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촌애(김영수)
2007. 11. 25. 12:12
2007. 11. 25. 12:12
|
모무늬 낙엽병 Cercospora kakivora Hara, spotted leaf cast, angulat leat spot
1. 피해 증상 성숙한 잎에 주로 발병하며 잎은 처음에 담갈색의 부정형 병반이 형성되고, 진전되면 잎맥을 따라 3 ∼ 7 mm정도의 다격형 갈색점무늬가 형성된다. 오래된 병반은 회갈색으로 변하고 병반 중앙에는 검은 색의 작은 돌기가 형성된다. 7월부터 발생할 수 있으며 한 잎에 생기는 병반수가 많아 쉽게 낙엽이 된다.
![](http://knfclub.knrda.go.kr/club/club_beta/02/image/109-2.jpg) <그림> 병징
2. 병원균의 생태 병원균은 대개 병든 낙엽, 감꼭지에서 균사체로 월동하거나 또는 근처의 잡초에 부착한 분생포자의 형태로 월동한다. 6월상순경부터 분생포자가 비바람에 의해 비산하여 기공으로 침입한다. 약 30일 전후의 잠복기간을 지난 후 발병한다
![](http://knfclub.knrda.go.kr/club/club_beta/02/image/109-3.jpg) ![](http://knfclub.knrda.go.kr/club/club_beta/02/image/109-4.jpg) <그림> 분생포자
3. 방제법 나무세력이 약해지지 않도록 비재관리를 양호하게 한다. 병든 낙엽은 모아 태우고 가지에 붙은 감꼭지도 제거하며, 포자가 많이 비산하는 6 ∼ 7월경 중점적으로 방제한다. 감나무 모무늬낙엽병에 고시된 약제는 엇으나 만코지수화제, 지오판수화제, 베노밀수화제 등의 약제를 살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