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해 발생의 특성 및 생태

1. 재배 특성

착색단고추에 발생하는 병해는 일반 고추와 비슷하나, 일반고추 보다는 재배환경에 매우 민감한 작물이므로 바이러스를 비롯한 각종 병해에 감수성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토양재배 보다는 주로 재배환경이 좋은 양액을 이용한 락울 또는 펄라이트 양액재배를 많이 하고 있다. 또한 양액재배 목적중의 하나가 각종 병해의 피해로부터 회피해보자는 것이므로 재배환경만 잘 조절하면 병해충 피해 없이 양질의 착색단고추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양액재배는 토양재배와는 달리 재배시스템내에 병원균에 대한 견제 미생물이 없거나 적어서, 양액시스템에 병원균이 일단 침입하면 양액을 따라 급속히 확산하여 피해가 크다. 따라서 병원균 유입 차단에 주의를 하지 않으면 병이 크게 발생하여 큰 피해가 우려된다.

 

병원균의 유입 및 전염 경로는 종자전염, 이병식물체의 잔재물에 의한 전염, 오염된 토양으로부터의 유입, 하우스 주변의 오염된 물에 의한 감염 그리고 육묘중에 감염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재배시설 내외에 대한 위생환경을 보다 더 청결히 하지 않으면 안된다.

 

양액재배 시스템에서의 병해방제는 곧 예방이다. 농약에 의한 병해 방제를 생각할 수 있겠으나, 아직 양액에 투여할 농약은 고시된 것이 없다. 본문에서는 착색단고추에 발생하는 주요병해의 증상, 발생생태와 방제에 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2. 양액재배의 병해발생 특성

 

지상부의 공기전염성 병해 발생은 토양재배와 크게 다를 것이 없지만 뿌리를 통하여 감염되는 지하부의 토양전염성 병해는 병해 발생 특성이 크게 다르다. 토양 중에는 많은 수의 유용, 유해 미생물이 함께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토양속에 있는 병원균이 작물뿌리에 도달하여 침입하기까지는 미생물 상호간의 경합이 있고, 다양한 완충효과가 있어 발병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양액재배시스템 내에는 유용미생물이 적거나 없고, 완충능력이 없을 뿐만 아니라 병원균이 뿌리에 직접 접촉 할 기회가 많아 병원균의 침입이 용이하다. 따라서 일단 재배시스템에 병원균이 감염되면 양액을 따라 전 포장으로 만연되어 대 발생할 위험성이 높은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 양액재배에서는 병원균의 밀도가 낮아도 병이 잘 발생한다.

 

반면 양액재배는 포장위생 환경을 청결히 하고, 병원균의 유입경로를 사전에 차단하는 등 재배면에서 양액과 뿌리 근권환경 조절이 가능하므로 착색단고추에 알맞게 철저한 관리를 하면 병해충으로부터 전혀 피해 없이 안정한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양액재배에서 병 발생의 일반적인 특성>

① 양액재배에는 완충작용이 적다.

② 병원균의 번식이 용이하다.

③ 양액에는 안정한 미생물상이 적다.

④ 병원균이 뿌리에 직접 접촉할 기회가 크다.

⑤ 따라서 국부적으로 발병이 되면 전 포장으로 급속히 만연한다.

⑥ 토경에 비해 균밀도가 낮은 경우도 발병한다.

⑦ 도관 기생성진균, 세균 및 조균류에 의한 병해가 다 발생한다.

⑧ 농가의 포장위생 개념 미숙으로 병원균 유입경로가 많다.

⑨ 병원균이 양액이나 고형 매체에서 증식 발병한다.

⑩ 병원균에 대한 물리적, 생물적 견제 요인이 없어 일단 발생하면 피해가 크다.

 

 

3. 식물병 진단

 

병해를 방제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작물이 어떤 병세의 증상이 나타나면 먼저 그 원인이 비 전염성인 환경의 영향에 의해 나타난 증상인지, 아니면 전염성인 병원체에 의한 것인가를 판단해야 한다.

 

병원체에 의한 것이라면 세균, 곰팡이 그리고 바이러스에 의한 병해인지 진단을 해야한다. 진단방법은 작물의 증상, 생육상황 등을 관찰에 의한 육안진단이 있다. 이 방법은 오랜 경험이 필요하다.

육안진단으로 곤란한 것은 현미경에 의한 해부학적 진단으로 병원균의 균사나 포자 등을 관찰 확인하고 진단한다. 그리고 바이러스 등은 지표식물 또는 항체 등을 이용한 혈청학적 진단을 한다.

 

 

<병해별 진단시 착안사항>

 

① 곰팡이병해

병에 걸린 작물의 병반 부위를 잘 관찰해 보면 잿빛 혹은 흰색의 실모양의 균사나 두근 모양의 포자, 쥐똥모양의 균핵 등을 식물체 주위에 볼 수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곰팡이에 의한 병해는 대부분 물러썩는 경우는 드물고 잎이나 줄기에 형성된 병반의 무늬도 형태가 일정한 것이 많다.

시들음병의 병원균은 식물체의 유관속을 침해하므로 병에 걸린 줄기를 횡단하여 보면 줄기직경 중간쯤의 도관부가 갈색으로 변하여 있다. 그리고 역병은 지제 부위가 흑갈색으로 변하여 잘록해지면서 주 전체가 시들어죽는다.

 

② 세균병해

세균에 의한 병해는 곰팡이병과는 달리 대부분 물러 썩거나 병반이 수침상으로 형성되고, 병 무늬가 불규칙한 경우가 많다. 병든 부위에서는 고약한 냄새가 나며, 공기중의 습도가 높을 때에는 병든 부위에서 고름과 같은 세균점액이 누출된다.

 

③ 바이러스병해

곰팡이, 세균병과는 달리 바이러스입자의 외부누출은 볼 수 없으며 물러썩거나 수침상의 병 증세는 없다. 주로 모자이크, 기형, 위축, 괴저증상을 일으키며 때때로 잎이 말리거나 엽맥에 이상이 생기고, 잎에 반점을 형성하기도 한다. 식물의 생리장해증상과 비슷한 경우가 많이 있으므로 병의 증세만으로 진단하기는 어렵다.

 

 

4. 식물병의 발생생태

 

각종 병해는 병을 일으킬 수 있는 전염원이 건전식물에 부착하여 기공이나 상처를 통해 침입해서 병이 발생하고, 그 발병된 병반에서 또 다른 건전한 작물로 전염되어 병이 계속해서 전염된다.

이와 같이 병 발생이 만연되는 일련의 과정을 발생생태라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발생생태를 잘 구명해야 한다. 발생 생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충분히 조사하여 이해하고 해결해야 한다.

 

① 어떤 병해든 무엇을 전염원으로 해서 병이 발생하는가 ?

② 병원체가 전염원등 이병된 식물체로부터 어떻게 해서 건전 식물로 전반해 오는가 ?

③ 건전 식물에 도달한 병원체가 어떻게 해서 식물체에 침입하고 증식 하는가 ?

④ 각 병해의 발생에는 시설내의 기상, 토양, 재배조건 등 어떤 발생환경이 필요한가 ?

 

이와 같이 각 병해의 발생생태를 충분히 파악하고 난 후에, 전염원의 제거, 소독, 전염원의 전파저지, 발생하기 쉬운 환경개선, 발생예측 확립, 약제의 적기 방제 등 여러 가지 방제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5. 병의 발생

 

병이 발생하려면 병원성이 있는 병원균과, 병원균이 침입할 수 있는 작물이 있어야 하고, 병원균이 작물에 침입하고 증식하여 병을 일으킬 수 있는 환경이 충족되어야 한다. 이중에서 병 발생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환경이다.

 

공기의 습도와 토양습도, 최저온도와 최고온도, 작물의 생육상태 그리고 양액의 농도, 고형배지의 종류와 토양환경 등이다. 따라서 근권환경과 지상부환경 조건을 작물생육에 알맞게 조절해 주면 병해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진다.

 

 

6. 착색단고추에서 발생하고 있는 병해

 

우리나라 일반고추에 발생하는 병해는 21종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착색단고추는 연구기간이 짧아 현재까지 15종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31-1> (농과원, 원예원)

<표 31-1> 착색단고추에 발생하고 있는 병명 및 발생정도

병 명

병 원 균

발생정도

바이러스병

Tobacco mosaic virus(TMV)

바이러스병

Cucumber mosaic virus(CMV)

바이러스병

Potato virus Y(PVY)

바이러스병

Broad bean wilt virus(BBWV)

풋마름병

Ralstonia solanacearum

세균성점무늬병

Xanthomonas campestris

줄기무름병

Erwinia carotovora

흰가루병

Leveillula taurica

역병

Phytophthora capsici

잿빛곰팡이병

Botrytis cinerea

잘록병

Rhizoctonia solani

갈색점무늬병

Cercospora capsici

균핵병

Sclerotinia sclerotiorum

줄기마름병(미보고)

Fusariun sp.

검은점열매썩음병

Phomopsis phaseoli

탄저병

Collectotricum gloeosporioide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