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촌애(김영수)
2007. 11. 25. 12:13
2007. 11. 25. 12:13
|
잎 마 름 병 pestalotia diospyri Sydow, leaf spot
1. 피해 증상 주로 잎에 발생하여 가지와 과일에도 발생한다. 잎에서는 처음에 4 ∼ 5mm 정도의 암갈색 반점이 잎 뒷면에 나타난다. 진전되면 흑갈색의 부정형 병반으로 확대되며 표면에 흑갈색의 포자층이 형성된다. 모무늬낙역병과 비슷하나 발생이 빠르고 잎의 가장자리부터 발병한다. 6월경부터 잎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7 ∼ 9월에 발생이 많으며 피해는 크지 않으나 심한 경우 조기 낙엽을 일으킨다.
<그림> 병징
2. 병원균의 생태 병든 잎, 가지에서 분생포자나 균사의 형태로 월동하여 이듬해 1차 전염원이 된다. 5 ∼ 6월경 습기가 많으면 포자가 비산하여 상처부위를 통하여 침입 후, 발병한다. 포자발아는 25℃에서 6시간 이내에 완료된다.
병원균의 발육 최척온도는 28℃ 전후이며, 6 ∼ 7월경 비가 많이 오는 해에 발병이 심하다. 비배관리가 불량하고 건조가 심한 과원에 발병이 많으며 모무늬낙엽병보다 한달 정도 빨리 발생한다.
![](http://knfclub.knrda.go.kr/club/club_beta/02/image/110-4.jpg) <그림> 분생포자
3. 방제법 발병이 심한 과원에서는 낙엽을 태우거나 땅속 깊이 묻는다. 나무세력이 약해지지 않도록 하고 6 ∼ 9월까지 탄저병, 낙엽병, 흰가루병 적용약제로 방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