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흰가루병 Phyllactinia kakicola Sawada, powdery mildew
1. 피해 증상 5월부터 수확기까지잎에 발생하며, 심하게 발생하면 낙엽을 유발하고 과실비대를 억제한다. 어린 잎에서는 뒷면에 하얀 균사가 나타나고 잎맥이 흑갈색으로 변하며, 잎 앞면에는 흑색의 작은 반점이 형성된다. 발병이 진전되면 서로 겹쳐 불규칙한 병반을 형성하며, 심하면 잎 전체가 말라 일찍 낙엽이 된다.
가을에는 잎 뒷면 전체가 흰 균사층으로 덮이고 그 위에 황색의 공모양, 편구형의 자낭각이 형성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등갈색, 흑갈색으로 변하며 입의 기능이 떨어지고 과실비대가 억제된다.
|
|
<그림> 잎 앞면의 병징 |
<그림> 잎 뒷면의 병징 |
2. 병원균의 생태 늦가을 잎에서 형성된 자낭각이 주로 나무껍질이나 낙엽에서 월동한다. 4 ∼ 5월경부터 자낭각은 1차 전염원인 자낭포자를 분출하고, 포자는 바람에 의해 전파되어 잎의 기공을 통하여 침입 발병한다. 병반에서는 많은 분생분포자가 형성되너 2차 전염이 일어난다. 병원균은 15 ∼ 25℃에서 잘 발육하며, 자낭각 형성은 15℃ 전후에서 잘 형성된다.
5 ∼ 6월경 비가 많이 오고 여름철 기온이 서늘한 해에 발병이 많으며, 질소질 비료 과용으로 세력이 강한 나무에 피해가 크다. 퉁풍과 채광이 나쁜 과원에서는 후기 발병이 특히 심하다.
|
|
<그림> 자낭각, 자낭 및 자낭포자 |
<그림> 분생포자 |
3. 방제법 전염원인 병든 낙엽과 박피한 거친 나무껍질은 모아서 태우거나 땅속에 묻는다. 통풍과 채광이 좋도록 정지·전정하고, 질소비료 과용에 의한 과번무가 되지 않도록 한다. 병이 처음 발생하기 전인 5월상·중순부터 약액이 잎 뒷면까지 충분히 약제 방제를 한다.
적용약제로 훼나리·만코지수화제, 훼나리수화제, 헥사코나졸액상수화제, 가벤다·누아리몰애상수화제, 포리옥신디수화제, 리프졸수화제, 펜부코나졸수화제, 펜코나졸수화제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