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이와 호박에서 피해가 큰 병해로 주로 시설재배시의 저온다습한 환경에서 많이 발생하며 특히 성숙한 과실에 발생하므로 그 피해가 크다. | ||||||
1. 병징 | ||||||
그림 1. 어린잎은 오그라들고 잎은 커지면서 불규칙한 구멍이 생기고 찢어진다. | ||||||
그림 2. 과실에는 손톱모양의 흠집이 생기고 병환부상에 고름모양의 점액이 생긴다. | ||||||
2.병원균 : Clodosporium cucumerinum | ||||||
저온성 곰팡이의 일종으로 병원균의 발육적온 21℃, 최고 35℃, 최저온도 2℃이다. 발병은 17℃ 내외의 저온에서 다습한 환경에서 가장 적합하다. | ||||||
3. 전염방법 | ||||||
종자, 병환부 또는 하우스 자재에 붙어있던 포자가 바람에 날려 공기전염한다. | ||||||
4. 발병하기 좋은 환경 | ||||||
○ 저온다습 : 17℃ 내외의 다습한 시설재배시. ○ 밀식하여 시설내 통풍이 나쁠 때. | ||||||
5. 방제의 요점 | ||||||
○ 건전종자 사용, 베노람, 지오람 수화제로 종자소독후 파종 ○ 병든 식물체의 조기제거, 수확후 포장위생에 유의 ○ 환기, 통풍, 보온에 유의 ○ 밀식회피 ○ 약제살포 : 다코닐, 베노밀, 포리옥신, 트리후민, 톱신엠, 로브랄 중 고시된 농약사용 | ||||||
참 고 문 헌 | ||||||
이영희. 1994. 박과류(오이, 참외, 수박)의 검은별무늬병 진단 및 방제법. 최신원예 35(8) : 24-26. 김충회. 1989. 오이의 병해와 그방제. 최신원예 30(8) : 26-31. 김충회. 1995. 오이, 수박 병해충원색화보. 농약정보 16(2) : 36-47. |
'텃밭채소가꾸기 > 오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클오이 시비와 유인방법 (0) | 2008.01.25 |
---|---|
오이재배기술 (0) | 2008.01.12 |
오이재배-덩굴쪼김병. (0) | 2007.12.20 |
오이재배-변온관리요령. (0) | 2007.12.20 |
오이재배-토양수분관리. (0) | 2007.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