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
전정의 기초 이론 | |
□ |
C/N율(탄수화물과 질소비율) | |
|
○ |
C/N율이란? 잎에서 만들어진 탄수화물(C)과 뿌리에서 흡수된 질소성분(N)의 비율에 의해 가지생장, 꽃눈형성 및 결실에 영향을 준다는 학설 |
|
○ |
탄수화물과 일조가 부족한 경우 |
|
|
- 뿌리에서 흡수된 질소성분에 비해 탄수화물이 극히 적은 경우로 나무상태는 극단적 인 일조부족, 병에 의한 조기낙엽 등에 의해 잎이 제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나무의 상태로 가지 생장 빈약하고 꽃눈형성이 불량함 |
|
○ |
탄수화물 부족, 질소가 충분한 경우 |
|
|
- 가지의 생장은 왕성하나 꽃눈형성은 안되는 나무로서 결실 직전의 유목, 또는 강전정, 질소비료를 과다 시용한 상태로 이러한 나무는 엽면적을 많게하고 질소비료를 줄이고 아상처리, 환상박피, 유인 등을 실시하여 꽃눈형성을 촉진시켜야 함 |
|
○ |
탄수화물, 질소가 충분한 나무 |
|
|
- 가지생육, 꽃눈형성 및 결실에 가장 적합한 상태의 나무로서 성과기 나무 |
|
○ |
탄수화물 과다, 질소부족인 경우 |
|
|
- 노목기의 나무 상태로서 수관이 커져 잎수는 많은 반면 뿌리는 노쇠해져 탄수화물 함량에 비해 질소함량은 상대적으로 적어 꽃눈형성과 가지 생육이 나빠짐 |
□ 리콤의 법칙 | ||
|
○ |
나무 가지가 수직으로 설수록 가지의 생장은 왕성해지는 반면 꽃눈형성은 불량해지고 수평으로 누울수록 가지세력은 약해지나 꽃눈형성은 좋아지는 현상의 법칙 |
|
○ |
가지각도는 좁을수록 세력이 강하고 가지는 굵을수록, 마디 사이의 거리는 길수록 수세가 강함 |
□ T/R율 | ||
|
○ |
T/R율이란? 나무의 지상부(줄기와 가지)와 지하부(뿌리) 생장의 중량 비율 |
|
○ |
대부분 식물의 티알율은 1이며 과수는 티알율이 1보다 다소 낮은 것이 좋음 |
|
○ |
토양내 수분이 많거나 질소과다 시용, 일조부족과 석회시용 부족 등의 경우는 티알율이 높음 |
□ 정부우세성 | ||
|
○ |
한 개의 가지 중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잎눈이 세력이 가장 강한 새가지로 자라고 아래로 내려올수록 세력이 약해지거나 발아가 되지 않고 숨은 눈이 되는 현상 |
나. 전정과 나무의 생육반응 | ||
□ |
전정시기에 따른 생장반응 | |
|
○ |
겨울전정 |
|
|
- 휴면기에 가지를 자르게 되면 남의 눈에서 신초는 강한 생장을 함 강전정을 할수록 신초의 생육이 강함 |
○ |
여름전정 | |
|
|
- 겨울전정의 보조수단으로 생육기중에 하며 수형의 구성에 부적당한 위치에서 발생하는 가지나 웃자람 가지를 제거하는 정도가 좋음 |
□ 전정 정도와 방법에 따른 생육반응 | ||
|
○ |
강전정과 약전정 |
|
○ |
솎음전정과 절단전정 |
|
|
- 솎음전정 : 자극이 적고 신초생장을 강하게 하지 않아 성목기 전정의 주가됨 |
□ 전정이 나무의 생리에 미치는 영향 | ||
|
○ |
가지의 생장 |
|
○ |
전정에 의해서 남겨진 가지의 눈수는 감소하지만 남은 눈에서 신장하는 가지의 생장량은 증가함 |
|
○ |
전정량이 많아질수록 눈 수와 엽면적 감소로 나무 전체의 생장량은 감소 |
|
○ |
전정과 꽃눈 |
|
○ |
유목의 강전정 경우 : 꽃눈형성 불량, 결과연령을 지연시킴 |
|
○ |
무전정 또는 유사한 나무의 경우 : 꽃눈 형성은 많아지나 개화시 꽃이 영양실조로 결실이 불량하고 과실비대도 나빠짐 |
|
○ |
여름전정에 의해 만들어진 꽃눈은 분화기가 늦어져 충실하지 못하여 개화기도 늦어짐 |
|
○ |
과실의 비대와 품질 |
|
○ |
과실의 크기는 증대하지만 총 수확량은 감소, 반대로 소목이나 수세가 약한 나무는 수량증가 |
|
○ |
품질은 나무 내부의 햇빛쪼임이 좋아져 착색이 좋아지고 당도도 높아짐 |
|
○ |
여름전정에 의해 통풍, 채광이 좋아지고 병해충의 발생감소. 약제살포시 방제효과가 높아짐 |
|
○ |
내한성에 마치는 영향 |
|
○ |
강전정을 하면 가지의 생장정지가 늦어져 동해를 받을 우려가 있고 휴면기중 추위가 심하여 절단면에 인접한 수피나 눈이 동해를 받기 쉬움 |
다. 감나무의 특성 | ||
□ |
생육상 특성 | |
|
○ |
수령이 길고 정부 우세성이 강함 . |
|
○ |
숨은눈 (잠아)은 발아능력이 강하고 쉽게 싹이 틈 |
|
○ |
재질이 단단하고 탄력이 없기 때문에 부러지기 쉬움. |
|
○ |
가지가 굽은 곳에서는 웃자람 가지의 발생이 많음. |
|
○ |
격년결과성이 커 적뢰의 효과가 큼 |
□ 결실의 특성 | ||
|
○ |
해거리하기 쉬움 |
|
○ |
생리적 낙과가 많음 |
□ 결과습성 | ||
|
○ |
감은 정액성 꽃눈으로서 1년생(결과모지) 가지의 끝눈과 그 아래의 2∼3번째 눈은 꽃눈으로 되거나 잠아로 됨 |
|
○ |
꽃눈은 잎과 가지, 꽃을 갖는 혼합아이므로 선단을 절단하면 결과지를 없애버리는 결과가 되므로 전정은 절단전정보다는 솎음전정 위주로 실시 |
|
○ |
품종별 꽃눈형성 |
|
○ |
수꽃이 맺는 품종에서는 약한가지에 수꽃이 맺히므로 자르지 말 것 |
라. 감나무의 수형 | ||
□ |
수형의 구성 | |
|
○ |
주간형 : 자연상태의 나무꼴로 원줄기가 곧은 수형 |
|
○ |
변칙주간형 |
|
|
- 개심자연형과 큰 차이는 없으나 주지수는 4∼5개를 형성시킴 |
|
○ |
개심자연형 : 나무의 직립성을 살려 가면서 원줄기를 짧게 하고 주지수를 적게 배치하는 반변 컵모양의 낮은 배상형을 보완하여 결과부위를 옆으로 크게 확대하는 수형 |
|
|
- 햇빛과 통풍이 양호하고 키가 낮기 때문에 수확과 전정, 병해충방제 등 작업관리가 편리하며 바람이 많은 지역에 유리함 |
□ 결과모지의 배치와 솎음전정 | ||
|
○ |
결과모지는 결과지를 형성하는 가지로서 결실량은 결과모지의 좋고 나쁨과 수세에 의해서 결정됨 |
|
○ |
전년에 결실한 결과지와 쇠약한 가지는 끝눈 만이 결과지를 형성할 때가 많고 거의 길게 늘어진 발육지로 되어 버림. 이런 가지는 결실해도 품질 좋은 과실을 생산할 수 없고 결과부위가 상승하게 되므로 기부 가까이에서 절단하여 예비지로 형성시킴 |
|
○ |
결과모지의 길이에 따른 분류 |
|
|
- 단과지 : 10cm미만의 결과모지. 거의 결과모지가 될 수 없고 결실해도 품질불량 |
□ 해거리 하는 나무의 전정 | ||
|
○ |
해거리를 심하게 하는 해의 전정은 누가 전정을 해도 결실하지 않으므로 나무 꼴을 바꾸는(주지수가 많은 나무는 주지를 솎고 부주지가 많을때는 부주지를 솎음) 정지를 할 뿐 자름전정은 절대로 하지 말고 솎음전정 위주 실시 |
|
○ |
해거리를 한 다음해의 전정은 꽃눈이 많이 생기므로 수형개선을 위한 큰 가지를 솎고 가지선단을 30∼40% 절단전정을 하여 예비지를 만들어 두면 해거리 정도가 약해짐 |
|
○ |
전정만으로 해거리의 방지가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열매를 솎아 결실수를 제한해야 함 |
□ 결실이 불량한 나무의 전정 | ||
|
○ |
꽃눈분화와 형성이 불량한 나무의 경우 |
|
|
- 원인 : 전년도의 과다결실, 햇빛쪼임 불량, 강전정과 과다시비에 의한 영양생장 |
|
○ |
낙과가 심한 나무의 경우 |
|
|
- 전정의 효과 보다는 수분이 잘 이루어지도록 수분수를 심고 나무 세력이 왕성할 때는 유인 및 환상박피를 실시하여 수세 안정화 |
'과일나무재배 > 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감나무 겨울 전정 잘해야 품질 높여! (0) | 2007.11.22 |
---|---|
단감의 토양관리와 거름주기 .. (0) | 2007.11.21 |
감의 1년 생활사. (0) | 2007.11.21 |
단감재배의 문제점과 전망 ... (0) | 2007.11.21 |
단감 품질향상 기술 (0) | 2007.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