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촌애(김영수)
2007. 12. 23. 15:06
2007. 12. 23. 15:06
 |
발생 |
- 나무의 수피부분에 나무진이 발생하며 진속에 검은 별레똥이 섞여 나오는 경우가 있다. |
- 이것은 유리나방의 유충이 양수분이 이동하는 부위에서 식해하므로써 나무진이 발생하고 수세가 저하된다. |
- 유리나방은 5~9월에 걸쳐 년1회 알을 낳아 번식하게 되는데 알을 낳기 위해 날아 다니는 나방(벌모양의 나방 |
- 으로서 날개가 유리처럼 맑고 허리에 황금색 띠가 2개 있음) 이다. |
|
방제법 |
- 보이는 즉시 트리치온 수화제나 호리마트를 살포하거나 줄기에 알을 낳지 못하게 주간 부위에 살충제와 백색 |
- 페인트를 섞어 도포하면 효과적이다. |
- 피해가 발생하여 진이 나오는 부위는 나무망치를 이용하여 두들겨 죽이던지 껍질을 벗겨 그 속의 유충을 직접 |
- 잡아 죽이도록 한다. |
 |
발생 |
- 자두 및 각종 과수의 가지에 기생하여 즙액을 흡수하므로 기주식 물을 점차 쇠약하게 만들고 심한 경우에는 |
- 고사시킨다. 1년에 2~3회 발생한다. 성숙한 암컷으로 겨울을 지나 5월 중순에 부화하며 6월 하순에 우화한다. |
- 제 2회 발생은 7월 중순에 부화하여 10월 상순에 우화한다. |
|
방제법 |
- 월동유충이 많은 때에는 기계유유제 5%(25배)액을 3월 상?중순에 살포하고 발아전에는 석회유황합제 5도액 |
- 을 살포한다. |
- 깍지를 형성하고 있는 기간에는 약제를 살포하여도 깍지내에 액체가 침투하지 못하여효과가 저하되므로 부 |
- 화기를 잘 관찰하여 부화 약충이 이동하기 시작할 때 스미치온 1,000배액을 살포하거나 깍지가 있을 때에는 |
- 철솔 등을 이용하여 깍지를 문딜러 벗긴 후 수프라 사이드 1,00qodordf 살포하면 된다.
 |
발생 및 증상 |
- 과실에 부화유충이 과피아래에서 식해하다가 과샐내부로 먹어 들어가 과심부에 이른다. 먹어들어간 구멍으 |
- 로부터 하얀 진이 나오고 과실이 비대해진 후에는 과면이 고르지 못한 요철이 생기고 또한 과육내를 불규칙하 |
- 게 �어 들어감. |
- 유충은 몸이 비대하고 방추형에 가까우며 선전색이다. |
- 년간 1~2회 발생한다. 땅속 1~3cm에서 유충상태로 월동한 후 5우러경 우화한다 |
- 6월 상순경부터 제1회 성충이 출현하고 2회 발생하는것은 8월중~9월상순에 출현한다. |
|
방제법 |
- 유충이 과육속으로 먹어들어가므로 약제에 의하여 유충을 완전히 죽일 수 없디 때문에 유충이 과육내에 침입 |
- 하기 이전에 방제하여야 한다. 피해과는 따서 모아 물속에 담가서 유충을 죽인다. |
- 우화시기인 5월중?하순 ~6월 상순에 토양 살충제인 다이아톤이나 지오릭스입제를 10a당 5kg을 고운 흙과 섞 |
- 어 수관하부에 살포하고 긁어주면 된다. 6월상?중순과 8월 중?하순을 중심으로한 산란기에는 다이메크론 |
- 1,000배 액을 살포한다.
|
 |
발생 |
- 각종 낙엽과수에 기생하여 신초와 과실의 내부를 식해하는 것으로 같은 지역에 여러종류의 기생식물의 기생 |
- 식물이 재식되어 있는 경우에는 계절에 따라서 기생수종이 변하고 동시에 기생부위도 변하기 때문에 피해양 |
- 상이 대단히 복잡하다. |
- 5월 상순부터 신초와 도장지의 선단이 급히 시들고 때로는 고사하여 밑으로 구부러진다. |
- 피해신초의 내부는 비어 있고 구부러진 부분에는 벌레똥이 있다. |
- 과실에 서는 피해가 심하지 않으나 식입부위에서는 분비물은 약간 배출하며 과피가 변색된다. |
- 주간의 조피사이와 주지의 기부 등에서 유충 상태로 월동한 후 4월 하순경부터 성충이 되어 년 3~4회 발생하 |
- 는데 그 최성기는 4월 하순~5월 하순, 7월 상순~8월 상순, 9월 중순~10월 상순이다. |
|
방제법 |
- 월동기 방제는 이름봄 거친 나무껍질의 조피를 제거한 나무껍질을 모아 태워야 하며 발생기 방제는 순나방의 |
- 피해를 받아서 신초의 선단이 밑으로 구부러진 것을 보는 즉시 다른 신초로 이동하기 전에 제거하여 불태운다 |
- 약제방제오서는 낙화직후, 6월 하순~7월 상순, 8월상?중순, 8월 하순~9월 상순을 중심으로 데시스, 더스반, |
- 립코드 등을 살포한다.
|
 |
발생 |
- 자두나무 및 핵과류의 잎에 기생하며 즙액을 흡수한다. 가해를 은잎의 조직은 고사하기 때문에 잎의 뒤쪽을 |
- 향하여 길이로 말리며 마치 축엽병에 걸린 것처럼 담홍색을 띤다. |
- 무시태생 암놈은 난형으로 녹색~적록색이고 배의 측 돌기가 뚜렷하다. 유시태생 암놈은 엷은 적갈색으로 연 |
- 간 10수회 발생한다. |
|
방제법 |
- 잎이 말리기전에는 피리모, 메타시스도스 등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발생초기 방제에 주력하여 |
- 야 한다. |
- 잎이 일단 말린 후에는 침투성 살충제인 메타씨스독스를 살포한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