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의 1년 생활사 】 | ||
□ |
뿌리 | |
|
○ |
새뿌리의 신장 시작 시기 : 5월 중ㆍ하순 |
|
○ |
생리적 전환기 : 5월 하순∼6월 상순경 |
|
○ |
뿌리활동 최성기 : 6월 하순∼7월 상순(제1차 신장기) |
|
○ |
7월 하순부터는 일시적으로 완만한 신장을 하다가 9월 하순경에 다시 제2차 신장을 하며 10월 하순경 휴면에 들어감 |
|
○ |
뿌리의 분포는 지하 60cm, 원줄기 2m이내의 범위에 주로 분포 |
|
|
뿌리의 수평분포는 원줄기 가까이(0∼50cm)는 가는 뿌리가 중간굵기 뿌리보다 뿌리량이 적으나 50cm 이상에서는 가는 뿌리가 더 많음 |
|
○ |
대목의 종류에 따른 뿌리의 분포 |
|
|
- 공대 : 땅속 깊이 신장, |
□ 잎 | ||
|
○ |
4월 발아와 동시에 인편이 벗겨지며 잎 전개 |
|
○ |
기부의 잎은 빠른 시기에 완성되며 크기가 작고 둥글며 얇고 노화가 빠름 |
|
○ |
선단부의 잎은 잎이 크고 길며 생장기간이 길고 당년에 새로 생성된 영양 |
|
○ |
잎의 두께는 품종에 따라 다르나 일조가 충분한 곳의 잎은 두껍고 그늘진 곳에서는 엷고 큼 |
□ 가지 | ||
|
○ |
새가지는 4월 상순경 발아하여 4월 중ㆍ하순경 잎이 전개됨과 동시에 급신장 하여 5월 하순부터 6월 상순 개화기에 최성기를 이룸 |
|
○ |
6월 하순경에는 신장을 정지하고 굳어지기 시작하는데 나무의 생육상태에 따라 7월 상순 2차신장을 하여 여름가지와 8월 하순 가을가지가 되기도 함 |
|
○ |
여름가지와 가을가지는 양분을 소비하고 병해충을 유인하는 등 이롭지 않음 |
□ 꽃 | ||
|
○ |
개화 : 5월 하순∼6월 상순 |
|
○ |
수꽃엔 암술과 수술이 있으나 암술은 퇴화되어 흔적만 있고 수술이 발달해 꽃가루를 갖음(암꽃은 수꽃과 반대) |
|
○ |
수꽃은 약하고 짧은 가지에 많이 맺히며 암꽃보다 빨리 개화하고 한 개의 꽃자루에 3∼5개, 많은 것은 7∼8개의 수꽃이 핌 |
|
○ |
중앙부에 위치한 화뢰로부터 꽃이 피기 시작하여 기부와 선단에 위치한 화뢰가 뒤이어 핌 |
|
○ |
나무 전체로는 일조가 좋고 온도가 높은 수관 외측으로부터 피기 시작하여 수관내부는 늦음 |
|
○ |
개화는 개화전 10∼15일간의 기온에 강한 영향을 받아 이 기간이 따뜻하면 촉진됨(지나친 고온은 수정능력을 저하 시키고 수정기간을 단축시킴) |
□ 과실 | ||
|
○ |
과실은 씨방이 비대한 것으로 씨가 없는 과실의 경우 낙과가 심하고 과실의 배꼽부위(과정부)가 오목하게 들어가며 과실의 크기가 작음 |
|
○ |
감꼭지의 역할 |
|
|
- 꽃과 어린과실을 보호하고 열매살(과육)에 밀착하여 과실의 호흡과 증산 작용을 대행하며 과실에 영양분을 공급 |
|
○ |
과실의 비대(이중 S자 곡선 : 3기) |
|
○ |
제1기 : 개화 후 50일 정도(5월 하순∼7월 상ㆍ중순경)로 비대속도가 극히 빠름. 10일간에 2∼3배 크기로 비대 |
|
○ |
제2기 : 8월∼9월 하순경으로 여름철의 고온과 건조, 뿌리생장의 멈춤 등의 영향으로 완만하게 비대. 이 기간은 만생종일 수록 길고 조생종일 수록 짧음 |
|
○ |
제3기 : 10월 상ㆍ중순경으로 착색과 아울러 성숙기까지 양적으로 가장 많이 비대하는 시기 |
|
○ |
과실의 비대량은 개화후 21일을 경계로 성숙기까지 약 60배 정도 비대 |
|
○ |
과실의 크기는 세포수×세포크기로 결정되며, 특히 세포의 크기보다는 세포수가 많아야 대과를 생산할 수 있음 |
|
|
- 세포수는 세포분열에 의해 이루어지며 세포분열은 꽃눈분화에서 시작하여 개화후 1개월까지 계속되지만 개화ㆍ수정 직후의 유과기까지의 세포수로 결정됨. 전년도 저장양분이 세포수를 결정함 |
|
○ |
기온과 단감의 익음은 10월 중 기온이 낮은 경우 떫은 맛이 덜 빠지며 가을철 기온이 너무 높으면 품질이 저하됨 |
□ 휴면 | ||
|
○ |
새가지의 신장이 끝나는 7월 이후가 되면 생리적으로 자발휴면에 들어감 |
|
○ |
10월 하순경이 휴면 중기가 되며 12월 하순경이면 자발휴면이 끝나고 그 이후는 외부조건에 의한 타발휴면에 들어감 |
|
○ |
휴면은 나무 전체가 일시에 시작되지 않고 가지 개개의 내적조건, 눈의 형성시기와 위치 등에 따라 다름 |
|
○ |
자발휴면이 끝나면 저온에 약하여 따뜻한 겨울과 늦추위(2월 중의 저온)가 있는 해에 동해를 쉽게 받음 |
|
○ |
부위별 자발휴면 완료 순서 : 꽃눈. 끝눈, 짧은가지〉잎눈, 곁눈, 긴가지 |
|
○ |
휴면에 필요한 저온요구도 |
|
○ |
7∼10℃에서 900∼1,00시간. |
|
○ |
1∼0℃에서 10∼20일 정도 |
'과일나무재배 > 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감의 토양관리와 거름주기 .. (0) | 2007.11.21 |
---|---|
단감의 전지전정 .. (0) | 2007.11.21 |
단감재배의 문제점과 전망 ... (0) | 2007.11.21 |
단감 품질향상 기술 (0) | 2007.11.21 |
감재배-신초관리. (0) | 2007.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