착과시 해거리가 심하다. 과실 측면에 깊은 골이 있고, 대과일수록 과정부 열과가 심하여 상품성이 낮으며 상온 저장력은 10일 정도로 약하다.

&표 2. 수량성 및 상품성
품 종
꼭지들림
수확전낙과
저 장 력
품 질
단위결과
수 량(㎏/10a)
차 랑
부 유

극 소
극 소
약(10일)
강(20일)


1,800
2,500
           
  3. 적응지역
  내한성이 있는 편이나 단감 안전재배지대인 남부지방이 재배적지이다.

4. 재배상의 유의점

 
  • 가지가 짧고 곧게 자라므로 재식 밀도를 늘여 수량을 증대시킨다.
  • 짧은 가지가 밀생하고 착화상태가 양호하므로 솎음 전정을 하여 수관내 투광량을 많게 한다.
  • 과정부 열과가 심하므로 중정도 크기의 과실이 생산되로록 유의하며 해거리 및 동해방지를 위하여 과다착과 되지 않게 결실량를 조절한다.

  참 고 문 헌

감재배(표준영농교본).
現代のカキ(石崎政彦著).
カキの生理生態と栽培新技術(中村三夫, 福井傳一著).
農業技術大系(果樹編 4).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나무 재배(4)-재배적지 및 한계  (0) 2007.04.08
감나무 재배(4)-번식,육모,재식  (0) 2007.04.08
감나무 재배(2)-품종  (0) 2007.04.08
감나무 재배(1)-생태적특성  (0) 2007.04.08
감나무  (0) 2007.04.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