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
토양관리 | |||||||||||||||||||||||||||||||||
□ |
토양생산력 요인 | |||||||||||||||||||||||||||||||||
|
○ |
감나무의 토양적응성 | ||||||||||||||||||||||||||||||||
| ||||||||||||||||||||||||||||||||||
|
○ |
물리적 요인 | ||||||||||||||||||||||||||||||||
|
|
- 보수력이 높고 점질이 많은 양토로 배수가 잘되고 지하수위가 낮은 토양에서 잘 자람 | ||||||||||||||||||||||||||||||||
|
○ |
화학적 요인 | ||||||||||||||||||||||||||||||||
|
|
- 토양의 ph가 강할수록 망간과다에 의한 녹반과가 발생되므로 ph6.0정도로 교정해 줘야 함 | ||||||||||||||||||||||||||||||||
□ 지력의 증진 | ||||||||||||||||||||||||||||||||||
|
○ |
심경과 유기물 시용 | ||||||||||||||||||||||||||||||||
|
○ |
효과 | ||||||||||||||||||||||||||||||||
|
|
- 토양을 부드럽게 하고 통기성과 투수성을 증가시켜 뿌리의 호흡과 생리 작용을 원활하게 함 | ||||||||||||||||||||||||||||||||
|
○ |
시기 : 휴면기(뿌리가 절단되지 않도록 유의) | ||||||||||||||||||||||||||||||||
|
○ |
유기물 시용 : 유기물은 토양미생물의 작용을 받아 부식을 형성하는데 부식이 토양이 구조를 입단화하여 통기성과 투수성이 좋은 토양으로 만들고 염기치환용량을 증대 시킴 | ||||||||||||||||||||||||||||||||
|
○ |
석회 시용 | ||||||||||||||||||||||||||||||||
|
|
- 대부분의 과수는 토양산도 6.0 부근에서 뿌리의 발육이 좋고 지상부의 생육도 양호함 | ||||||||||||||||||||||||||||||||
□ 토양개량의 목표와 대책 | ||||||||||||||||||||||||||||||||||
| ||||||||||||||||||||||||||||||||||
나. 표토관리 | ||||||||||||||||||||||||||||||||||
□ |
부초법 | |||||||||||||||||||||||||||||||||
|
○ |
장점 : 토양수분 증발억제, 표토유실 방지, 유기물 분해에 의한 토양중의 무기태질소와 치환성칼리 증가, 토양의 입단화, 지온조절, 잡초발생 억제 | ||||||||||||||||||||||||||||||||
|
○ |
단점 : 지온상승 지연(이른 봄), 과실착색 지연, 건조기 화재 위험, 늦서리 피해를 받기 쉬움, 뿌리기 표층에 발달, 착색기 이후의 부초는 과피 흑변과 발생을 조장 | ||||||||||||||||||||||||||||||||
□ 초생법 | ||||||||||||||||||||||||||||||||||
|
○ |
장점 : 유기물의 적당한 환원으로 지력유지, 토양침식이 억제되어 양분의 용탈이 억제됨, 당도증가, 착색양호, 저온의 조절효과 | ||||||||||||||||||||||||||||||||
|
○ |
단점 : 과수와 초생식물과의 양수분 경합(유목기), 병해충의 잠복장소 제공,저온기의 지온상승이 어려움 | ||||||||||||||||||||||||||||||||
다. 수분관리 | ||||||||||||||||||||||||||||||||||
□ |
배수 | |||||||||||||||||||||||||||||||||
|
○ |
습해 : 배수가 불량하면 토양공기가 적어져 산소가 부족해지고 F++, H2S와 같은 환원물질이 생성ㆍ집적되어 새뿌리를 침해하고 뿌리의 호흡작용이 억제되어 활력이 떨어짐 | ||||||||||||||||||||||||||||||||
□ 관수 | ||||||||||||||||||||||||||||||||||
|
○ |
건조해 : 잎의 동화기능 저하, 증산량이 감소하여 신초의 생장과 과실의 비대 발육이 지연 또는 정지됨. 잎이 위조되고 심하면 고사 | ||||||||||||||||||||||||||||||||
|
○ |
관수의 효과 | ||||||||||||||||||||||||||||||||
|
|
- 잎의 팽압을 유지하여 햇빛 받는 양을 증대시키고 잎의 온도를 조절하는 등 나무 몸체의 생리작용을 원활하게 함 | ||||||||||||||||||||||||||||||||
라. 거름주기 | ||||||||||||||||||||||||||||||||||
□ |
양분의 부위별 흡수량(부유 25년생 1주당) | |||||||||||||||||||||||||||||||||
|
○ |
질소 : 571g 중 잎(42.3%), 과실(20.9%) | ||||||||||||||||||||||||||||||||
|
○ |
인산 : 135g 중 잎(42.3%), 과실(31.1%) | ||||||||||||||||||||||||||||||||
|
○ |
칼리 : 522g 중 과실(37%), 잎(33.7%) | ||||||||||||||||||||||||||||||||
□ 양분의 시기별 흡수량 | ||||||||||||||||||||||||||||||||||
|
○ |
질소(N) | ||||||||||||||||||||||||||||||||
|
|
- 잎이나 가지 모두 7월까지 흡수량이 증가하다 8월 이후 감소 | ||||||||||||||||||||||||||||||||
|
○ |
인산(P) | ||||||||||||||||||||||||||||||||
|
|
- 8월 중순까지 흡수량이 증가하다가 감소 | ||||||||||||||||||||||||||||||||
|
○ |
칼리(K) | ||||||||||||||||||||||||||||||||
|
|
- 7월까지 흡수가 증가되었으나 7월 이후 착과지의 잎과 가지는 미착과지에 비해 현저히 감소 | ||||||||||||||||||||||||||||||||
|
○ |
과실 내 양분의 월별 흡수량 | ||||||||||||||||||||||||||||||||
|
|
- 6월 중순 아후 과실의 발육이 왕성해짐에 따라 비료분의 흡수가 증가하여 7월까지 유지되다가 9월부터는 다시 증가 | ||||||||||||||||||||||||||||||||
□ 단감의 이론적 시비량(10a) | ||||||||||||||||||||||||||||||||||
| ||||||||||||||||||||||||||||||||||
※ 천연공급량 : 질소는 흡수량의 1/3, 인산ㆍ칼리는 1/2 | ||||||||||||||||||||||||||||||||||
※ 필요량 : 흡수량-천연공급량 | ||||||||||||||||||||||||||||||||||
※ 시비량 : 필요량의 질소는 2배, 인산은 5배, 칼리는 2배 | ||||||||||||||||||||||||||||||||||
□ 단감에 대한 시비 성분량 (kg/10a) | ||||||||||||||||||||||||||||||||||
| ||||||||||||||||||||||||||||||||||
| ||||||||||||||||||||||||||||||||||
| ||||||||||||||||||||||||||||||||||
| ||||||||||||||||||||||||||||||||||
| ||||||||||||||||||||||||||||||||||
※ 퇴비 시비 : 유목(1,000kg/10a) 성목원(1,800kg/10a) | ||||||||||||||||||||||||||||||||||
□ 유기물 시용 | ||||||||||||||||||||||||||||||||||
|
○ |
현재 우분, 계분, 돈분 등 가축분이 주로 사용되고 있고 사용량도 적어 토양개량에 미흡한 실정임 | ||||||||||||||||||||||||||||||||
|
○ |
가축분뇨를 사용할 때는 그 가축분 중에 들어있는 연간 유효비료성분을 감하고 화학비료를 겸해서 시용 | ||||||||||||||||||||||||||||||||
|
○ |
심경 후 토양개량을 위한 유기물의 종류는 두엄, 짚, 양송이퇴비, 완숙퇴비 팽연왕겨 등과 같이 비료분이 적은 재료를 시용하는 것이 효과적임 | ||||||||||||||||||||||||||||||||
□ 석회와 붕소 시용 | ||||||||||||||||||||||||||||||||||
|
○ |
석회 | ||||||||||||||||||||||||||||||||
|
|
- 3∼4년마다 ph 6.0 정도의 조절량을 고루 시용 | ||||||||||||||||||||||||||||||||
|
○ |
붕소 : 석회 시용시마다 10∼20kg/3,000평 정도의 붕사 시용 | ||||||||||||||||||||||||||||||||
□ 거름주는 시기 | ||||||||||||||||||||||||||||||||||
|
○ |
밑거름 | ||||||||||||||||||||||||||||||||
|
|
- 시기 : 낙엽후부터 다음해 3월까지의 휴면기 | ||||||||||||||||||||||||||||||||
|
○ |
웃거름(덧거름) | ||||||||||||||||||||||||||||||||
|
|
- 질소와 칼리성분은 7월 중에 흡수가 최고로 많이 되므로 토양 중 침투 기간을 고려하여 6월 중순에 사용하지만 6월 중순과 7월 상순 2회로 나누어 분시하는 것이 유리 | ||||||||||||||||||||||||||||||||
|
○ |
가을거름(예비) | ||||||||||||||||||||||||||||||||
|
|
- 꽃눈의 분화와 과실비대에 많은 영양분이 소모되어 쇠약한 수세를 회복하고 충분한 양분을 저장시켜 다음해 개화기까지의 영양공급을 원활히 하기 위해 주는 거름 | ||||||||||||||||||||||||||||||||
□ 거름주는 방법 | ||||||||||||||||||||||||||||||||||
|
○ |
윤구시비법, 조구시비법, 방사구시비법, 전원시비법 등이 이용되는데 수령,토양조건, 경사도 등에 따라 이들 중 하나, 또는 둘을 병용하는 것이 좋음 | ||||||||||||||||||||||||||||||||
|
○ |
윤구, 조구시비법은 밑거름을 시용할 때 시용하는 방법으로 재식 후 2∼4년까지는 경제적임 | ||||||||||||||||||||||||||||||||
|
○ |
배수가 불량한 과수원에서는 윤구시비나 방사구시비를 하게 되면 물이 고이게 되어 나무의 생육을 오히려 해롭게 하므로 배수시설울 설치하거나 배수가 되는 방향으로 도랑을 파야 함 | ||||||||||||||||||||||||||||||||
|
○ |
경사지에서는 윤구시비나 방사구시비를 하고 평지에서는 전면시비와 아울러 때로는 심층시비를 함 | ||||||||||||||||||||||||||||||||
|
○ |
인산질비료와 석회는 심층시비를 해 줌 | ||||||||||||||||||||||||||||||||
|
○ |
거름주는 방법(그림) | ||||||||||||||||||||||||||||||||
□ 엽면시비 | ||||||||||||||||||||||||||||||||||
|
○ |
요소 엽면시비 | ||||||||||||||||||||||||||||||||
|
|
- 0.2∼0.5%액(40∼100g/물20ℓ)을 전착제와 함께 살포 | ||||||||||||||||||||||||||||||||
※ 요소 2∼3% 농도 : 거의 낙엽. 요소 1% 농도 : 쉽게 낙엽 | ||||||||||||||||||||||||||||||||||
|
○ |
인산, 칼리의 엽면시비 | ||||||||||||||||||||||||||||||||
|
|
- 인산 : 제1인산칼슘 또는 제1인산칼리 0.5%액 | ||||||||||||||||||||||||||||||||
□ 비료성분의 작용과 결핍 및 과잉증상 | ||||||||||||||||||||||||||||||||||
|
'과일나무재배 > 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감재배기술(1)-재배환경 (0) | 2007.11.25 |
---|---|
단감나무 겨울 전정 잘해야 품질 높여! (0) | 2007.11.22 |
단감의 전지전정 .. (0) | 2007.11.21 |
감의 1년 생활사. (0) | 2007.11.21 |
단감재배의 문제점과 전망 ... (0) | 2007.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