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생리생태 및 주요품종 | |||||||||||||||||||||||||||||||
1. 생리생태 | |||||||||||||||||||||||||||||||
매리골드는 뉴멕시코에서 북미의 일부 및 아르헨티나에 약 20종이 분포되어 있고 영명으로는 크게 2가지, 즉 프렌치매리골드(French marigold)와 아프리칸매리골드(African marigold)로 나누고 모두 춘파 일년초로서 국화과(菊花科, Compositae)에 속한다. 왜성종인 프렌치매리골드(Tagetes patula, 공작초, 홍황초, 멕시코 원산)와 고성종인 아프리칸매리골드(Tagetes erecta, 만수국, 멕시코 원산)가 있고 최근에는 아프리칸매리골드와 프렌치매리골드를 교배한 3배체매리골드(Triploid Marigold) 품종이 나오고 있다. 매리골드는 봄부터 가을까지 화단을 장식하고 내한성이 약하여 5℃이하가 되면 생육이 정지되고 0℃이하에서는 동사한다. 생육적온은 15~22℃정도이고 30℃이상이 되면 생육 및 개화가 둔화된다. 매리골드는 상대적 단일식물로 꽃눈형성에는 일장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지만 꽃눈의 발육은 단일에서 촉진되고 장일에서 억제된다. 꽃색은 황색과 등색에 국한되어 있으며 잎에서 특이한 냄새가 난다. 아프리칸매리골드와 프렌치매리골드 모두 화단식물로 많이 이용되지만 아프리칸매리골드는 절화소재로 이용되기도 한다. 4~5월에 화단에 정식하여 여름 장마전에 관상을 하고 장마기를 앞두고 지상부를 잘라줌으로써 습해를 경감시켜 장마 후부터 가을에 서리오기 전까지 관상할 수 있다. | |||||||||||||||||||||||||||||||
2. 주요품종 | |||||||||||||||||||||||||||||||
가. 프렌치매리골드(French Marigold) | |||||||||||||||||||||||||||||||
꽃폭이 3~4cm이고 초장은 15~40cm정도로 자라며 파종 후 개화소요일수가 50~60일로 아프리칸매리골드보다 월등히 짧다. 화형별 주요 품종은 다음과 같고 품종명으로 초장, 꽃의 색깔 및 형태를 짐작할 수 있다. | |||||||||||||||||||||||||||||||
(1) 닭벼슬 화형 | |||||||||||||||||||||||||||||||
보이시리즈(Boy Series)는 골든, 오렌지, 옐로 등의 품종이 있으며 초장은 20~25cm정도이고 꽃폭은 약 4cm이다. 보난자시리즈(Bonanza Series)는 ?K오렌지, 골드, 옐로 등의 품종이 있으며 초장이 25~30cm이고 꽃폭은 5cm내외이다. 히어로시리즈(Hero Series)는 후레임(Frame), 골드, 레드, 옐로 등의 품종이 있으며 초장이 25~30cm이고 꽃폭은 6cm내외이다. 리틀데빌시리즈(Little Devil Series)는 바이칼라(Bicolor), 화이어(Fire), 오렌지, 옐로 등의 품종이 있고 극조생으로 초장은 15~30cm이고 꽃폭은 5cm정도이다. | |||||||||||||||||||||||||||||||
(2) 아네모네 화형 | |||||||||||||||||||||||||||||||
오로라시리즈(Aurora Series)는 화이어, 골드, 라이트옐로 등의 품종이 있으며 초장이 25~30cm내외이다. 얼리스파이스시리즈(Early Spice Series)는 오렌지, 사프론(Saffron) 등의 품종이 있으며 초장이 25~30cm이고 꽃폭은 5cm내외이다. 사파리시리즈(Safari Series)는 보레로(Bolero), 골드, 오렌지, 옐로 등의 품종이 있고 초장이 25~30cm이다. | |||||||||||||||||||||||||||||||
(3) 홑꽃 화형 | |||||||||||||||||||||||||||||||
디스코시리즈(Disco Series)로 대표되는 홑꽃은 후레임, 골든옐로, 오렌지, 옐로 등의 품종이 있으며 초장은 25~30cm이고 꽃폭은 5cm정도이다. 루나레몬옐로는 초장 30cm정도이고 화색은 밝은 황색이다. 미스타마제스틱은 선황색 바탕에 적갈색 스트라이프형으로 화색이 특이한 품종이다. | |||||||||||||||||||||||||||||||
(4) 겹꽃 화형 | |||||||||||||||||||||||||||||||
게이트시리즈(Gate Series)가 있으며 화색에 따라 골든, 오렌지, 옐로 등의 품종이 있고 초장은 25~30cm이다. 도란고오렌지는 화경이 7cm정도이고 초형이 좋아 화단용으로 적합한 품종이며, 도란고옐로는 화경이 5.5cm정도이고 분지성이 우수하다. | |||||||||||||||||||||||||||||||
나. 아프리칸매리골드(Afirican Marigold) | |||||||||||||||||||||||||||||||
꽃폭이 6~10cm로 크고 일반적으로 초장은 50~90cm정도로 자라지만 이보다 작은 품종도 있다. 파종 후 개화소요일수가 70~80일 정도이며 주요 품종은 다음과 같다. | |||||||||||||||||||||||||||||||
(1) 고성종 (초장 45~55cm) | |||||||||||||||||||||||||||||||
거롤시리즈(Galore Series)는 골드, 오렌지, 옐로 등의 품종이 있으며 꽃폭 9cm정도이다. 레디시리즈(Lady Series)는 골드, 오렌지, 프라임로즈(Primerose) 등의 품종이 있으며 꽃폭은 9cm정도이다. 퍼훽션시리즈(Perfection Series)는 골드, 오렌지, 옐로 등의 품종이 있으며 꽃폭은 10~13cm이다. | |||||||||||||||||||||||||||||||
(2) 중성종 (초장 35~45cm) | |||||||||||||||||||||||||||||||
엑셀시리즈(Excel Series)는 골드, 옐로 등의 품종이 있으며 꽃폭은 10cm정도이다. 잉카시리즈(Inca Series)는 골드, 오렌지, 옐로(Yellow) 등의 품종이 있으며 꽃폭은 10~13cm이다. 마블시리즈(Marvel Series)는 골드, 오렌지, 옐로 등의 품종이 있으며 꽃폭은 9~10cm이다. 보이져시리즈(Voyager Series)는 오렌지, 옐로 등의 품종이 있으며 꽃폭은 8~9cm이다. | |||||||||||||||||||||||||||||||
(3) 왜성종 (초장 25~35cm) | |||||||||||||||||||||||||||||||
크러시형(Crush Types, 극왜성종)은 파파야크러시(노랑색), 파인애플크러시(노랑색), 펌프킨 크러시(오렌지색) 등의 품종이 있으며 꽃폭은 9~10cm정도이다. 디스커버리시리즈(Discovery Series)는 오렌지, 옐로 등의 품종이 있으며 꽃폭은 7cm내외이다. | |||||||||||||||||||||||||||||||
| |||||||||||||||||||||||||||||||
다. 3배체매리골드 | |||||||||||||||||||||||||||||||
아프리칸매리골드와 프렌치매리골드의 교배종으로 양자의 중간적 특성을 갖고 있다. 종자 발아율이 프렌치 매리골드보다 낮으나 한여름의 고온기에 개화가 잘된다. 너?렐置존꼍첩??Nugget Supreme Series)는 오렌지수프림, 레드수프림, 옐로수프림 등의 품종이 있으며 초장은 25cm정도이고 꽃폭은 5cm내외이다. 제니스시리즈(Zenith Series)는 골든옐로, 오렌지, 옐로 등의 품종이 있으며 초장은 40~45cm이고 꽃폭은 6~7.5cm정도이다. | |||||||||||||||||||||||||||||||
Ⅱ. 작형 및 재배방법 | |||||||||||||||||||||||||||||||
1. 재배작형 | |||||||||||||||||||||||||||||||
프랜치매리골드는 1월 하순부터 5월 하순 사이에 파종하여 4월 중순부터 7월 하순까지 출하한다. 아프리칸매리골드는 2월 중순부터 5월 중순까지 파종하여 5월 상순부터 8월 상순까지 출하하는 작형이다. 매리골드는 환경적응성이 우수하고 온도조건만 맞으면 일장에 관계없이 화아분화하기 때문에 재배작형은 재배지역의 여건에 따라 어느 정도 조절이 가능하다. | |||||||||||||||||||||||||||||||
그림 1. 매리골드의 재배작형 | |||||||||||||||||||||||||||||||
2. 재배방법 | |||||||||||||||||||||||||||||||
가. 파 종 | |||||||||||||||||||||||||||||||
발아 적온은 10~20℃정도이고 파종 후 4~6일이면 발아한다. 파종시기는 2월부터 6월까지 화단 정식시기를 감안하여 파종하는데 가온되는 온실에서 2월 전후에 파종하면 3~4월에 분에 이식하고 5월초에는 꽃이 피어 정식한다. 광발아 종자이므로 파종후 복토는 피트모스로 얕게 하는 것이 좋다. 종자는 10㎖봉지에 2,000립 정도 들어 있으며 1,500본 정도의 묘를 얻을 수 있다. | |||||||||||||||||||||||||||||||
나. 육 묘 | |||||||||||||||||||||||||||||||
본잎이 2~3매되면 9cm분에 1차 가식하고, 본잎이 6~7매되어 첫꽃이 개화될 즈음에 화단 또는 화분에 정식한다. 분에 심어 출하할 경우에는 밭흙과 부숙왕겨를 2 : 1의 비율로 섞은 용토를 사용하면 좋다. 플러그 육묘시는 프렌치매리골드는 4~5주, 아프리칸매리골드는 5~6주 후에 9cm분에 이식(출하)하거나 셀 크기가 큰 플러그판에 이식하여 개화시킨 후 바로 정식한다. | |||||||||||||||||||||||||||||||
그림 2. 플러그 상태에서의 매리골드 개화모습 그림 3. 매리골드의 육묘(출하직전) | |||||||||||||||||||||||||||||||
다. 화단정식 및 관리 | |||||||||||||||||||||||||||||||
매리골드는 꽃색이 황색과 적색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살비아, 아게라텀, 칸나 등과의 조화를 갖추어 정식하는 것이 좋다. 매리골드의 생육적온은 16℃내외로 10~25℃에서 왕성하게 자라고 개화가 잘되어 일반적으로 6월과 10월이 개화 최성기이고 8월에는 개화수가 월등히 적다. 30℃이상되는 장마철에는 입고병이 발생하고 식물체가 쇠퇴하거나 고사하는 주가 생기는데, 이러한 현상은 온도가 높고 통풍이 불량할수록 심하다. 따라서 고온기 장마전에 식물체의 지상부를 잘라주어 통풍이 잘되게 하거나 경사진 곳에 화단을 조성한다면 장마기 피해를 월등히 경감시킬 수 있다. 장마전에 지상부를 잘라주고 9월이 되어 기온이 낮아지면 곁가지 발생이 왕성하여 일시에 개화가되므로 화단조성에 좋다. 직사 광선을 받는 곳에서 개화수가 많고 광이 부족하면 개화수가 적어진다. 시비량은 정식포의 비옥도에 따라 다르지만 화단 10a당 질소 22kg, 인산 36kg, 칼리 37kg을 덧거름으로 시용하고 이 분량의 반정도를 밑거름으로 준다. 프렌치매리골드는 15~20cm, 아프리칸매리골드 왜성종은 20~25cm, 고성종은 30cm정도의 간격으로 심는다. 지나치게 밀식하면 입고병의 발생을 초래하고 너무 드물게 심으면 엉성한 느낌을 준다. 따라서 밀식하였을 경우에는 생육상태를 보아가며 솎아주는 것이 좋다. 우리나라에서는 한여름인 7~8월에는 고온으로 인하여 프렌치매리골드는 거의 개화하지 못하고 아프리칸매리골드는 개화수가 적어지나 3배체(프렌치매리골드와 아프리칸매리골드의 교배종)인 너?렘첩?楮?제니스시리즈 등은 이 시기에도 개화가 계속된다. | |||||||||||||||||||||||||||||||
Ⅲ. 병충해 | |||||||||||||||||||||||||||||||
Ⅲ-1. 병해 | |||||||||||||||||||||||||||||||
1. 모자이크 바이러스 | |||||||||||||||||||||||||||||||
식물체 전체에 발생하며 잎에 담황녹색의 모자이크 증상이 나타난다. 감염된 식물체는 생육이 불량하며 잎이 기형으로 되기도 한다. 진딧물에 의해 전염되므로 방제를 철저히 하고 이병된 포기는 뽑아버리는 것이 좋다. | |||||||||||||||||||||||||||||||
| |||||||||||||||||||||||||||||||
그림 4.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이병된 매리골드의 병징 | |||||||||||||||||||||||||||||||
2. 시들음병 | |||||||||||||||||||||||||||||||
뿌리나 줄기의 도관부가 비정상적으로 되어 포기 전체가 생기를 잃어 시들며 말라죽는다. 병에 걸린 줄기의 표면에는 지면에 접한 부위로부터 생장점 방향으로 흙갈색의 병반이 생기며 심하면 썩는다. 시들은 줄기를 세로로 잘라보면 도관부가 갈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피해를 입은 포기는 뿌리도 흙갈색으로 썩는다. | |||||||||||||||||||||||||||||||
| |||||||||||||||||||||||||||||||
그림 5. 매리골드의 시들음병 증상 | |||||||||||||||||||||||||||||||
이 병원균은 토양중에서 월동하여 이듬해 전염원이 된다. 20℃이상의 기온에서 발생하며 30℃전후에 증식이 최고로 왕성하기 때문에 한여름에 많이 발생한다. 토양소독을 철저히 하며 이병된 포기는 제거하는 것이 좋다. | |||||||||||||||||||||||||||||||
Ⅲ-2. 충해 | |||||||||||||||||||||||||||||||
1. 총채벌레 | |||||||||||||||||||||||||||||||
개화기에 많이 발생하며 꽃이나 잎의 즙액을 빨아먹는다. 고온 건조한 기후에서 많이 발생하며 피해를 입은 꽃은 퇴색되고 꽃잎이 흑색으로 변하며 개화기간이 짧아진다. | |||||||||||||||||||||||||||||||
Ⅳ. 출하 | |||||||||||||||||||||||||||||||
매리골드는 꽃이 2~3개 피었을 때 출하하는 것이 좋다. 식물체의 손상이 적으므로 특별한 주의를 요하지 않지만 하루전에 충분히 관수하여 토양이 약간 건조한 상태에서 출하한다. 묘의 생육이 저조하거나 기형인 것은 선별하여 버리고 생육상태가 고른 것끼리 모아 그룹을 지어 출하한다 |
매리골드 재배법
2007. 4. 28. 18: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