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 생태적 특징

 

재배적지

재배 적지를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면 토양과 기후에 의한 적지로 구분할 수 있다. 토양적인 적지는 배수가 양호하고 통기성이 좋으며 땅이 푸실푸실한 충적토가 적당하며 유기질이 많은 비옥한 곳이어야한다. 즉 보습력이 높은 양토, 사질양토, 자갈이 섞인 양토 등이 적당하고 토심이 1.5 ~ 2.0m 이상되는 깊은 곳을 요구한다. 또한 기후적으로는 여름철은 서늘하고 겨울에는 온화한 산간 지방으로 비가 적은 곳이 적지이다. 그러나 호두 나무는 결과 지수가 적고  가지가 굵으며 수분이 많아 월동기간 중 곁가지가 말라죽는 사례가 많다. 여름철 고온과 겨울철 한풍해, 조상, 만상 피해에 약하므로 남해안과 평야지를 제외한 년평균 기온 11 ~ 13℃되는 지역이 적당하다.
내한성은 강한 편으로 재식초기를 제외하고는 -28℃까지도 견니나 여름철 고온에는 오히려 약하여 38℃이상 되면 일소를 받기 쉽고 仁이 충실해지지 못하며 核의 껍질에 지방이 나와 흑변되기 쉽다. 개화기인 5월 상·중순에는 건조해야 잘 受粉되며, 7∼8월에는 강우량이 많아야 과실의 비대에 좋은데, 이러한 면에서 우리 나라는 호두나무재배에 적당한 강우분포를 가지고 있는 편이다.
호두나무는 토양적응범위가 비교적 넓지만, 뿌리가 심근성이므로 토심이 깊고, 또한 뿌리의 산소요구도가 높아 토양 중에 10∼20 %의 공기를 함유하고 있는 사질토양가 적합하며, 중성 또는 약산성토양에서 생육이 양호한 편이다.
경사도는 급경사지가 아닌 15。 미만의 완경사지 산록부가 좋다. 호두나무는 어릴 때 극양수로써 많은 양의 광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남향 또는 남동향에 식재함을 요하나 태풍 방향을 피하고 비옥지를 택함이 적당하고 특히, 북서향의 바람맞이가 아닌 곳, 늦서리 피해가 없는 곳이 적당하다.

번식

호두나무는 다른 과수와 달리 암꽃과 수꽃의 개화기가 동일하면 자가결실이 잘 되기 때문에 실생묘를 심더라도 비교적 변이가 적어서 어미나무(母樹)에 가까운 과실이 생산되므로 과거에는 실생묘를 심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실생묘는 늦게 결실되고 나무가 커지며 과실 및 수세가 균일하지 못하기 때문에 접목묘를 재배해야 하는데, 이것은 접목활착율이 낮은 것이 결점이다.

'과일나무재배 > 호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두나무 재배(6)-병충해  (0) 2007.04.12
호두나무 재배(5)-식재후 관리  (0) 2007.04.12
호두나무 재배(4)-식재  (0) 2007.04.12
호두나무 재배(3)-번식  (0) 2007.04.12
호두나무 재배(1)-재배일반  (0) 2007.04.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