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두의 10a당 재식 주수는 품종, 수형, 토양의 비옥도, 지형 및 최종 수고 등에 의해 결정된다.
 -  지금까지는 28주/10a(4.5×4.0cm) ~ 36주(4×3.5cm)를 5 점식으로 재식후 개심자연형으로 정지후 밀식장해가
 -  발상하기 전에 간벌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는 14주/10a(9x8m)~18주(8x7m)되게 하여 재배하여 왔다.
 -  그러나 최근에는 초기 다수확을 목적으로 Y자형 수형구성에 의한 밀식재배가 거론되고 있다.
 -  Y자 수형은 초기 가수뿐만 아니라 시설에 의한 가온 및 무가온 촉성 재배에 유리하고 비가림 재배에 의한 품
 -  질 향상도 기할 수 있다.
 -  재식거리는 6×1.5m(111주/10a, 내부각도 85~90도) 5×1.5m(133주/10a, 내부각도 75~80도)가 적당하나 부주지
 -  부착은 조기 밀식장해를 일으킬 우려가 있으므로 가급적 피한다.
 -  또한 재배 주요 품종별 신초 발생 특성이 현저히 다르므로 품종별 생장습성을 숙지한 후 정지 및 전정에 임하
 -  여야 한다.
 
결과습성
 -  자두나무의 화아는 전년생 가지의 액아에 복아로 착생되는데, 화아만이 달리는 경우도 있다.
 -  그러나 정아는 항상 엽아이다. 1개의 화아에 3개의 꽃이 피는데 이것이 동양계 자두의 특징이다.
 -  결과지에는 장과지, 중과지, 단과지 및 화속상 단과지가 있다. 장과지, 중과지, 단과지에는 복아의 착생이 많
 -  은데, 다음해에 단과지 또는 화속상 단과지의 각 엽액에 단아로 되어 있는 화아가 밀생하고 기부와 정아에는
 -  엽아가 생겨 해마다 조금씩 자라 복잡한 모양이 된다.
 -  장과지에 결실한 과실은 낙과가 쉬우나, 15cm 이하의 단과지나 화속상 단과지에 결실한 것은 잘 자란다.
 -  그러나 이런 결과지는 4~5년 지나면 노쇠하게 되므로 항상 갱신해서 새로운 단과지의 발생을 도모하도록 해
 -  야 한다.
 
주요 품종별 생장 습성
   산타로사 타입
 -  신초발생수가 산타로사 타입 > 대석조생 타입 > 솔담타입 순으로 많다. 가지의 어느 부위에서나 신초 발생이
 -  용이하고 강하여 직립하기 쉽다. 따라서 솎음 전정과 유인을 주체로 정지 및 전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대석조생 타입
 -  대석조생 타입은 절단전정시 상단부 2~3눈은 강하게 자라지만 그외 신초는 중.단과지가 된다.
 
   솔담 및 포모사 타입
 -  신초 발생량이 극히 적고 절단시에도 상단부 1~2눈만 강하게 자라면서 기타 가지는 화속상 단과지로 변하여
 -  조기 결실한다. 따라서 개장하기 쉽고 수세 저하가 수반되므로 절단 전정을 강하게 가미 하여야 한다.
 
 -  수형구성은 생장 습성에 따라 다르지만 중간 타입인 대석조생을 예를 들어 설명하니 기타 타입은 가감하여 실
 -  시 하여야 한다.
 
   재식~낙엽기
 -  묘목의 굵기에 따라 다르지만 재식후 30~40cm 높이에서 자른다. 6~7월에는 필요한 주지 후보지 2개를 선정
 -  한후 경쟁지는 잘라내거나 적심한다.
 
   재식 1년차 겨울
 -  주지를 연장시키기 위해 생장량의 1/3위치에서 절단한다. 부주지를 부착치 않고 측지를 바로 주지에 발생 시
 -  키기 위해 방향을 고려하여 15~20cm 간격으로 신초 굵기에 따라 5~10cm를 남기고 절단한다.
 
   재식 2년차 생육기
 -  주지상에서 발생하는 도장지는 잘라내거나 적심 또는 순비틀기를 실시한다.
 
   재식 2년차 겨울
 -  주지를 연장시키기 위해 생장량의 1/3위치에서 절단한다. 내년도의 일부 결실을 위해 결과 모지상의 복잡한
 -  가지는 제거한다. 주지의 발생 각도를 넓히고 수형 구성을 위해 유인을 철저히 한다.
 
   재식 3년차 여름
 -  신초발생도 많도 상구주위에는 부정아 발생이 많으므로 내향지의 눈따기, 염지, 도장지 제거가 필수적이다.
 -  눈따기는 4월 하순 ~ 5월 상순에 실시한다. 적심은 6월하순에 결과지를 만들기 위해 굵은 가지를 중심으로 기
 -  부 10cm를 남기고 자른다. 염지는 5우러 하순경 주지 선단 근처 강한 경쟁지를 대상으로 실시한다.
 
   재식 4년차~(성목에 준해 실시한다)
 -  기본적인 수고는 2.5~3m로 한다. 수관하부까지 광선이 충분히 들어가도록 전정을 실시한다. 측지 배치시 내
 -  향지, 차지, 중복지는 제거가 원칙이지만 수세 조정 및 이용을 위해서는 수평유일을 실시한다. 결과지를 약하
 -  게전정함녀 엽수부족으로 수세가 저하되고 소과 생산이 되므로 중과지 이상 및 아래로 처진 결과지 등은 절단
 -  전정을 가미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