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생리생태 및 주요품종 | |||||||
1. 생리생태 | |||||||
데이지는 샤스타데이지, 하이데이지, 크라운데이지, 페리스데이지 및 잉글리쉬데이지 등이 있으며 모두 국화과에 속한다. 서부유럽 원산으로서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고 있는 민들레꽃을 연상하게 하는 꽃모양과 크기 그리고 키를 가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데이지를 호칭할 때는 잉글리쉬 데이지를 가리키며 여기에서도 잉글리쉬데이지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원산지에서는 숙근성 다년초로 취급되지만 종자번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여름이 고온인 곳에서는 추파 일년초로 취급하며 주로 봄 화단용으로 이용되지만 분화로도 쓰인다. 잎은 장타원의 주걱모양으로 2.5~5㎝정도이고 뿌리부위에서 나오며 솜털이 있다. 꽃은 지표면에서부터 신장한 두상화(頭狀花)로 화경장(花莖長)은 6~9㎝ 정도이며 2~8cm의 백색, 분홍색, 진분홍 및 적자색 꽃이 핀다. 데이지는 생육최적온도가 13~15℃로서 겨울에는 야간온도만 10℃전후로 유지시키면 낮에는 거의 무가온으로 육묘가 가능하다. 광선이 풍부하고 잘 건조되지 않는 양토가 생육하는데 적합하다. 자연기온이 25℃가 넘는 날이 많으면 잎이 황화되고 시든 꽃이 많아지므로 다른 화종으로 대체해야 한다. 약한 광선에 너무 오랫동안 두게 되면 웃자라고 꽃이 시들어 보이므로 주의한다. | |||||||
2. 주요품종 및 특성 | |||||||
데이지는 주로 화단용이지만 일부는 분화로도 이용된다. 데이지의 계통과 품종은 매리골드, 팬지, 페튜니아 등 다른 화단식물에 비해 다양성이 적다. 가정에서 소량으로 키울 때에는 초형이나 꽃색에 따라 기호에 맞게 선택하면 되지만 도로변이나 도심의 광장 등에 다량으로 심을 때에는 다화성이면서 꽃색별로 심을수 있는 폼포네트, 카페트 및 얼리시리즈가 적합하다. | |||||||
가. 대형종 | |||||||
슈퍼시베리우스시리즈(Super Siberius Series)는 꽃폭 7~8㎝로 진분홍(슈퍼시베리우스 Crimson) 및 백색품종(슈퍼시베리우스 White)이 있다. 슈퍼에드나(Super Edna)는 백색으로 개화가 빠르고 강건하다. | |||||||
나. 중형종 | |||||||
코로나시리즈(Corona Series)는 꽃폭 4㎝내외의 겹꽃으로 코로나스칼렛(진분홍), 코로나퓨어화이트(백색바탕에 중앙부 노란색) 등이 있다. 얼리시리즈(Early Series)는 극조생으로서 적색, 도색, 백색이 있으며 연내 출하할 경우에는 8월 중순에 파종한다. 마치플로라시리즈(Marchflora Series)는 일본의 사까다 종묘사에서 육성한 계통으로서 꽃폭은 4㎝정도이고 마치로즈(진한 도색), 마치화이트(백색)가 있다. 이외에 다화성으로 연내개화가 가능한 프리티시리즈, 꽃폭 4㎝정도의 다화성인 에드나시리즈, 꽃폭 3~5㎝로서 강건종인 멀티시리즈 등이 있다. | |||||||
그림 1. 얼리폼포네트레드(Early Pomponet Red) 품종 | |||||||
다. 소형종 | |||||||
폼포네트시리즈(Pomponet Series)는 꽃폭이 3㎝내외로 작고 진분홍, 분홍 및 순백색의 완전겹꽃이며 한 포기에서 7~8개의 화경이 나온다. 카페트시리즈(Carpet Series)는 꽃폭이 2~3㎝정도이고 다화성이며 1월부터 개화되는 조생이다. 품종으로는 진분홍색 꽃의 카페트크림손(Crimson), 진분홍색의 카페트로즈가 있다. | |||||||
라. 치로리안데이지 | |||||||
화경 5cm정도의 조생으로 기존 품종에 비해 설상화가 가늘고 긴 특징을 가지고 있다. 품종으로는 적색의 하이지, 분홍색의 구라라, 연적색의 로베라, 백색의 요제후 등이 있다. | |||||||
Ⅱ. 작형 및 재배방법 | |||||||
1. 재배작형 | |||||||
데이지는 품종에 따라 폼포네트나 에드나 등 중생계통은 10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3~4월에 출하하고 마루치나 얼리시리즈 등 조생계통은 11월에 파종한다. 출하시기를 앞당기려면 비배관리 및 야간온도를 2℃정도 높여줌으로써 어느 정도 조절이 가능하다. | |||||||
그림 2. 데이지의 재배작형 | |||||||
2. 재배방법 | |||||||
가. 파종 | |||||||
데이지 종자는 호광성으로 파종후 7일이면 발아하며 발아적온은 15~20℃이다. 품종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보통 9월말부터 10월 중순 사이에 파종상자 또는 플러그에 파종하며 파종상은 클로르피크린으로 소독하고 온도가 올라가지 않도록 차광한다. 파종용토는 밭흙과 피트모스를 1 : 1로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시판하는 조제상토를 이용한다. 발아가 완료된 후 본옆이 나오면 관수량을 점차적으로 줄여 강건하게 키운다. | |||||||
나. 육묘 및 관리 | |||||||
발아후 1개월정도 되면 9㎝비닐분에 가식하고 출하하기 전에 12㎝분에 옮겨 심는다. 데이지는 생육 최적온도가 13~15℃로서 겨울에는 야간온도만 10℃로 유지하면 낮에는 무가온으로 육묘할 수 있다. 관수는 오전에 하는 것이 좋으며 늦은 오후에 물을 주면 야간에 식물체가 얼어죽을 수도 있으므로 주의한다. | |||||||
그림 3. 데이지를 2차 이식후 육묘하여 개화한 모습 | |||||||
정식시 밑거름은 10a당 퇴비 4톤, 깻묵 40㎏, 복합비료 40㎏정도를 넣고 생육상태를 보아가며 덧거름으로 액비를 한두차례 한다. 토양은 광선이 풍부하고 배수가 잘되며 쉽게 건조하지 않는 점질양토가 좋으며 자연기온이 25℃가 넘는 날이 많은 6월부터는 잎이 황화되고 시든 꽃이 많아지므로 다른 화종으로 대체해야 한다. 광선이 약하면 식물이 웃자라고 꽃이 시들어 보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데이지는 키가 큰 식물이 아니므로 정식할때 다소 밀식(15×15㎝)해야 곁가지가 많이 나오면서 짜임새 있는 화단이 된다. | |||||||
Ⅲ. 병충해 | |||||||
Ⅲ-1. 병해 | |||||||
1. 묘 입고병 | |||||||
발아 직후부터 입고병에 걸리기 쉬우므로 고온·과습하지 않도록 한다. 파종용 토양은 반드시 소독후 사용하며 이병된 포기는 제거한다. | |||||||
2. 균핵병 | |||||||
지면과 접한 줄기 또는 잎에 발생한다. 처음에는 갈색 수침상의 병반이 생기고 병이 진전되면서 줄기가 썩는다. 따라서 병에 걸리면 포기 전체에 생기가 없고 점차 말라 죽는다. 균핵이 토양중에 남아 이듬해 전염원이 되므로 화단 등에 발생하면 집단적으로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다. 정식전에 토양소독을 행하며 생육중 발병 초기에는 병에걸린 포기를 제거한 후 약제를 살포한다. | |||||||
| |||||||
그림 4. 균핵병 이병주(좌)와 건전주(우) | |||||||
3. 갈색무늬병 | |||||||
잎에 발생하며 처음에는 암갈색 원형의 병반이 생기지만 점점 커져서 타원형이나 부정형으로 된다. 병세가 진전됨에 따라 회갈색으로 되고 오래되면 표면에 흑색의 작은 반점이 생긴다. 병원균은 피해잎 조직에 있다가 이듬해 전염원이 된다. 포자는 비나 바람에 의해 운반되어진다. 개화기를 지나 화단의 피해주를 소각하고 생육중에 발생하면 초기에 약제살포 한다. | |||||||
Ⅲ-2. 충해 | |||||||
1. 진딧물 | |||||||
진딧물은 스미치온 유제 또는 메소밀 액제 1,000배액으로 방제한다. | |||||||
Ⅳ. 출하 | |||||||
꽃이 한두개 피었을 때 출하하며 저온을 받으면 잎이 고사하기 쉬우므로 죽은 잎을 제거하고 상자에 담는다. 일본에서는 통상 중·소형종의 경우 적색, 백색 및 분홍색을 5 : 3 : 2 또는 6 : 1 : 3의 비율로, 대형종은 적색을 위주로 백색을 10%정도 혼합하여 포장 후 출하하지만 소비자의 기호도가 변하므로 여기에 맞추어 출하하는 것이 좋다. |
데이지 재재법
2007. 4. 28. 1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