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용제목

단감나무 수고 낮출 때 주지수와 결과모지수 조절 방법

활용분야

과 수

활용내용요약

수고를 낮출 때 주지수를 적게 둘수록 당년 및 이듬해까지 수량 감소가 심할 수 있으므로 수년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주지수를 줄여야 함. 밀식과원은 주지수가 적을수록 관리가 수월해짐. 수고를 낮춘 나무에서 결과모지를 많이 둘 때 수세가 안정되고 수량이 증가하므로 동계전정 시에는 충분한 결과모지수를 남겨야 함

연구과제

저수고 단감나무의 수세안정과 과실품질 향상 연구

사업구분

세부과제

저수고 단감나무의 수세안정 연구

지역특화

구      분

분야

과수

작  목

단감

색인어

단감, 저수고, 결과모지,

수세, 수량

연구개발자

소속기관

성명

전화 및 e-mail주소

경남농업기술원

최성태

055-211-5690

 stchoi1234@hanmail.net

공동개발자

박두상

 doospj@hanmail.net

김성철

〃 

 aho6162@yahoo.co.kr

윤영황

 yywhang@hanmail.net


Ⅰ. 요 약

  1. 활용

   가. 수고를 낮출 때 수세를 안정시키고 충분한 수량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

   나. 수고를 낮춘 후 동계전정 시에 활용


  2. 유사 영농활용 기술과의 차이점

     유사 영농활용 자료 없음


  3. 현황 및 문제점

가. 단감 과원의 생산비 절감을 위한 저수고 재배가 일반화되고 있음

  나. 단감 저수고 재배 시 도장지 과다 발생, 수량 감소 등이 문제가 됨

  다. 수고를 낮춘 나무의 수세 안정 및 안정생산 기술 개발이 필요함

  4. 주요연구결과

   가. 수고 낮출 때 주지수에 따른 수체생장과 수량(2005~2006, 단감연구소)

수고낮추기 후

80cm 이상 도장지

(개/주)

하계전정량

(kg/주)

수  량

(kg/주)

주지수

(개/주)

1년생 가지수(개/주)

2005

2006

2005

2006

2005

2006

2005

2006

2

3

4

5

 69

 92

116

140

 53

105

144

146

20

27

31

12

21

16

15

10

3.2

3.6

4.2

2.5

1.8

1.7

1.5

0.7

14.3

23.2

28.0

31.5

19.5

27.3

34.1

46.6

  * 재식밀도 56주/10a인 밀식과원임. 처리 후 나무 높이는 2.5m 이하였음

  * 주지수가 적을수록 병해충 방제, 결실 관리, 수확 등의 작업은 수월하였음


   나. 수고 낮출 때 남기는 1년생 가지수에 따른 수체생장과 수량(2005~2006, 단감연구소)

수고 낮추기 후

80cm 이상 도장지

(개/주)

하계전정량

(kg/주)

수량

(kg/주)

주지수

(개/주)

1년생 가지수(개/주)

2005

2006

2005

2006

2005

2006

2005

2006

2

소(69)

 다(115)

소(48)

다(94)

20

18

17

12

3.2

2.6

1.5

1.6

14.3

26.4

18.8

26.3

3

소(96)

 다(160)

소(75)

 다(139)

27

24

25

18

3.7

3.2

2.2

1.8

25.1

35.7

27.1

36.0

  * 재식밀도 56주/10a인 밀식과원임. 처리 후 나무 높이는 2.5m 이하였음

  * 1년생지수 : 소 - 수고를 낮춘 후 남은 총가지수의 60% 이하

                다 - 수고를 낮춘 후 남은 총가지수의 75% 이상


  5. 기대효과

가. 수고를 낮출 때 점진적으로 주지수를 줄임으로써 수세를 안정시키고 수량을 높일 수 있음. 주지수에 따른 수량 차이는 당년 및 이듬해에 2.2~2.4배로 큼

   나. 전정 시 남기는 결과모지수 조절로 수량 및 소득이 1.31.8배 증가 가능


  6. 개발기술의 활용방법

가. 수고를 낮출 때 일시에 주지수를 줄이면 당년 및 이듬해까지 수세가 강해지고 수량 감소가 심해질 수 있으므로, 충분한 수의 결과모지를 확보하면서 수년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주지수를 줄여야 함. 밀식 정도가 높은 과원일수록 최종 주지수를 적게 두는 것(2~3개)이 작업효율 면에서 유리함

나. 수고를 낮춘 나무에서는 결과모지를 많이 남겨야 수세가 안정되며, 잎수 증가로 수량을 늘릴 수 있음. 수고 낮추기 후에는 1년생 가지수의 75% 이상을 남기는 것이 좋음. 결과모지수가 많아 수관 내부가 복잡해질 경우 적절한 하계전정을 해야 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