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미 재배현황

가. 국내재배현황

ball02a.gif 장미는 세계 3대 절화

ball02a.gif 1985년도부터 현재까지 국내 재배면적 및 생산량 증가 추세

ball02a.gif '96년 국내 장미 재배면적은 579ha,생산량은 528백만본

ball02a.gif 1인당 소비량을 기준 '90년초부터 국내 장미의 적정 재배면적을 초과
 

<국내 장미 재배면적과 생산량의 변화>

(단위:ha,백만본,억원)

구분

'85

'90

'91

'92

'93

'94

'95

'96

재배면적

41.9

159.0

192.5

297.8

329.1

363.3

481.0

579.0

생산량

20.9

81.7

113.5

148.9

214.5

303.3

513.0

528.0

생산액

18.3

71.6

102.5

218.8

251.6

367.8

630.0

904.4

단위면적당

생산량

(본/10a)

50,078

51,412

58,975

50,009

65,192

82,348

106.652

91,192

재배면적

증가율(%)

100

379

459

710

785

1,148

1,148

1,426

ball02a.gif 절화장미 생산의 대표적인 지역:고양시 일대,김해 지역

ball02a.gif 용인 : 기존하우스 및 자동화하우스에서 년중 장미재배(구성,원삼,이동)

ball02a.gif 애로사항

  • 생산성이나 재배면적에서 화란,미국,일본에 비해 낙후
  • 품질도 중품정도가 생산
  • 다양한 품종의 생산이 미흡
  • 현재 원예연구소를 중심으로 하여 장미품종연구가 진행

ball02a.gif 일본장미 품종과 우리나라가 품종의 차이점

  • 일본에서는 최근 새롭게 육성,도입된 품종을 중심
  • 한국은 과거에 도입된 품종 중심

2. 장미의 소비현황

가. 국내 장미 유통 및 소비현황

 1) 유통경로

   ball02a.gif 절화장미의 일반적인 유통경로

생산자

도매시장(위탁도매시장)

소매시장

소비자

ball02a.gif 서울시장에 대한 의존도는 전체 출하물량의 70∼80%


 2) 유통마진

ball02a.gif 총유통마진은 54.1%

ball02a.gif 생산농가의 소득보다 유통중에 발생하는 비용이 더 큰작목

<장미의 유통마진 비율>

구분

농가수취율

총유통마진

단계별마진

출하단계

도매단계

소매단계

마산→서울

45.7%

54.3%

10.8

8.7

34.8

(유통공사,1994년,지역특화 및 수출유망품목 우수재배농가) 

ball02a.gif 경남지역에서 장미의 유통비용이 상당히 차지하고 있는점을 고려

ball02a.gif 서울에 인접한 용인은 유통마진은 더 낮아 타지역보다 경쟁력 있음


 3) 소비동향

<수요공급에 의한 향후 장미소비동향>

연도별

구분

'95

'97

'99

2001

2004

총수요량

국내생산

- 생산량

- 소요면적(ha)

1인당소비량(본)

223,392

 

208,499

327.6

5.0

297,240

 

356,618

397.6

5.8

321,126

 

466,203

476.4

6.5

362,872

 

545,013

507.0

7.3

399,159

 

604,964

532.4

7.9

ball02a.gif 장미소비는 생일,결혼,종업,개업 등의 각종 행사용

ball02a.gif 일반가정이나 도시미화등 위한 소비는 미흡

ball02a.gif 꽃이 필요로 할 때 즉시 구입할 수 있는 판매장이 부족

 

나. 일본의 장미 소비동향

 1) 소비량

ball02a.gif 연간 장미소비량은 4억 8천만본(한국 4배)

ball02a.gif 소비시기 : 봄,가을


 2) 소비형태 및 기호도

ball02a.gif 일반화원 및 소매상에서 가장 많이 취급(20%수준)

ball02a.gif 소비형태 : 가정용,선물용 꽃다발,꽃바구니

ball02a.gif 통신배달 품목 : 대륜제,소륜제,미니계통 장미절화

ball02a.gif 선호색상 : 적색계 60%,핑크계가 35%,백색계,황색계통 순

 

다. 한국과 일본의 화훼 소비동향

 1) 1인당 화훼류 소비금액

ball02a.gif 일본 : 66천원(독일 71,화란53,미국 34천원)

ball02a.gif 한국 : 11천원


 2) 소비의 계절적 편차

ball02a.gif 소비시기가 2∼5월에 집중

  • 한국 : 1년 소비량의 48%가 4개월동안 소비 - 일본 : 34.1%

<한국과 일본의 월별 화훼 소비 형태비교>

구분

월별

한국

일본

행사

출하율

(%)

가격

지수

행사

출하율

(%)

가격

지수

1월

신정

7.1

111.3

신정,성인의 날

4.8

116.3

2월

졸업,발렌타인데이

11.6

152.7

발렌타인데이,발표회

6.6

118.7

3월

입학,화이트데이

11.4

127.0

피안,졸업,화이트데이

12.1

117.3

4월

부활절,결혼

12.3

126.0

졸업

7.4

90.3

5월

어비이날,어린이날,스승의날,성년의날

12.7

119.7

어머니날,아버지날 ,

단오,연인의날, 발표회

8.0

105.3

6월

현충일

6.8

72.0

결혼,연예,중원

6.5

84.3

7월


4.5

53.3

칠석,백중,발표회,중원

6.9

74.7

8월


3.5

50.0

발표회

10.9

85.3

9월

결혼

6.4

102.0

月見,경로의 날,발표회

9.2

111.0

10월

결혼

7.4

63.0

문화제,근면의 날,발표회

6.5

86.7

11월

추수감사제

7.6

99.7

七五三,추수감사제

5.6

102.3

12월

성탄일

8.7

123.7

성탄절,결혼,연예,발표회

15.5

108.0

 

3. 장미 재배환경 관리

가. 온도관리

 1) 주야간 온도

ball02a.gif 최상의 절화생산 온도

  • 주간온도 : 24∼27℃
  • 야간온도 : 15∼18℃

ball02a.gif 주간온도와 야간온도의 교차폭은 10℃

ball02a.gif 야간온도가 15℃이하 : 노균병,흰가루병의 발생,생육억제,블라인드 발생


 2) 기온에 다른 생리작용

ball02a.gif 5℃ : 세포분열촉진호르목(사이토카이닌)작용 효과 저조

  • 휴면유도호르몬(ABA)의 활력이 증가,생장호르몬 작용 저하
  • 낙엽,휴면 돌입

ball02a.gif 영하 10℃정도 : 장기간 지속될 경우 동사

ball02a.gif 30℃ 이상의 고온

  • 지속되면 지나친 호흡과 증산량이 증가
  • 고온장해로 광합성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해 생육이 억제


 3) 지온의 영향

ball02a.gif 뿌리의 생육과 활력

  • 지온은 적정온도인 18∼20℃를 유지
  • 뿌리의 활력,건전한 수세확보,
  • 품질유지,생장지 발생 증가,절화수량 증가

ball02a.gif 겨울 차가운 물 관수

  • 지온이 저하 저온스트레스
  • 뿌리활력위축
  • 관수시 근권부 온도 유지 주의

 

나. 광관리

 1) 광의 필요성

ball02a.gif 장미는 양성식물

ball02a.gif 우수한 생육,개화를 위해 충분한 광향 필요

ball02a.gif 환경요인중 가장 큰 비중


 2) 광포화점

ball02a.gif 광포화점:보통 37∼50킬로룩스 정도

ball02a.gif 상단부:광포화점에 도달하더라도 하단은 충분한 수광 불가능

  • 전정을 통한 수형구성,하우스 피복자재 광투과량 고려


 3) 보광

ball02a.gif 광도:3,200∼11,000록스

ball02a.gif 효과

  • 절화 수확후 맹아(숨은 눈)발생이 촉진,개화일수가 3∼4일정도 단축
  • 체내 축적 탄수화물 증가,블라인드의 발생이 감소,생장지 발생 증가

 

다.탄산가스 관리

 1) 탄산가스관리의 필요성

ball02a.gif 대기중 탄산가스농도 : 350ppm정도

ball02a.gif 하우스 : 탄산가스량의 변화

  • 주간 탄산가스 부족
  • 주간 탄산가스 증대


 2) 탄산가스 공급요령

ball02a.gif 시설내 탄산가스농도 측정기를 설치

ball02a.gif 농도 : 1,000○∼1,500ppm 정도

ball02a.gif 공급시간 : 일출 1시간 후부터 환기 30분전까지

ball02a.gif 환기는 실내온도가 28∼30℃정도가 될 때 실시

ball02a.gif 최저농도시간 : 오전 6시부터 오전 8시경


 3) 탄산가스종류별 공급방법

ball02a.gif 액체탄소

ball02a.gif 고체탄소

ball02a.gif 유기물연소

ball02a.gif 탄산가스발생제

 

라. 환경관리와 블라인드

 1) 블라인드(Blind)란?

ball02a.gif 꽃눈분화후 발육이 불량한 가지가 꽃눈으로 발육하지 못하는 현상

ball02a.gif 새가지가 30cm이상 자란 후에는 블라인드의 발생이 거의 없으나 보통 30cm이하에서 환경조절 유의


 2) 블라인드의 원인

ball02a.gif 낮은 야간온도,광량과 잎수부족,탄수화물의 축적이 빈약

ball02a.gif 불량한 환경조건으로 인한해 지베렐린 생성량이 부족할 때

ball02a.gif 사이토카이닌 증가로 측지의 발생이 많아질 때


 3) 블라인드의 방지법

ball02a.gif 광이 부족하지 않도록 탄산가스를 공급하여 광합성량을 증가,탄수화물의 축적

ball02a.gif 야간온도 14℃이상으로 유지, 조기낙엽을 방지,지베렐린을 살포

 

 

4. 절화장미의 품종선택

가. 품종선택시 고려할 사항

ball02a.gif 수요자의 기호도와 시장성 및 국제 경쟁력

ball02a.gif 절화수량(채화시기멸 수량과 가격의 진폭)

ball02a.gif 절화의 품질(화색,화형,꽃잎수,절화장,전체적인 균형 등)

ball02a.gif 시설의 종류,재배양식,작형과의 적합성

ball02a.gif 저온신장성,블라인드 및 기형화 발생율 등

ball02a.gif 절화수명,수송 및 저장력

ball02a.gif 내병성 및 내공해성

 

나. 양액재배에 적합한 품종선택

ball02a.gif 양액재배는 중.소륜계통,스프레이 계통

ball02a.gif 토양재배시 수확량이 적거나 줄기신장성이 낮은 품종

ball02a.gif 잎이 크고 절간신장이 좋은 품종,절화경이 굵고 수세가 왕성한 것,꽃목이 긴 것,하엽이 잘 떨어지는 품종은 부적합

 

다. 장래에 유망시 되는 품종

ball02a.gif 마델론,퍼스트 레드,레드벨벳,노블레스

ball02a.gif 롯데로즈,칼레드,티네케,파레오 90

 

 

 

5. 장미 토양재배기술

가. 토양관리

 1) 토양의 선택

ball02a.gif 물빠짐이 좋은 비옥한 사양토나 양토

ball02a.gif 하천부지의 충적토 또는 병충해가 적고 유기질이 풍부한 퇴적토


 2) 토양의 이화학성

ball02a.gif 약산성 토양,pH6.0∼6.5

ball02a.gif 유기물함량은 30∼40%로 유지

 

나.시비관리

 1) 밑거름 시용량

ball02a.gif 완숙퇴비 6,000kg/10a

ball02a.gif 깻묵 300kg/10a

ball02a.gif 복합비료(18-18-18)100kg


 2) 정식방법

ball02a.gif 정식시기

  • 눈접묘는 10월하순에서 2월중으로 하고
  • 절접묘는 3월에서 4월중에 정식

ball02a.gif 정식거리

  • 70∼80cm×30∼40cm
  • 통로:70∼90cm정도로 넓은 것이 작업 편리

ball02a.gif 정식 깊이

  • 접목부위가 지표위 3∼4cm 돌출
  • 피복시 접목부가 피복위로 돌출

ball02a.gif 정식본수;5,500∼8,000본/10a

 

다.생장지(生長枝)관리

 1) 생장지(basal shoot)란?

ball02a.gif 땅속이나 기부에서 발생되는 직경 1cm이상의 굵은 가지

ball02a.gif 영양상태에 따라 주당 1년 2∼4개


 2) 생장지 발생 기술

ball02a.gif 꽃봉오리 아래 1∼2번째 5매엽 상단에서 계속적으로 순지르기

ball02a.gif BA(벤질아데닌,생장호르몬)처리 - 처리시기 : 2∼4월


 3) 생장지 발생후 채화모지의 유도

ball02a.gif 생장지는 기부 30∼40cm에서 적심후 충실한 채화모지 유도

ball02a.gif 채화모지의 직경은 5mm이상

 

라. 디슈팅(deshooting)

ball02a.gif 신초가 자라면 바로 따버리는 것

ball02a.gif 목적 : 묘목의 수세 약화,정식 시기를 일탈

ball02a.gif 나무의 키가 높아졌을 때

ball02a.gif 기부에서 충실한 새가지가 발생, 건전한 곁가지를 발생

6. 장미 우량묘 생산기술

가. 절접 및 접삽묘의 생산

ball02a.gif 숙지이용 절접:보통 12∼3월

ball02a.gif 녹지절접:연중

 

나. 양액 재배용 삽목묘 생산

ball02a.gif 양액재배 면적의 확대로 삽목묘 이용 증가

ball02a.gif 잇점 : 연중생산 및 정식 가능,비용저렴

ball02a.gif 발근제의 처리(루톤,홀맥스콘,옥시베른 등)로 발근율 증대

 

7. 장미 펄라이트 양액재배

가. 양액재배의 특징

ball02a.gif 시설투자비용 높음

ball02a.gif 근권부위의 물리화학적 상태가 불안정

ball02a.gif 년중 고품질 장미를 생산

 

나. 재배시설의 설치

 1) 재배베드 설치

ball02a.gif 지면 정리

ball02a.gif 폭 7m일 경우 폭 40cm의 베드를 3개 설치

ball02a.gif 베드간의 거리는 190cm정도,높이 80cm정도의 벤치 설치

ball02a.gif 플라스틱 비닐베드나 스티로폴베드를 설치

ball02a.gif 베드아래 배수시설을 설치

ball02a.gif 펄라이트를 채워 넣고 가운데 점적관수 테이프 설치


 2) 근권가온장치

ball02a.gif 근권가온을 위해 온수파이프를 설치

ball02a.gif 온수온도는 30℃


 3) 재배상 설치시 주의할점

ball02a.gif 베드의 경사 5%정도 구배

ball02a.gif 배액량을 점검장치를 설치하며 배액량은 급액량의 10%정도면 적당

 

다. 묘목의 준비와 정식 방법

ball02a.gif 삽목묘 준비

ball02a.gif 삽목묘 수향 9,000개/10a

ball02a.gif 스티로폼 상자 소독 후 펄라이트 채운후 삽목묘를 비스듬하게 꽂는다.

ball02a.gif 삽목전에 호르몬제(루톤,홀맥스콘,옥시베른 등)를 처리

ball02a.gif 삽목상은 항상 청결히 관리,삽목후 50%정도의 차광,매일 관수

ball02a.gif 7일후부터 비료를 녹여 관수시 공급,병해충 방제

ball02a.gif 삽목후 3주면 정식

ball02a.gif 삽목시 환경관리

  • 건조 및 과습 방지
  • 삽목상 온도:25℃
  • 삽목시기는 연중 가능,겨울철이 여름보다 발근 활착율 높음

ball02a.gif 정식후 양액공급관리

  • 1∼2일 동안은 양액이 없는 물
  • 3일째부터 EC 0.5이하
  • 10일후부터 활착이 되었다고 여겨질 때 EC농도 1.0
  • 이후부터는 EC1.5∼1.8

 

라. 양액재배시 장미 절곡(아칭)방법

 1) 1차 절곡

ball02a.gif 정식 후 30cm자랐을 때 너클(지제부)에서 바짝 붙혀 절곡

ball02a.gif 절곡대상가지의 겨드랑이 눈이 생겼을 때

ball02a.gif 눈이 생긴후 절곡, 절곡후 계속적으로 생장 유도


 2) 2차 절곡

ball02a.gif 너클에서 맹아가 아와 40-50cm길이 정도될 때 2차절곡 실시

ball02a.gif 2차절곡시에도 너클과 최하위엽 사이에서 절곡


 3) 3차절곡

ball02a.gif 맹아가 2-3개씩 동시 자라는 시기

ball02a.gif 출하 40-45일전에 최종 절곡

ball02a.gif 채화모지가 불량하게 생장하면 즉시 절곡

ball02a.gif 3차절곡이나 2차절곡시에는 가지가 굵어 절곡이 쉽지 않음

ball02a.gif 굵은 가지는 뺀치로 눌러준 다음 절곡


 4) 절곡각도

ball02a.gif 베드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향 30도

ball02a.gif 절곡 후에 끈으로 눌러 가지 일어섬 방지


 5) 꽃봉오리따기

ball02a.gif 절곡지나 절곡한 가지에서 발생하는 꽃봉오리는 즉시 제거


 
6) 너클부위에 절곡지가 최대 5개정도 유지

 

라. 양액조성

 1) 배양액내의 적정 양액농도

(단위:mM/ℓ)

질산태

질소

암모늄태질소

칼리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염소

pH

EC

11..0

2.0

3.5

4.5

6.5

2.0

2.0

0

0

6.0

1.6mS/cm


 2) 펄라이트 배지내의 적정 양액농도

질산태 질소

암모늄태질소

칼리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염소

pH

EC

12.0

<0.5

3.0

4.0

10.0

4.0

4.0

<1.0

<1.0

5.8

2.0mS/cm

 

 3) 일본의 장미 양액농도 기준

(단위:mM/ℓ)

양액의 종류

일본원시 처방액

애지원시 처방액

질산태질소

12.0

11.0

인산

3.0

3.5

황산

3.0

3.0

암모늄태질소

1.0

2.0

칼리

6.0

4.5

칼슘

6.0

6.5

마그네슘

3.0

2.0

53.7

5.8

망간

9.1

9.1

붕소

46.3

23.1

아연

0.76

3.0

구리

0.31

0.78

 

마. 양액비료 녹이는 방법

 1) 용해요령

ball02a.gif 원수의 칼슘이나 마그네슘,철의 함유량을 고려

ball02a.gif 양액탱크에 절반정도 채운후

ball02a.gif 양이 많은 성분부터 작은 플라스틱통에 완전히 용해후 탱크에 주입

ball02a.gif 모든 성분을 넣고 양액탱그에 완전히 물을 채운후

ball02a.gif 양액탱크내부 순환모터를 돌려 양액이 고루 희석

ball02a.gif pH와 EC를 교정,염산,황산,수산화나트륨


 2) 용해시 주의사항

ball02a.gif 각 성분은 성분끼리 결합되어 불용성 침전이 생기기 쉽다.

ball02a.gif 양액성분을 동시에 용해시키지 않고 한 성분씩

<분리해 두어야 할 양액성분>

A 액통

B액통

질산칼슘

질산칼리

EDTA-철

 

 

 

 

 

인산칼리

황산마그네슘

황산칼륨

인산암모늄

황산망간

몰리브덴산 나트륨

황산아연

황산구리

 

바. 재배중 배양액 관리

ball02a.gif 미량요소는 영양장해가 생기기 쉬우므로 가능한 한 추천량 유지

ball02a.gif 여름철과 강광 시 : EC농도 낮게,겨울철과 약광 시 : EC 높게

ball02a.gif 배양액의 pH : 산성인 5.5정도,배지내의 pH 6.0정도

ball02a.gif 배양액의 EC농도는 1.5mS/cm 적당,뿌리 주위는 2.0mS/cm

 

사. 하엽황화 낙엽의 원인과 대책

ball02a.gif 뿌리의 활력저하 원인

ball02a.gif 품종 원인

ball02a.gif 일제절화

ball02a.gif 일장의 부족

ball02a.gif 하엽황화 재배상 주요 대책

  • 뿌리의 활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배양액의 관리
  • 근권의 수분조건을 최적상태로 유지시키고
  • 근권부의 EC농도를 2.5mS/cm 이하로 유지
  • 베드내의 온도를 28℃이하로 유지하고 최저 20℃이상으로 유지
  • 적정 재식 밀도를 유지하여 뿌리가 충분히 발달하도록 한다.

 

8. 수확과 선별

가. 수확방법

ball02a.gif 일시전정이 끝난후 40∼50일

ball02a.gif 자르는 부위 : 새로나온 가지의 아래쪽 5매엽을 1∼2매 남기고 절화

ball02a.gif 절화수확시점

  • 여름은 봉오리가 물들 무렵,꽃받침이 2-3개 수평으로 벌어졌을 때
  • 봄과 가을을 봉오리가 물이 들은후 약간 벌어졌을 때
  • 겨울은 꽃잎 1매 정도가 벌어지기 시작할 무렵
  • 자른꽃은 되도록 빨리 깨끗한 물에 담구어 물올림 실시

 

나. 예냉

ball02a.gif 절화 수명 연장제를 처리하고 5∼7℃의 저온실로 옮겨서 물을 흡수 예냉

ball02a.gif 저온실의 온도

  • 겨울철 : 4∼5℃
  • 여름철 : 6∼7℃

ball02a.gif 저온저장고의 습도는 85%

ball02a.gif 송풍기 바람 장시간 노출 금지

 

다. 선별 및 출하

ball02a.gif 길이 10cm단위로 구분해서 등급별 구분

ball02a.gif 등급별로 결속한 후 밑부분을 동일한 길이로 절단

ball02a.gif 물동이에 넣고 저온장고에서 4시간이상 물올림

ball02a.gif 선별에 있어서 1등급 규격

  • 가지가 충실
  • 잎에 농약의 흔적이 없고 병들지 않은 것
  • 길이가 60cm이상

 

 

 

'화훼재배 > 화훼재배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지 재재법  (0) 2007.04.28
매리골드 재배법  (0) 2007.04.28
동백  (0) 2007.04.15
꽃사과  (0) 2007.04.15
개나리  (0) 2007.04.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