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재해 - 서리해

         1. 서리 발생의 기상조건
             ㉠ 서리 내리기 2∼3일 전에 비가 오거나, 전일은 차가운 북풍이 세게불어
                 하루중 기온이 그다지 높지 않고 최고기온이 18℃이하 일 때 특히 하루
                 중 기온이 20℃이상되면 서리는 거의 내리지 않는다.
             ㉡ 오후 6시 기온이 7℃, 오후 9시 기온이 4℃정도일 때, 기온의 하강상태
                 를 관찰하면 저녁부터 다음날 아침까지 평균해서 1시간에 0.8∼1℃의
                 비율로 저하한다. 일몰부터 자정까지는 거의 일직선으로 기온이 강하 하
                 지만 자정을 지나면 완만할 때
             ㉢ 야간에 구름 한점 없이 청명하여 별이 뚜렷이 관찰될 때 그러나 자정기
                 온이 크게 내려가도 바람이 불어 엷은 구름이 나타나면 서리해 발생은
                 적게된다.
         2. 발생기작
               상해는 내동성 이하의 저온에 접하여 조직을 동결시켜 파괴한 결과 생긴
            다.이때 세포막이나 엽록체의 막이 경화되어 파괴되거나, 세포내가 탈수되
            어 건조사의 상태로 된다.
            저온에 의해 동결부터 피해를 입기까지의 과정은 복잡한 물리적 화학적 생
            리적 작용이 관여한다. 세포내가 동결되면 동사, 세포내의 수분이 세포외로
            탈수되어 세포간극만이 동결하면 탈수의 정도에 따라 장해정도가 다르다.
            세포내 동결은 동결이 급속히 진행되어 過冷却 상태로 될 때 芽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結氷의 자극이 전해져 급   속히 동결된다. 한편 세포간극의 동결
            은 냉각속도가 비교적 완만할 때 일어난다.
        3. 서리피해
           1) 증상
                꽃봉우리가 서로 뭉쳐 있을 때 서리의 피해를 받으면 암술의 길이가 짧아
                지며, 개화기 전후에 서리의 피해를 심하게 받으면 꽃잎은 죽지 않으나
                암술머리와 배주(胚珠)가 얼어 죽어 검은색으로 변하며, 수분과 수정이
                되지 않아 결실이 되지 않는다.
                어린 과실이 서리피해를 받으면 꽃받침 가까운 부분에 가락지 모양으로
                둥글게 얼어죽어 그곳이 자라지 못하므로 과실이 자람에 따라 기형과(畸
                形果)가 되어 상품성이 없어진다. 어린잎이 서리의 피해를 받으면 물에
                삶은 것 같이 되어 검게 말라 죽는다.
            2) 위험온도
                서리피해는 발육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개화 전까지는 내한성(耐寒
                性)이 비교적 강하나 개화 직전부터 낙화후 1주까지 가장 약하고, 낙화후
                10일이 지나 잎이 피면 서리피해를 적게 받는다.
                 - 발육정도별 서리의 피해를 받는 위험 한계온도 (장십랑)

발  육  정  도

위 험 한 계 온 도

비      고

   꽃봉우리가 화총 안에 있을 때
    꽃봉우리가 끝이 엷은 분홍색일 때
    꽃봉우리가 백색일 때
    개화직전
    만개기, 낙화기, 낙화 10일 후 유과

-3.5℃
-2.8℃
-2.2℃
-1.9℃
-1.7℃

   30분 이상되면
    위험


 

               대체적으로 서리 오기 2∼3일 전에는 비가 오고 그후 낮 최고 온도가 18
                 ℃이하(20℃이상 일 때는 서리가 오지 않음)일 때 오후 6시의 기온이 7
                 ℃, 9시의 기온이 4℃이며 바람이 불지 않으면 다음날 아침에 서리가 온
                 다.바람이 불지 않을 때 수체(樹體)의 온도는 기온보다 2℃정도 낮아 서
                 리 피해를 받기 쉬우나, 초속 2m로 바람이 불면 기온과 수온(樹溫)이 비
                 슷해지며 이때는 서리가 오지 않는다.
             3) 지형
                 시베리아에서 이동성(移動性) 찬 고기압이 발생되어 한반도를 통과하는
                 봄에는    밤에 지면에서 복사방열이 심하다. 이때 이동성 고기압이 자주
                 통과하는 길목, 내륙기상(內陸氣象)으로 기온의 일변화가 심한 곳, 긴
                 언덕, 산으로 둘러싸인 곳, 강변, 산기슭 등 낮은 곳으로 찬공기가 흘러
                 들어 오기 쉬운 지형조건에서 서리피해를 많이 받는다.
             4) 품종
                 품종별로도 생육에 차이가 있는데 저온의 피해를 가장 심하게 받는 품종
                 은 신고이다. 신고의 개화기는 장십랑, 풍수, 신흥보다는 4일 빠르고 만
                 삼길보다는 6일 빠르며, 이 품종에서 내한성이 가장 약한 시기에 해마다
                  기온이 떨어져서 서리피해를 받고 있다.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나무재배-풍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우박피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유해조류  (0) 2007.12.28
배나무재배-충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저장병해  (0) 2007.12.28

병충해 방제 - 유해조류

         방조망 설치
         방조망은 조류피해를 막는 효과가 뛰어날 뿐 아니라 우박과 바람 피해를 막
          는 장점이 있어서 가장 선호되는 방조법이나 설치시 여러 어려움이 있다. 간
          이방조망은 4∼5명이 동시에 방조망을 피복할 수 있으며 개폐를 비교적 편
          리하게 설계되었고 시설비용을 표준방조망에 비해 경제적인 장점이 있으나,
          바람과 우박에 대한 효과가 미검증된 상태이므로 조류 피해 방지용으로 한
          하여 설치가 요구된다. 농가형 방조망은 나무전체를 피복하는 것으로 현 농
          가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설치비가 매우 저렴하고 방조효과도 비교적 좋은
          까닭에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밀식과원에서 망 피복과 제거작업 및 피복 후
          과원작업이 불편하고 강풍에 쉽게 훼손되는 단점이 있다.

         총기포획법
         국내에서 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사용되는 방법으로써 비교적 효과가 좋은
          방조법중 하나이다. 특히 성숙기부터 수확기까지 방조효과를 지속시키기 위
          해서는 집단적으로 포획이 이뤄지고 시기적으로 봄철일수록 포획이 효과적
          이었다.

    (표 3) 집단적 까치포획이 실시된 지역의 까치밀도

조사지역

까치포획기간

포획까치수

까치밀도♪
(마리/5km)

나   주

1999.3.1~4.3   (1개월)

10,000

 3.0

천   안

1999.8.1~11.2  (3개월)

     865

14.5

익   산

-

-

16.3

    ♪ 도로를 따라 5km거리중 좌우 200m의 폭안에서 육안관찰 가능한 개체수.
        (원예연구소 나주배연구소, 1999)

    (표 4) 까치를 총기포살하기 위한 계절적 선호도

계   절

여름

가을

겨울

선호도(%)

95.2

0

4.8

23.8

    †설문대상자 : 나주지역 배재배농민중 년중 총기휴대 및 포획경험자
       (원예연구소 나주배연구소, 1999)

         종합모빌
         조류가 새로운 것에 대해 가지는 경계행동은 일반적으로 7∼10일인데 이 기
          간을 최대한 이용하여 유해조류의 접근을 막는 것이 종합 모빌(Mobil)의 활
          용 원리이다. 이는 반사거울, 반사테이프, 허수아비, 깃발 등 여러 종류의 저
          렴한 모빌을 긴 장대 또는 덕시설에 매달고, 이들을 약 10일 간격으로 바꾸
          는 것이다. 농가에서 활용되는 모빌형 방조기구는 일반적으로 피해가 시작
          될 때 설치하여 수확 후까지 포장에 그대로 두는 경우가 많은데 텃새인 까치
          등의 유해조류의 습성상 이에 대한 학습효과가 유발되므로 한시적으로 교체
          사용하고, 수확 후에는 반드시 과수원에서 철거해야 한다. 이런 학습효과 때
          문에 소음기기들은 한 종류에 의존하지 않고 방조율이 떨어질 무렵 농가끼
          리 서로 다른 기종으로 바꾸어 설치하면 방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표 5) 종합모빌 처리효과                                            

처    리

조류피해율(%)

방노율(%)

종합모빌처리구
관행처리구
(반사테이프,카바이트총)

2.8

14.6

81.0

-

     (원예연구소 나주배연구소, 1999)  

     재봉실 이용법
           설치방법은 검은 색의 재봉실 한 쪽 끝을 나무 주간이나 가지에 묶어 고정
           한 후, 나무 수관 위를 20cm 정도 간격의 그물 모양으로 탱탱하게 감아 주
           는 것이다. 특히 재봉실 간격이 넓거나 느슨하게 설치하게 되었을 때는 효
           과가 떨어지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표 6) 재봉실 이용에 따른 유해조류 피해경감 효과

구        분

재   봉   실

무   처   리

피해율(%)

1.8

10.4

    (경북농업기술원, 1999)

         방조용 봉지
         방조용 봉지는 부직포, 다공성필름, 망처리봉지 등의 신소재를 이용하는 것
          으로 물리적 기피효과를 유발하는 것과 봉지에 기피제 유입하여 화학적 기
          피효과를 기대하는 것이 있다.

         나. 방조법 종류
               농가에서 활용되는 방조법의 종류
               우리나라의 농가에서 활용되는 방조법의 종류를 보면 대부분 2가지 이상
               의 방조법을 혼용하고 있었으며 무엇보다 인력, 소음, 빛을 이용하여 쫓
               는 방법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실정이고, 방조망과 포살법도 많이 활용되
               고 있다. 일본은 방조망과 방조봉지가 많이 보급되어 있는 점이 특징적
               이며 소음과 모형 등으로 쫓아내는 방법은 우리나라와 비슷하게 활용되
               고 있다. 특히 유기인제를 이용한 독살은 원하지 않는 야생조류를 죽일
               뿐 아니라 보호중인 야생동물의 2차중독을 유발할 위험이 있으므로 무분
               별하게 사용하는 것을 금해야 한다.
       (표 1) 국내 배 재배농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조법 종류

방    법

사 용 률
(%)

실   례

■쫓는  방법
    *인   력
    *소   음
    *빛반사
    *화학물
    *익숙지 않는 것
■ 물리적 배제법
    *망치기

■포   살
 


    60.6
    48.5
    39.4
      6.1
      -

      3.0
    12.1
    24.2
      9.1


흔이 이른 아침과 늦은 오후에 직접 쫓음.
라디오 카바이트 총, 버드가드 ,폭죽.
거울,반사테이프
목초액,현미식초
깃발,뱀모형,깡통,개,허수아비

완전망치기
부분방치기
총포
농약

     (나주배연구소, 1999)

     (표 2) 일본의 방조법 실태 및 활용 효과

방  조  법

활   용
지역수

효   능

  폭음기

10

   설치초기에 효과 있고 익숙해지면 효과 저하됨

  방조망

10

   가장 유효한 수단임

  방조봉지

8

   효과가 인정되는 편임

  사체걸기

7

   일부효과가 있으나 익숙해지면 효과가 떨어짐

  눈동자모형

3

   거의 효과 없음

  낚시줄 설 치

6

   까마귀는 다소 효과적이나 다른 조류엔 효과없음

  폭죽

6

   일시적 효과 있음

  총기

4

   사용기간은 효과있음

  자석(자기)

4

   효과가 불명하고 일부 조류의 경우 초기에 효
    과를 보이는 정도임

  회전대

4

   익숙해지면 효과 저하됨

  인형

5

   익숙해지면 효과 저하됨

  방조갓

4

   방조봉지보다 효과가 적은편임

     (果樹試驗場報告, 1999)

         소음기기 활용
         매, 부엉이 등과 같은 천적에 대해 까치가 내는 경계음을 활용하여  기피효
          과를 내는 것과 라디오, 폭죽, 카바이트총 등의 소음기기를 써서 조류를 놀
          라게 하여  쫓는 방법이다. 시판되는 제품이 많고 모빌류에 비해 다소 기피
          효과가 길게 유지되므로 선호되는 장점이 있으나, 과원이 민가부근에 위치
          할 경우 소음공해를 유발하여 사용에 문제가 많고 효과면에서도 지속적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조류피해 경감을 위한 포인트
         조류피해가 해마다 크게 문제가 되고 있는데 방조망을 설치하여 물리적으로
          확실히 격리시키지 않는 한 현재까지 100% 방조효과를 보이는 방법은 없
          다.  농가에서 사용하는 방법중 기피효과를 유발시키는 것은 인력(人力), 모
          빌류, 폭음기, 기피음 재생기, 목초액, 식초 등이 있는데 이들을 장기간에 걸
          쳐 효과를 보이지 않으므로 효과가 떨어질 무렵 다른 방법을 투입해야 한다.
          이렇게 하여 조류로 하여금 생소하고 탐색할 시간을 유도하고 그 동안을 최
          대한 이용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기피효과를 유발하는 방법을 종합
          적으로 활용하고, 총기류를 이용하여 직접 포획하는 것을 수확할 때까지 병
          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유해조류
         가. 유해조류의 종류
              까치(Black-billed Magpie, Pica pica sericea)
               까치는 암수 한 쌍이 짝을 이뤄 일정한 세력권에서 계속 살아가는 텃새
               이다.  짝짓기를 못하는 개체(비번식개체)는 무리지어 다니는데 개체수
               면에서 전체의 약 20∼40% 수준이며 대부분 1∼2년생의 어린 새이다.
               까치가 활동하는 세력권 면적은 평균 15,000평 수준이고 1부 1처제를
               취한다. 먹이는 잡식성으로 곤충류, 과실, 동물배설물, 쥐, 도토리류, 작
               은 새, 음식 쓰레기 등을 먹으나 80%이상이 동물성 먹이이다.  2∼4월
               에산란하며 보통 3∼9개를 낳으며, 번식에 실패했을 경우 개체당 최고
               4회까지 산란이 가능하다.

까   치

              물까치(Azure-winged Magpie, Cyanopica cyanus koreensis)
               참새목 까마귀과의 텃새이고 까치와 마찬가지로 깃털 모양상 암수차이
               가 없다. 구릉이나 높은 산에 이르기까지 도처에서 서식하며 번식후 5∼
               10 마리 정도의 작은 무리를 지어 활동하고 낙엽송림을 특히 선호한다.
               산란은 5∼7월에 이뤄지고, 보통 6∼9개의 알을 낳는다. 먹이는 개구리,
               어류, 곤충, 농작물(벼, 콩, 옥수수, 감자 등), 과일(배, 감, 감귤 )등이며
               잡식성이다.

물  까  치

              찌르레기(Gray starling, Sturnus cineraceus)
               참새목 찌르레기과로서 여름철새이나 우리나라 중부이남에서는 일부 월
               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식지는 도시의 공원, 정원, 농경지, 산기
               슭, 들판의 고목나무 등지이고 주로 무리를 이뤄 생활을 한다. 산란은 3
               월하순∼7월에 하고,  보통 4∼9개의 알을 낳는다. 먹이로는 개구리, 달
               팽이, 곤충류, 쥐, 농작물, 과일(배, 감, 사과, 포도 )등이 있다.

찌 르 레 기

              직박구리(brown-eared bulbul,  Hypsipetes amaurotis)
               평지에서 산지에 이르기까지 수목이 있으면 어디서나 서식하고, 우리나
               라에서는 텃새이다. 먹이는 과실, 식물의 열매, 곤충류 등을 먹는다. 과
               수원에서 배, 복숭아, 자두, 뽕 등을 가해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개화
               기에는 배과수원에서 일부 꽃을 가해하기도 하나 피해가 심한 편은 아니
               다.
       
              어치(Jay, Garrulus glandarius)
              까마귀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텃새이다. 참나무류의 열매를 즐겨 먹으나
              일반적으로 잡식성이고, 산간지역에서 과수원에 많은 피해를 준다.

어   치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나무재배-우박피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서리피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충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저장병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생육기 병해  (0) 2007.12.28

병충해 방제 - 충해

         점 박 이 응 애
              ○ 학명(學名) : Tetranychus urticae Koch
               ○ 영명(英名) : twospotted spider mite

 

 

성충과 알

            피해엽


          (가) 기주식물(寄主植物)
                배나무, 사과나무, 복숭아나무, 각종 채소류, 화훼류
          (나) 생육단계(生育段階)
            ① 알 : 알은 둥근 모양이며 크기는 약 0.14mm정도이다. 처음에 산란되었
                      을 때의 색깔은 반투명한 유백색이지만 부화시기에 가까워지면 점
                      차 광택이 없는 담황색으로 바뀐다. 부화 직전이 되면 알속의 빨간
                      색 눈을 볼 수 있다.
           ② 유,약충(幼·若蟲) : 알에서 막 부화한 유충은 둥근 모양으로 알 크기와
                     비슷하며 3쌍의 다리를 가지고 있다. 처음에는 반투명하지만 배나
                      무 잎을 먹기 시작하면서 점차 엷은 녹색으로 바뀌며 등쪽에 검은
                      점이 생기기 시작한다. 전약충(前若蟲)으로 자라면서 다리는 4쌍
                      이 되며 등에 있는 검은색의 두 점은 더욱더 뚜렷해진다. 후약충
                      (後若蟲)은 전약충 보다 약간 크고 이 시기가 되면 수컷과 암컷의
                      구별이 쉬워지는데, 수컷은 암컷보다 크기가 작고 배 끝 부분의 모
                      양이 더 뾰쪽하다.
           ③ 성충(成蟲) : 수컷 성충은 암컷보다 작고 배 부분이 뾰쪽한 것이 특징이
                      며 활동력이 왕성하다. 암컷은 크기가 0.42mm 정도이며 수컷보다
                      더 크고 달걀 모양이다. 몸 색깔은 다양한데, 가장 일반적인 색은
                      엷은 녹색이며 노란색과 갈색이 조금 가미되어 있다. 이름에서 나
                      타난 것과 같이 등의 앞쪽 절반 부위에 두 개의 뚜렷한 점을 가지
                      고 있다. 월동 중인 암컷은 보통 진한 오렌지색이며 등에 있던 점
                      은 없어지게 된다.
          (다) 생활사(生活史)
                 점박이응애는 오렌지색을 띠는 암컷 성충으로 배나무 거친 껍질 밑의
                 숨을 수 있는 장소에서 월동하며, 지면의 잡초나 낙엽더미 속에서도 월
                 동한다. 월동 성충은 봄이 되면 월동 장소로부터 나와 활동하기 시작하
                 는데, 4월에는 주로 잡초에서 생활하다가 5월부터 본격적으로 배나무
                 잎을 먹기 시작한다. 월동 성충은 잎을 빨아먹음에 따라 오렌지색이 점
                 차 녹색으로 변하면서 등쪽에 점이 나타난다. 약 2∼5일 후에 알을 낳기
                 시작하는데, 새롭게 전개된 잎의 아래 부위에 먼저 낳는다. 월동 성충
                 한 마리는 20여일 동안 살면서 평균 40개의 알을 낳는데, 이것은 여름
                 에 성충이 낳는 것보다 알 수가 적다. 이 알은 온도조건에 따라 다르지
                 만 보통 3주 후에 부화한다. 이 시점으로부터 세대가 중복되기 시작한
                 다.
                 여름형 암컷은 30일 동안에 걸쳐 약 100개의 알을 낳는다. 알은 여름이
                 따뜻한 지역에서는 1∼2일이면 부화하며 전체 세대 기간(산란부터 성충
                 까지)은 10일 정도에 불과하다. 연중 다발생 시기는 7∼8월이고 발생최
                 성기는 8월 상순이다. 지나친 응애의 섭식으로 인하여 잎의 질이 떨어지
                 기 시작하며 온도가 낮아지고 낮의 길이가 짧아지는 가을철이 되면 오
                 렌지색의 월동 성충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점박이응애 생활사〕

          (라) 피해(被害)와 진단(診斷)
                  배나무의 잎을 가해하는 응애 종류는 점박이응애, 사과응애, 차응애,
                  귤응애, 벚나무응애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점박이응애의 발생이 가장
                  많다. 약충과 성충이 배나무 잎에 주둥이를 삽입하여 세포 속의 내용물
                  을 빨아먹는데, 잎이 엽록소를 잃으므로 표면에 하얀 점이 생긴다. 점
                  차 피해가 진행됨에 따라 피해 잎은 엷은 갈색으로 변하고, 심할 때에
                  는 낙엽이 된다. 점박이응애의 피해를 받은 배나무 잎은 광합성 능력이
                  떨어지므로 과실의 생장과 착색에 나쁜 영향을 주며, 이듬해의 착과량
                  에도 영향을 미친다.
            (마) 방제방법(防除方法)
                  ① 이른봄에 배나무 가지의 거친 껍질을 긁어서 불에 태우고 기계유유제
                      를 살포한다.
                  ② 응애가 잎당 2∼3마리씩 보이기 시작하면 급속하게 늘어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즉시 약제를 살포하는 초기 중점방제를 실시한다.
                  ③ 여름철에는 응애의 발생이 급속히 늘어나며, 한 세대를 거치는 기간도
                      짧아지므로 약제에 대한 저항성을 가진 응애의 출현을 고려하여 성분
                       이 다른 약제를 교대로 살포한다.
                  ④ 고온 건조기에 토양 수분이 부족하거나, 물 빠짐이 불량한 과수원에서
                      피해가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에 배나무의 수분 관리를 철저히 실시한
                      다.
                  ⑤ 질소시비의 과다로 먹이조건이 좋으면 피해를 받기 쉽기 때문에 시비
                      의 균형을 맞춰 배나무가 너무 무성하게 자라지 않도록 한다.
                  ⑥ 포식성응애, 무당벌레, 포식성노린재, 풀잠자리 등의 천적에 독성이 낮
                      은 약제를 선택하여 이용한다.
                  ⑦ 방제약제로는 디코폴, 테디온, 페나자퀸, 펜부탄, 펜프록시메이트 등이
                      있다.

          꼬마배나무이
       
○ 학명(學名) : Psylla pyricola Foerster
            ○ 영명(英名) : pear sucker(psylla)

 

 

성  충

약  충

           (가) 기주식물
                   배나무, 사과나무(중간기주)
            (나) 생육단계
                 ① 알 : 알은 쌀 알맹이와 같은 모양이며 둥근 끝 부분으로부터 뻗어 나
                           온 작은 돌기에 의해 배나무에 부착되어 있다. 알은 산란 당시
                           에는 유백색이지만 부화 시기가 다가오면 점차 노란색으로 바
                           뀐다.
                 ② 약충 : 약충은 다섯 번에 걸쳐 탈피를 한다. 알에서 막 부화한 약충
                              은 우유빛을 띠는 노란색이며 알의 크기와 비슷하다. 부화 약
                              충은 성장할수록 녹색을 띠게 되는데, 다 자란 약충이 되면
                              어두운 녹색 내지 엷은 갈색이 된다.
                 ③ 성충 : 겨울형과 여름형의 두 가지 성충 형태가 있다. 겨울형 성충의                              크기는 2.5mm 정도인 반면 여름형은 2mm이다. 두 가지 형
                              태 모두 날개로 배 부분을 지붕모양으로 덮고 있다. 여름형은                              녹색이며 겨울형은 흑갈색을 띠고 있다.

〔꼬마배나무이 생활사〕


             (다) 생활사
                   꼬마배나무이는 월동형 성충으로 겨울을 지낸다. 그들은 배나무의 눈
                   이 부풀어오르기 시작하는 3월 상순경부터 알을 낳기 시작한다. 알은
                   주로 눈의 아랫부분이나 작은 가지 위에 낳는다. 눈이 열린 이후에는
                   잎맥 중앙 또는 잎자루에 알을 낳고 줄기나 꽃받침에도 낳는다. 성충은
                   꽃잎이 떨어질 때까지 계속해서 알을 낳는다. 이와 같이 월동 성충의
                   산란기간이 길기 때문에 첫 세대 약충의 발생기간이 길다. 여름형 성충
                   은 약충이 먹었던 잎 끝 부분과 새로 자란 줄기와 잎 위에 알을 낳는다.
                   여름형 성충은 3∼4세대를 보낸 후에 9월 하순 이후에 겨울형 성충이
                   출현하여 월동에 들어간다.
            (라) 피해와 진단
                  꼬마배나무이는 서부 유럽이 원산인 해충이며 우리 나라의 경우 과거
                  에는 주로 수원을 중심으로 한 중부지역에서 발생이 많았다. 그러나 최
                  근에는 나주, 하동 등의 남부지역까지도 광범위하게 발생하여 현재는
                  전국적으로 배나무 과수원에서 주요 해충이 되었다.
                  약충과 성충이 주로 잎을 가해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봉지 속으로 침입
                  하여 과실을 흡즙하기도 한다. 흡즙하면서 감로(甘露)라고 하는 물방울
                  을 분비하는데, 그 부분에 그을음병균이 2차적으로 기생하기 때문에 잎
                  과 가지가 검게 그을린 것처럼 보이게 된다. 과실에 피해를 받으면 그
                  을음으로 상품가치가 떨어지고 저장력도 저하된다. 한편, 약충이 흡즙
                  할 때 배나무 속으로 주입한 타액의 독성으로 인하여 수세가 약화되며,
                  또한 타액에 의해  마이크로플라즈마 병원체가 전염되면 사관부 속 체
                  관에 피해를 주어 합성된 영양분이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기도
                  한다.
            (마) 방제방법
                  ① 이른봄에 기계유유제를 살포하면 월동형 성충을 죽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아 남은 성충이 배나무 가지에 산란을 기피하도록 하는 효
                      과가 있다.
                  ② 개화기 직전이 되면 월동형 성충이 낳은 알이 부화하기 시작하기 때
                      문에 이 시기에 약제를 살포해야 하며 낙화 후에도 다른 해충과 동
                      시에 방제한다. 꼬마배나무이의 성충은 활동 영역이 넓기 때문에 주
                      위 과수원과 공동으로 방제하는 것이 재감염을 막는데 효과적이다.
                  ③ 낙화 후 생육기의 약제 살포는 약충의 밀도가 잎 당 0.5마리 이상일
                      때 처리해야 하며 노령 약충보다 어린 약충일 때 살포하는 것이 더
                      욱 효과적이다.
                  ④ 꼬마배나무이 개체군은 도장성인 나무에서 빠르게 증가하기 때문에
                      나무의 생장을 지 나치게 자극하는 방식을 피한다. 과실생산에 충분
                      할 정도로만 질소를 시비한다.
                  ⑤ 배나무 골격지에서 자란 새순 또는 흡지를 제거하는 것은 배나무이
                      의 피해를 받은 어린잎을 제거하는 것뿐만 아니라 살포한 약제의 침
                      투를 더 효과적이게 해준다.
                  ⑥ 살충제는 풀잠자리, 무당벌레, 포식성노린재, 기생벌, 많은 종류의
                      거미 등의 천적에 가급적 영향이 적은 것을 살포한다.
                  ⑦ 방제약제로는 이미다클로프리드, 아미트 등이 있다.

         콩가루벌레
          ○ 학명(學名) : Aphanostigma iakusuiense Kishida
          ○ 영명(英名) : pear phylloxera

 

 

성충과 알

피해과실

         (가) 기주식물
                배나무
          (나) 생육단계
                ① 알 : 타원형이며 산란 당시는 엷은 황색으로 껍질 표면은 끈끈한 물
                          질에 덮여있다. 몇 일이 경과하면 껍질이 딱딱해지고 색깔이 점
                          점 진해져 진한 황색으로 변한다. 부화 직전이 되면 알의 앞쪽
                          부분에 2개의 빨간색 눈을 확인할 수 있다.
                ② 약충 : 약충은 엷은 황색으로 타원형이며 부화 당시에는 더듬이, 주
                             둥이, 다리 등의 구분이 어렵지만 1∼2회 탈피하면 구분이 명
                             확해진다. 몸이 가벼워 비교적 운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주로
                             이 시기에 이동한다.
                ③ 성충 : 성충은 날개가 없고 엷은 황색이며 간모(幹母), 보통형(普通
                             型), 산성형(産性型), 유성형(有性型) 등의 4가지형이 있다. 간
                             모, 보통형, 산성형의 몸길이는 0.7∼0.8mm 정도이며, 유성
                             형은 0.35∼0.4mm이다. 머리는 작고 양쪽에 빨간색 눈을 한
                             개씩 가지고 있다. 더듬이는 검은색으로 짧고 크며 3마디로 구
                             성되어 있다. 주둥이는 길고 9마디로 이루어져 있다. 복부는 7                             마디로 구성되어 있으며 끝 부분으로 갈수록 뾰쪽하다. 3쌍의
                             다리는 크기와 모양이 비슷하며 검은색이고 4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다) 생활사
                가을에 출현한 유성형이 산란한 월동 알은 거친 껍질 밑에서 월동하다
                가 이듬해 봄에 부화한다. 부화한 간모는 그늘진 곳에서 증식하여 보통
                형이 되고 6월 중하순부터 봉지 씌운 과실의 과경을 따라 봉지의 속으로
                들어가 배 과실에 도달하여 계속 번식한다. 과실이 성숙함에 따라 점점
                번식이 왕성해져 알은 5∼6일이면 부화하고 약충은 1주일 정도 지나면
                성충이 된다. 성충의 생존 기간은 3주일이며 이 시기에 왕성하게 과실
                표면을 흡즙하며 교미하지 않고 번식한다. 9월 중순 이후에는 산성형이
                출현하여 크고 작은 알은 낳는데, 큰 알이 부화하여 암컷이 되고 작은
                알은 부화하여 수컷이 된다. 10월 중하순경이 되면 유성형 암컷과 수컷
                이 교미하고 월동장소로 이동하여 월동 알을 낳는다.

〔콩가루벌레 생활사〕

         (라) 피해와 진단
                콩가루벌레는 우리 나라와 만주가 원산인 해충으로 오래 전부터 배 과
                실에 피해를 주는 대표적인 해충이다. 햇빛을 싫어하기 때문에 주로 봉
                지를 씌운 배 과실에만 발생한다. 약충과 성충이 배 과실 표면을 가해하
                면 그 부분에 균열이 생기게 되고 가해 부위로 흑반병균 등이 침입하여
                검은색으로 변한다. 피해가 더 심해지면 과실이 거북이 등같이 찢어지
                고 결국 낙과된다. 심할 때에는 신초에도 가해하며 발육을 저해하고 조
                기낙엽을 초래한다.
          (마) 방제방법
                ① 월동 직후 봄철에 배나무의 거친 껍질을 제거하고 기계유유제와 석
                    회유황합제를 살포한다.
                ② 봉지씌우기 직전에 살충제를 반드시 살포하고 피해가 심한 과수원에
                    서는 약충이 봉지 속으로 이동하는 시기인 6월 중순경에 추가 살포한
                    다.
                ③ 가급적 포식성응애, 무당벌레 등의 천적에 영향이 적은 살충제를 살
                    포한다.
                ④ 방제약제는 진딧물과 깍지벌레 방제용으로 배나무에 고시된 이미다
                    클로프리드, 메프, 아조포 등을 이용한다.

         조팝나무진딧물
           
○ 학명(學名) : Aphis citricola van der Goot
            ○ 영명(英名) : apple aphid

 

 

성충과 약충

피해입은 신초

           (가) 기주식물
                  배나무, 사과나무, 복숭아나무, 귤나무, 조팝나무 등
            (나) 생육단계
                  ① 알 : 윤기가 있는 검은색으로 쌀알 모양이며 크기는 0.5mm 정도이
                            다.
                  ② 약충 : 노란색을 띠는 녹색 또는 어두운 녹색으로 크기는 1.5mm 정
                               도이다.
                  ③ 성충 : 날개가 없는 것과 날개가 있는 성충이 있는데, 날개가 있는 성
                               충으로 이동한다. 날개가 없는 성충은 밝은 녹색이며 다리와
                               더듬이는 검은색이다. 날개가 있는 성충은 머리와 가슴부위는                               검은색이고 배 부위는 노란색을 띠는 녹색이다. 성충 크기는
                               약 3mm 정도이다.
            (다) 생활사
                  주로 조팝나무에서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배나무의 가지나 눈
                  에서도 알로 월동한다. 배나무에서 월동한 알은 4월에 부화하기 시작하
                  여 발아하는 눈에서 증식을 시작한다. 조팝나무 등과 같은 다른 곳에서
                  월동한 것은 5월에 날개가 있는 성충으로 배나무로 이동해온다. 이때부
                  터 암컷은 교미하지 않고 번식하며 새끼를 직접 낳는 태생이기 때문에
                  밀도가 급격하게 증가한다. 발생 초기에는 적당한 먹이를 찾기 위해 날
                  개가 있는 성충이 많지만 일단 정착한 후에는 날개가 없는 성충이 대부
                  분을 차지한다. 5월부터 7월에 걸쳐 주로 발생하지만 가장 많이 발생하
                  는 시기는 5월 하순∼6월 중순경이다. 조팝나무진딧물은 어린잎과 가지
                  에서만 거의 생활하기 때문에 신초 생장이 멈추는 고온기가 되면 밀도
                  가 급격히 저하되었다가 가을철에 다시 신초가 발생하면 밀도가 증가한
                  다. 가을철에 암컷과 수컷이 발생하여 교미한 후 월동 알을 낳는다.

〔조팝나우진딧물 생활사〕

           (라) 피해와 진단
                  배나무에 주로 발생하는 진딧물 종류로는 조팝나무진딧물, 복숭아혹진
                  딧물, 배나무털관동글밑진딧물, 목화진딧물 등이며 그 중 조팝나무진딧
                  물의 발생과 피해가 가장 크다. 약충과 성충이 배나무의 잎과 가지에서
                  즙액을 빨아먹는데, 즙액이 많은 어린 조직을 더 좋아한다. 주로 잎 뒷
                  면, 신초 선단부 및 신초 줄기에서 즙액을 빨아먹는다. 개체군 밀도가
                  높을 때에는 잎 표면 위에서도 섭식한다. 배나무털관동글밑진딧물과 달
                  리 피해를 받은 잎은 말리지 않는다. 발생초기 밀도가 높은 경우에는 발
                  육중인 과실을 흡즙하기도 한다. 보통 신초 부위에 발생하기 때문에 성
                  목인 경우 수확량과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적다. 그러나 어린 나무
                  에 대발생하는 경우에는 생장이 크게 위축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한편, 배설물에 의하여 그을음병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과실이 그을음에
                  오염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마) 방제방법
                  ① 성목인 경우 나무에 큰 피해를 주지 않기 때문에 신초 당 20∼30마
                      리 일 때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급적 다른 해충과 동
                      시 방제가 가능한 시기를 택하여 약제를 살포한다. 그러나 유목인 경
                      우에는 밀도 수준이 낮을 때 살포 해야한다.
                  ② 고온기에는 밀도가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약제를 살포할 필요가
                      없으며, 9월 이후에 다시 발생하지만 조팝나무진딧물을 주목적으로
                      방제할 필요는 없고 다른 해충의 방제시기에 맞춰 동시에 방제한다.
                  ③ 살충제에 의한 방제가 다른 해충에 비하여 비교적 쉽지만 번식력이
                      왕성하기 때문에 같은 약제를 계속 사용하면 저항성이 유발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④ 배나무의 신초 생장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꽃눈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질소질의 적정 시비와 수분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⑤ 무당벌레, 혹파리, 풀잠자리, 포식성노린재, 기생벌 등의 천적에 저
                      독성인 약제를 선택하여 살포한다.
                  ⑥ 방제약제로는 그로포, 나크, 델타린, 알파스린, 이미다클로프리드,
                      푸라치오카브, 피레스 등이 있다.

         가루깍지벌레
           
○ 학명(學名) : Pseudococcus comstocki (Kuwana)
               ○ 영명(英名) : comstock mealybug

 

 

약충과 성충

피해과

           (가) 기주식물
                  배나무, 사과나무, 감나무, 귤나무, 복숭아나무, 자두나무, 살구나무, 매
                  실나무, 포도나무, 무화과나무, 밤나무, 뽕나무, 호두나무, 미루나무, 단
                  풍나무 등
            (나) 생육단계
                  ① 알 : 알은 핑크색이며 가늘고 긴 달걀 모양이다. 크기는 0.5mm정도
                            이다. 알은 하얀 섬유질인 밀랍 속에 덩어리 상태로 존재한다.
                  ② 약충 : 부화 약충은 핑크색 내지 진홍색이며 잘 발달된 다리를 가지
                               고 있고 하얀 밀납 가루를 얇게 뒤집어쓰고 있다. 약충은 탈피
                               함에 따라 이동성이 적어지게 되며 몸 색깔은 핑크색 내지 진
                               홍색이지만 더 많은 밀랍가루를 뒤집어쓰게 되므로 하얗게 보
                               인다.
                  ③ 성충 : 암컷 성충은 날개가 없으며 크기는 5mm 정도이다. 약충과 마
                               찬가지로 하얀 가루로 덮여있다. 수컷 성충은 암컷보다 더 작
                               고 투명한 날개를 가지고 있다.
            (다) 생활사
                  골격 가지의 나무 껍질 밑이나 주간 부근의 낙엽 속에서 느슨한 섬유성
                  주머니 속에서 알 또는 부화 약충으로 월동한다. 월동 알은 4월 중·하
                  순부터 부화하여 잎자루나 꽃자루 틈, 가지의 절단부분 등에서 서식하
                  다가 6월 중하순에 1세대 성충이 된다. 6월 하순∼7월 상순경에 발생하
                  는 2세대 약충부터 과경을 통하여 봉지 속으로 들어가 과실 표면에서 즙
                  액을 빨아먹기 시작한다. 2세대 성충의 발생시기는 7월 하순∼8월 상순
                  경이며 9월 하순부터 발생하는 3세대 성충이 월동 알을 낳는다.

〔가루깍지버레 생화사〕

           (라) 피해와 진단
                  과수원에서 다른 과수원으로 퍼지는 속도는 느리지만 한번 감염된 과수
                  원에서 깨끗이 제거하는 것은 어렵다. 유목에서보다는 성목에서 문제가
                  큰데, 이것은 은신처가 많아 약제를 살포해도 방제가 어렵기 때문이다.
                  배나무의 가지와 과실에서 즙액을 빨아먹는데, 심하게 피해를 받은 과
                  실은 기형이 된다. 또한 당분이 많이 함유된 배설물로 인하여 그을음병
                  을 유발하며 피해 부위에 하얀 납물질을 분비하기 때문에 과실의 상품
                  가치를 떨어뜨린다.
            (마) 방제방법
                  ① 월동 직후 봄철에 가지의 거친 껍질을 긁어내고 기계유유제를 살포
                      한다.
                  ② 약충 발생 초기인 4월하순∼5월 상순, 6월하순∼7월 상순, 8월 중하
                      순에 적용 약제를 살포한다.
                  ③ 도장지가 큰 성목에서는 먹이조건이 좋고 살충제의 침투효과가 떨어
                      져 방제가 더 어렵기 때문에 시비관리와 전정 방법 등에 주의를 기울
                      인다.
                  ④ 풀잠자리, 무당벌레, 포식성노린재, 기생벌 등의 천적이 다수 존재하
                      기 때문에 이들 천적에 저독성인 약제를 살포한다.
                  ⑤ 방제약제로는 메프, 아조포, 아진포 등이 있다.

         애모무늬잎말이나방
         
○ 학명(學名) : Adoxophyes orana (Fisher von Roeslerstamm)
            ○ 영명(英名) : smaller tea tortrix

피해과실

         (가) 기주식물
                배나무, 사과나무, 살구나무, 복숭아나무, 자두나무, 차나무, 버드나무,
                장미 등
          (나) 생육단계
                ① 알 : 알은 잎의 표면 위에 50∼100개의 덩어리를 낳는다. 각각의 알
                          은 편평한 타원형이며 길이는 0.7mm 정도이다. 알 덩어리는 엷
                          은 황록색이며 부화 직전이 되면 유충의 검은색 머리를 각각의
                          알에서 볼 수 있다.
                ② 유충 : 어린 유충 단계에서는 다른 잎말이나방과 구분하기 힘들지만
                             유충이 자랄수록 구별이 쉬워진다. 가장 쉽게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은 머리 색깔의 차이로서 사과무늬잎말이나방과 사과잎
                             말이나방의 머리는 검은색이지만 애모무늬잎말이나방은 황갈
                             색을 띠고 있다. 다 자란 유충의 크기는 20mm 내외이다. 유충
                             은 동작이 매우 활발하여 놀라면 재빨리 몸을 꿈틀거리며 뒤
                             로 움직이며 피해 잎이나 과실 바깥으로 실을 토하며 도망간
                             다.
                ③ 용(번데기) : 피해 잎이나 과실에서 가느다란 실을 토하여 엉성한 고
                                     치를 짓고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된다. 번데기는 처음에
                                     엷은 녹색을 띤 갈색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색깔이
                                     진해진다. 모양은 방추형이고 크기는 8mm 내외이다.
               ④ 성충 : 담황색 또는 황갈색으로 길이는 8mm 정도이다. 앞날개 중앙
                            에 2줄의 갈색 선이 날개의 가운데에서 연결되는 모습을 하며
                            같은 빛깔로 된 다수의 가는 선이 그물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
                            다. 뒷날개는 엷은 갈색을 띤다.
          (다) 생활사
                어린 유충으로 가지 틈이나 거친 껍질 밑 등에서 하얀색의 얇은 고치를
                짓고 그 속에서 월동한다. 배나무의 발아시기에 월동 장소에서 나와 눈,
                꽃, 어린 잎 등을 가해한 후 번데기가 된다. 1회 성충의 발생시기는 6월
                중.하순이며 성충은 동작이 활발하며 주로 잎의 표면에 알을 덩어리로
                낳는다. 성충은 보통 1년에 3회 발생하는데 2회 성충은 7월하순∼8월상
                순에 발생하며 9월상·중순경에 3회 성충이 나타난다. 3회 성충이 낳은
                알에서 부화한 어린 유충은 잎과 과실을 짧은 시간동안 가해한 후 10월
                경에 월동 장소로 이동한다.

〔애모무늬잎말이나방 생화사〕

        (라) 피해와 진단
               배 과수원에서 발견되는 잎말이나방 종류는 애모무늬잎말이나방, 사과
               잎말이나방, 사과무늬잎말이나방, 큰사과잎말이나방 등이며, 이 중 애모
               무늬잎말이나방의 발생밀도가 가장 높아 피해가 크다.
               유충이 잎을 일차적으로 가해하지만 과실에도 피해를 준다. 봄에는 어린
               잎과 꽃을 함께 묶고 그 속에서 조직을 먹는다. 유충이 성숙함에 따라 신
               초로 이동하여 새로 난 잎을 묶어 은신처를 만들고 그 속에서 먹는다. 봉
               지를 씌우기 이전의 어린 과실을 가해하는데 주로 잎과 과실을 묶어 동
               시에 피해를 준다. 이 시기에 피해를 받은 과실은 매우 큰 상처가 남아
               기형과가 된다. 봉지를 씌운 이후에는 유충이 과경을 통하여 봉지 속으
               로 들어가 과실 표면을 얇게 갉아먹는다. 이때 피해를 받은 과실의 피해
               부위에는 갈색의 녹이 생기게되고 거칠어져 상품가치가 떨어지게 된다.
               애모무늬잎말이나방의 유충은 접촉자극이 있는 공간에 숨어서 가해하는
               습성 때문에 봉지를 씌운 배 과실에서도 피해가 크다.
         (마) 방제방법
               ① 눈의 인편이 탈락하는 시기부터 월동 유충이 활동하기 때문에 개화
                   직전에 적용 약제를 살포하며 낙화 후에는 다른 해충과 동시 방제한
                   다.
              ② 생육기 중에는 각 세대의 부화 유충의 최성기인 6월 하순, 8월 상순, 9
                  월 중순경에 각각 약제를 살포한다.
              ③ 기생벌, 기생파리 등과 같은 천적에 저독성인 약제를 살포한다.
              ④ 방제약제로는 아진포, 그로포, 나크, 델타린 등이 있다.

 

         복숭아순나방
        
○ 학명(學名) : Grapholita molesta (Busck)
           ○ 영명(英名) : oriental fruit moth

 

 

유    충

피 해 과 실

         (가) 기주식물
                배나무, 사과나무, 복숭아나무, 매실나무, 벚나무, 모과나무 등
          (나) 생육단계
                ① 알 : 알은 납작한 원형이며 처음에는 유백색이지만 부화 직전에는 황
                          갈색으로 변하며 유충이 비춰 보인다. 길이는 0.3mm 정도이며
                          낱개로 잎 또는 과실 위에 낳는데 발견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② 유충 : 알에서 막 부화한 유충은 1mm 정도로서, 머리가 크고 검은
                             색이며 가슴과 배는 유백색이다. 유충이 5번에 걸쳐 탈피를 하
                             여 다 자라게 되면 10∼13mm 정도가 되며 머리가 어두운 갈
                             색으로 변하고 몸 색깔은 붉은색이 가미된 황색을 띠게된다.
                ③ 용 : 거친 껍질 밑이나 틈 사이에 실을 토하여 긴 타원형의 고치를 짓
                          고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된다. 크기는 5∼7mm 정도이며 방추형
                          이다. 처음에는 갈색이지만 성충이 되기 직전이 되면 어두운 회
                          갈색으로 변한다.
                ④ 성충 : 성충은 길이가 5∼7mm 정도로서 전체적으로 흑갈색을 띠는
                             작은 나방이다. 앞날개는 흑갈색이고 앞날개 바깥쪽으로 7개
                             의 하얀 선이 있다. 뒷날개는 암갈색이며 배는 암회색이다.

〔복수아순난방 생활사〕


          (다) 생활사
                배나무의 갈라진 틈, 거친 껍질 밑 그리고 남아있는 봉지 잔재물 등에
                고치를 짓고 다 자란 유충으로 그 속에서 월동한다. 월동 유충은 3월에
                번데기로 되고 4월 상순부터 성충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신초 선단부에
                있는 잎의 뒷면에 알을 낳는다. 암컷 한 마리가 200개 정도의 알을 낳으
                며 알 기간은 3∼7일 정도이다. 유충 기간은 9∼17일이며 용 기간은 7
                 ∼13일 정도인데, 온도가 높을수록 발육기간은 짧아진다. 1년에 4회
                발생하는데 각 세대의 성충 발생최성기는 4월 하순∼5월 상순, 6월
                상,중순, 7월 하순∼8월 상순, 8월 하순∼9월 상순경이다. 유충은 과실
                과 신초를 가해하다가 9월 중순이후에 다 자란 유충이 되면 피해 부위를
                나와 월동 장소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라) 피해와 진단
                복숭아순나방은 중국이 원산인 해충으로 우리나라 배 과수원에 발생하
                는 심식충류 중에서 가장 발생량이 많고 피해가 크다. 유충이 과수의 신
                초와 과실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 조직을 먹는다.
                배나무 생육 초기에 알에서 부화한 어린 유충은 신초 선단부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면서 먹기 시작한다. 피해를 받은 신초는 선단부의 잎이 시
                들고 피해 부위 주변에서 배설물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시기에 일부 유
                충은 어린 배 과실 속으로도 뚫고 들어가 피해를 준다.
                배 과실에 본격적인 피해는 7월 이후에 발생하는 3, 4세대의 유충에 의
                해 받게 되는데, 과실이 성숙하여 과즙이 많아지게 되면 유충은 과경을
                통하여 과실 속으로 들어간다. 일부 유충은 과실과 봉지가 접촉하는 부
                분으로 직접 뚫고 들어가 피해를 준다. 과실의 피해 부분은 주변이 까맣
                게 변하며 썩게 되고 결국 낙과한다. 수확기에 접어들어 과실의 크기가
                커져 봉지가 찢어지면 그 부분으로 유충이 쉽게 침입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마) 방제방법
                ① 봄에 거친 껍질을 벗겨 월동 유충을 제거한다.
                ② 알에서 유충이 부화하는 시기인 5월 상·중순, 6월 중·하순, 8월 상
                    순, 9월 상순을 중심으로 각각 나방 전문 약제를 살포한다.
                ③ 피해 신초와 과실을 제거하며 수확 후 봉지 잔재물 등을 수거하여 소
                    각한다.
                ④ 방제약제로는 그로포, 아진포, 메프, 푸라치오카브, 프로치오포스 등
                    이 있다.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나무재배-서리피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유해조류  (0) 2007.12.28
배나무재배-저장병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생육기 병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저장중 생리장해  (0) 2007.12.28

병충해 방제 - 저장병해

저 장 병 해        
         
대부분 저장병해는 과수원에서 병원균에 의해 직접침입을 받는다.과실이
          이병 및 잠복감염된 상태로 저장되거나 과일표면에 부생적으로 존재하다가
          바람, 농작업이나 수송 및 유통 중 상처가 났을 때 침입하여 피해를 준다.
          (가) 병원균의 종류
                겹무늬병(Botryosphaeria dothidea), 탄저병(Collectotrichum sp), 검
                은무늬병(Alternaria alternata),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 푸른곰
                 팡이병(Penicillium sp.), 열매썩음병(Fusarium spp.), Cladosporium
                 sp., Phomopsis sp.가 조사 되었다.
          (나) 방제 : 가능한 저장온도를 낮추고, 습도를 조절하는 등 환경을 제어하여
                         방제하는 방법이 근본적이며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1) 저장용 과실은 수확전에 농약안전사용 기준을 준수해 약제를 살
                         포하여 균의 밀도를 낮춘다.
                     2) 저장용은 7∼10일 일찍 수확한다.
                     3) 저장고내 가스(에칠렌)는 조직을 연화시겨 병 발생을 유도한다.
                         따라서 환기는 에칠렌 가스를 줄이는 차원에서 꼭 필요하다.
                    4) 염화칼슘(4%), UV, 열처리 등을 하거나, 키토산과 같은 저항성 유
                        도물질을 처리하거나, 감마선과 같은 방사선도 수확후 농산물 부
                        패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별첨 1 : 병해충 클릭시 별도화면으로 제공 요망


병해충관리 및 방제력

 시기

병해

해충

종합관리

대상병해

방제
여부

대상해충

방제
여부

대상병해충

방제
여부

3

-

-

월동해충(기계유유제)

 

월동해충

선택
(필수)

-

-

-

-

-

-

월동병해
(석회유황합제)

선택
(필수)

-

-

월동병해

선택
(필수)

4

흑서병

필수

꼬마배나무인

필수

흑성병,꼬마배나무이

필수

적성병,흑성병

필수

-

-

흑성병

필수

적성병,흑성병

필수

복숭아순나방,콩가루벌가
루깍지벌레,꼬마배나무이

선택

흑성병,복숭아순나방
꼬마배나무이

필수

5

적성병,흑성병

필수

복숭아순나방,꼬마배나무이
콩가루벌레

필수

흑성병,복숭아순나방
꼬마배나무이

필수

흑성병

선택

진디물류

선택

 

선택

흑성병

봉지쓰우
기전필수

진디물류,응애류,콩가루
벌레

필수

흑성병,진딧물류,
콩가루벌레

필수

6

흑성병

선택

진디물,콩가루벌레

선택

진디물류,콩가루벌레

선택

흑성병

선택

복숭아순나방,진딕물,응애
류,콩가루벌레

선택

진디물류,
복숭아순나방

선택

흑성병

선택

복숭아순나방,콩가루벌레
잎말이나방류

필수

복숭아순나방,
잎발이나방류

필수

7

겹무늬병

선택

잎말이나방류

선택

기타병해,잎말이나방류

선택

겹무늬병

장마후
필수

응애류

선택

기타병해,응애류

필수

겹무늬병

선택
(필수)

복숭아순나방,잎발이나방
응애류

필수

복숭아순나방,응애류
잎말이나방류

필수

8

겹무늬병

선택

복숭아순나방,잎말이나방
응애류

필수

복숭아순나방,응애류

선택

겹무늬병

선택

복숭아순나방,잎말이나방
응애류

선택

흑성병,잎말이나방

선택

겹무늬병

선택
(필수)

잎말이나방,응애류,복숭아
순나방,통가루벌레

필수

복숭아순나방

필수

9

겹무늬병

선택
(필수)

복숭아수나방,깍지벌레,콩가루벌레,진딧물,잎말이나방

필수

복수아수나방

필수

-

-

잎말이나방류

-

-

 

-

-

-

-

-

 

10

-

 

 

 

 

 

월동병해방제

선택

월동해충방제

선택

월동전 병해충

선택

-

-

-

-

-

-

방제기준

* 신고만개일 4.15일 기준 : 병해는 예방, 감염초기 방제, 해충은 예찰방제
* 주요 병해충 : 흑성병, 적성병, 겹무늬병, 꼬마배나무이, 복숭아순나방, 콩
                        가루벌레, 깍지벌레류) 위주로 방제하고, 약량은 배나무 전
                        체가 묻을 수 있도록 충분히 살포(초기 200L, 봉지씌우기
                        직전부터 350-400L/300평)
* 개화기에서 봉지씌우기전까지 중점 방제 - 초기 방제
* 돌발 병해충과 문제병해충 발생시 문의후 약제살포
* 초생재배로 천적의 서식처 제공, 배수철저

별첨 2 :

배 주요 병해충 방제요령(국내고시농약)

       □ 검은별무늬병(黑星病)
          1. 방제시기 : 주로 인편 및 낙엽속에서 월동하므로 초기 방제가 중요하다.
                             석회유황합제 살포. 개화직전과 낙화직후에 전용약제를 살포
                             하고 발생이 심한포장은 꽃눈의 감염을 막기 위하여 9~10월
                             경에 10일 간격으로 1~2회 살포가 필요함.
           2. 방제약제: 리프졸, 지오판 리프졸, 카펜, 훼나리, 치람, 디치, 포리동, 가
                             벤다, 누아리몰, 디니코나졸, 디페노코나졸, 디페노코나졸·페
                             나자퀸, 마이탄, 만코지, 베노밀, 비타놀, 싸이프로코나졸, 트
                             리베이직쿠퍼설페이트·테부펜피라드, 펜코나졸, 헥사코나졸,
                             후루실라졸, 후루아지남, 훼나리·만코지, 프로코나졸, 테트라
                             코나졸, 이미녹타딘트리스 알베실레트, 아족시스트로빈
         □ 붉은별무늬병(赤星病)
          1. 방제시기 : 향나무가 전염원이므로 제거(200mm이내)하고 개화기 전후 1
                             개월간은 주의하고 병반초기 및 강우시 예방과 치료를 겸해서                             살포.
          2. 방제약제 : 지오판 리프졸, 훼나리, 할로스린 티디폰, 누아리몰·디치, 디
                             니코나졸, 디페노코나졸·페나자퀸, 마이탄, 비타놀, 헥사코나
                             졸, 트리아디메놀, 티디폰
         □ 검은무늬병(黑斑病)
          1. 방제적기 : 이십세기 및 신수에서 5월 - 9월하순까지 발생하나 신고와 황
                             금배는 저항성품종이므로 방제 불필요
          2. 방제약제 : 델란, 디치, 이프로, 포리동, 포리옥신
         □ 겹무늬병(輪紋病)
         
1. 방제시기 : 7∼8월경에 비가 올 때 비산하여 빗물을 타고 봉지 속으로 들
                            어갔다가 수확기때 과일에 급격히 나타나므로 장마기때 약제
                            살포하여 포자비산을 막는다.
          2. 방제약제: (고시약제 없음) 디치, 헥사코나졸
         □ 응애류
          1. 방제시기 : 5∼6월 엽당 1-2마리 7월이후 엽당 3~4마리 발생시 방제
          2. 방제약제 : 테디온, 펜부탄, 펜브로 테디온, 싸이헥사틴, 치아스, 디페코나
                             졸·페나자퀸, 트리베이직쿠퍼설페이트·테부펜피라드, 디코
                             폴, 아씨틴, 에이카롤, 클로르훼나피르, 테부펜피라드, 테부펜
                             피라드·푸라치오카브, 펜프로, 펜피록시메이트, 플루페녹수
                             론, 플루페녹수론·펜부탄, 피리다벤, 피리다벤·피리미포스메
                             칠, 나크, 델타린
         □ 진딧물류
          1. 방제시기 : 4월 중하순 이후 고밀도때 약제방제
          2. 방제약제: 그로포, 알파스린 그로프, 피리모, 할로스린·티디폰,
                            에스펜발러레이트, 푸라치오카브, 테부펜피라드·푸라치오카
                            브, 알파스린, 에스펜발러레이트·메프, 에토펜프록스·파프,
                            아미다클로프리드, 프탈로메스린, 프로싱
         □ 복숭아순나방
          1. 방제시기 : 성충발생기(4월하순∼ 5월 상순, 6월중순, 7월하순, 8월하순)
                             에 방제
          2. 방제약제 : (고시약제 없음). 데시스, 더스반.
         □ 복숭아심식나방
         1. 방제시기 : 6월상순부터 9월까지 예찰방제
          2. 방제약제: (고시약제 없음). 디메토.
         □ 가루깍지벌레류
           1. 방제시기 : 낙화후 20일 1세대 유충, 6월하~7월중 2세대 유충때 방제
           2. 방제약제: 아포진, 디메토, 부프로펜진, 메프
          □ 콩가루벌레
           1. 방제시기 : 4월중하순 월동난 부화기와 봉지씌우기전 방제.
           2. 방제약제 : (고시약제 없음).진딧물 전용약제

         □ 꼬마배나무이
           1. 방제시기 : 월동기 기계유제 및 개화직전과 낙화후에 동시방제
           2. 방제약제 : 이미다클로프리드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나무재배-유해조류  (0) 2007.12.28
배나무재배-충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생육기 병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저장중 생리장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과실의 생리장해  (0) 2007.12.28

병충해 방제 - 생육기 병해

          검은별무늬병 (黑星病, Pear Scab)
                         * 병원균 : Venturia nashicola Tanaka & Yamamoto
           (가) 기주범위 및 품종
             1) 기주범위 : 배나무
             2) 품    종 :신고, 만삼길, 황금배, 풍수, 행수, 장십랑 품종은 이병성이고
                             이십세기, 신수는 중간정도이며 감천배, 추황배, 신흥, 영산배
                             품종은 저항성이다.
          (나) 병 징 :

 

 

              
                눈의 비늘조각, 잎, 과실 및 햇가지 등에 발생한다. 눈을 싸고 있는 비늘
                조각의 녹백색부위에 1∼2개의 병무늬가 생기는데 분생포자가 형성되
                면 암흑록색으로 된다. 이 병무늬는 9월∼10월에 감염된 것으로써 병
                든 비늘조각이 탈락되지 않고 그대로 붙어 있는 경우 햇가지의 기부에
                도 흑색 부정형의 병무늬가 생기지만 나중에는 흑색 그을음 모양의 분
                생포자가 많이 형성된다. 이것을 춘형병무늬라고 하는데 봄부터 여름에
                걸쳐서 나타난다. 잎자루, 잎맥 및 잎살 등에 많은 양의 분생포자가 형
                성된다. 8월 하순부터 잎의 뒷면에 먹물을 칠한 것같은 병무늬가 나타
                나는데 봄에서와 같이 그을음 모양으로는 되지 않는다. 이것을 추형병
                무늬라고 한다. 어린 과실에는 5월 초중순경 과실의 일부가 황변하고
                그곳에 그을음 모양의 분생포자가 형성되며 열매자루에도 잘 나타나는
                데 이곳에 병이들면 일찍 낙과된다. 성숙과에는 단단한 딱지 모양의 병
                무늬가 생기기도 하고 과실이 열과되는 것도 있다.
                햇가지의 병무늬는 흑색의 둥근 모양이며, 나중에 흑갈색의 타원형으로
                변하고 표면에 그을음 모양의 분생포자가 많이 형성된다. 나중에 병무
                늬는 괴사되면서 퇴색되고 나무껍질과 유사한 색깔을 나타내고 포자는
                유실된다. 건전부와 병환부의 경계에 틈이 생긴다.
          (다) 발생생태와 발병환경 : 병원균은 낙엽 또는 눈의 비늘 속에서 월동한
                다. 자낭각의 형성은 2월 하순경부터 시작되며 자낭포자는 4월상순에
                성숙되기 시작해서 4월 중순이후에 비가 오면 비산되어 제1차 전염원
                이 된다. 또 전년 가을에 눈이 비늘 속으로 침입되어 감염을 일으킨 부
                위에서는 봄에 분생포자가 형성되어 제 1차 전염원이 된다. 잎에 대한
                감염적온은 15∼20℃이며, 최저 8℃, 최고는 28℃정도로서 물이 있을
                때 48시간 이내에 침입이 끝나며, 잠복기간은 전개 5∼6일된 어린잎은
                7∼10일, 성엽은 최고 35일, 통상 15∼16일이나 전엽후 1개월이 지난
               잎에는 거의 감염되지 않는다. 병원균은 각피 침입후 포복균사로 자라면
               서 자좌모양으로 발달하고 분생자경을 만들고 분생포자가 형성되는 5
                ∼6월에 심하고 여름에는 일시 중지되었다가 가을에 눈이 발생하게 되
               면 다시 나타나며 10월까지 계속된다.
         (라) 방 제
           1) 경종적 방제
                가) 병든 낙엽과 가지는 1차 전염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전정시 병든 가지 및 낙엽은 반드시 제거하여 땅속에 묻던가 불에
                     태운다.
                나) 검은별무늬병에 요소와 같은 질소질비료를 가을에 시비했을 때 낙
                     엽이 더 빨리 부식화되어 자실체인 위자낭각(pseudothecia) 생성
                     율을 낮춘다.
               다) 다비재배를 피하고 가지가 무성하지 않도록 키운다.
           2) 화학적 방제법
               가) 인편이 2∼3㎜ 이상 나왔을 때 즉 꽃이 인편에 숨어 있을 때 석회유
                    황합제 5∼7도액을 살포하여 병원균 수를 줄인다.
               나) 개화기부터 낙화기까지는 열매 및 잎이 병원균에 쉽게 침입 할수 있
                    으므로 강우 직후에 습도가 95%이상 지속되는 시간이 12시간 이상
                     일 때 꼭 전문약제를 살포해야 한다. 전문약제로는 훼나리, 시스텐,
                     헥사코나졸, 트리후민 등이 있다.
                다) 낙화기 이후 약제방제는 열매 및 잎이 25∼30일 정도 자란 조직에
                     는 병원균의 침투가 힘들므로 봉지 씌우기전까지 지속전인 강우시
                     살포한다.
                라) 가을방제(낙엽 10∼15일전)는 꽃눈의 비늘속으로 병원균이 침입하
                     여 다음해의 전염원이 되므로 이시기에 예방위주로 1∼2회 살포한
                      다.

         붉은별무늬병 (赤星病, rust)
                        * 병원균 : Gymnosporangium asiaticum Miyabe & Yamada
          (가) 기주 및 중간기주식물
             1) 기주식물 : 배나무, 모과나무, 산사나무, 명자나무
             2) 중간기주식물 : 가이즈가향나무, 금반향나무, 참향나무, 섬향나무, 연필
                                      향나무, 단천향나무
          (나) 병 징 :

 

               배나무에는 어린 잎, 어린 열매, 햇가지에 발생한다. 잎에는 처음 등황색
                의 아주 작은 점무늬가 생기고 커지면서 나중에 그 위에 많은 과립체(녹
                병자기)를 형성한다. 이 과립체는 점차 검은색으로 변하고 단맛이 있는
                끈끈한 물질을 분비한다. 등황색의 점무늬가 생긴지 약 1개월 후의 병무
                늬 뒷면에는 회색-자갈색의 모상체(녹포자기)가 생겨 이것이 나중에 엷
                은 누른색으로 변한다. 개화기를 전후해서 비가 자주 오면 어린 열매와
                햇가지에도 잎에서와 비슷한 병징이 생기는데 나중에 모상체로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 발생생태와 발병환경 : 병원균은 4∼5월까지 배나무에 기생하고 6월 이
                후에는 향나무류에 기생하며 여기서 균사의 형태로 월동한다. 4∼5월에
                비가오면 향나무에 형성된 겨울포자퇴는 불어서 젤리처럼 되고 이 때에
                겨울포자는 발아하여 소생자를 형성하게 된다. 이 소생자가 바람에 의해
                서 배나무로 옮겨지게 되고 어린 잎, 햇가지 및 열매 등의 각피 또는 기
                공을 통해서 침입하며 잠복기간은 8∼9일이다. 전엽후 25일 이상이 경
                과된 잎은 병에 걸리지 않는다.
                향나무에 생긴 겨울포자퇴의 겨울포자가 발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비
                가 와야한다. 강우량은 많을수록 좋으나 강우의 지속시간이 적어도 6
                ∼8시간 이상이어야 한다. 겨울포자의 발아 최적온도는 13∼20℃이고
                7℃이하 또는 30℃이상에는 발아하지 않는다.
          (라) 방 제
                1) 경종적 방법 : 배나무 재배지역에서는 향나무류의 식재를 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적어도 1㎞이상 격리시키는 것이 안전하다.  
                2) 약제방제 : 향나무 벌체가 불가능 할 때는 동포자 발아전인 4월 상중순
                                   경에 중간기주인 향나무류에 전문약제를 살포한다. 개화기
                                   전후 1개월간은 특히 주의하고 적기에 예방처리하면 방제가
                                   간단한 병이므로 검은별무늬병 방제 약제인 훼나리, 시스텐                                   등을 살포하므로 동시방제가 가능하다.

         검은무늬병 (黑斑病, Leaf spot)
                     * 병원균 : Alternaria gaisen(kikuchiana) Tanaka 
            (가) 기주식물 및 품종
              1) 기주식물 : 배나무
              2) 품 종 : 이십세기, 신수는 이병성이고, 신고, 황금배, 감천배, 추황배 등
                            은 저항성이다.

           (나) 병 징 :

 


                   잎에서의 초기병징은 주로 어린잎(신초 위쪽)에서 볼 수 있는데 작은 원
                   형, 또는 부정형의 흑색 점무늬로 나타난다. 병반이 확대되면서 흑갈색
                   으로 되고 윤문이 생긴다. 잎맥에 발생하면 일찍 낙엽이 된다. 열매자루
                   에 발생하면 열매가 시들고 누렇게 되며 낙과를 초래한다. 열매에는 잎
                   의 병반보다 큰 흑갈색의 원형병반이 생기고 동심윤문이 나타나며 중앙
                   부에 흑색 곰팡이가 밀생하는데 이와 같은 열매는 경화 및 열과되어 낙
                   과된다.
            (다) 발생생태와 발병환경 : 병원균은 병든 잎, 말라죽은 눈, 가지, 새가지 등
                  에서 균사상태로 월동한다. 봄이 되면 병반부위에 분생포자를 형성하
                  여 전염한다.  분생포자는 바람과 비에 의하여 비산되며 잎, 새  가지,
                  열매의 표면에서 발아하여 각피를 관통하거나 기공 및 피목을 통하여
                  침입한다. 1차감염은 4월중순∼5월중순에 어린잎, 꽃잎에서 시작되며
                  6∼7월에 비가 계속 내리면 발병이 급격히 증가한다. 잠복기간은 매우
                  짧아서 어린 잎에서는 24시간 이내에 병징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성숙한 잎은 저항성을 나타내어 전개후 1개월 이상된 것은 발병
                  이 어렵다. 습도가 높을경우 병반위에는 2∼3일이 지나면 다시 분생포
                  자가 형성되며 잎의 병반위에서 증식한 포자는 월동한 병반위의 포자와
                  더불어 잎, 새가지의 전염원이 된다. 한여름 고온이 계속될 때는 발병이
                  줄어들지만 10월까지 계속해서 발생한다. 열매의 발병은 5월 중하순경
                  부터 눈에 띄기 시작하며 열매의 병반위에는 아주 많은 포자가 형성되
                  기때문에 과수원내의 포자농도는 6월이후 급격히 높아진다. 봉지를 씌
                  운  후의 열매 감염은 열매자루로부터 빗물과 함께 들어가서 이루어지
                  기도 한다. 발병 최적온도는24∼28℃이며 습한 기후가 계속될 때 병의
                  발생이 심하다.
            (라) 방 제
              1) 경종적 방법
             가) 감수성 품종(이십세기, 신수)의 재배를 피하고 저항성 품종(신고, 황금
                  배, 감천배, 추황배, 장십랑)등을 재배한다.
             나) 병든 가지나 병든 잎을 제거하고 소각함으로써 과수원내의 전염원을
                  없앤다.
             다) 병에 걸리기 쉬운 품종은 열매의 감염을 줄이기 위해서는 낙화직후 작
                  은 소봉지를 씌우고 다시 2중봉지를 씌우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2) 화학적 방법
             가) 월동 직후 석회유황합제를 살포하고 이병성 품종(신수, 이십세기) 재배
                  시 검은무늬병은 어린조직에만 감염되므로 신초가 자라는 7월초순까지
                  약제살포한다.
             나) 방제 약제로는 이프로수화제, 포리동수화제, 디치수화제, 포리옥신수
                  화 제 등을 살포한다.

         겹무늬병 (輪紋病 : Pear ring spot, Blister canker)
                  * 병원균 : Botryosphaeria dothidea Nose
          (가) 기주범위 및 품종
             1) 기주범위 : 배나무, 사과나무 등
             2) 품    종 : 행수, 신흥, 석정조생에 많이 발생되고 장십랑, 이십세기, 신
                              흥, 신수 등은 가지에 많이 발병된다.
           (나) 병 징 :

 

                잎, 과실, 가지 등에 발생하나 과실과 가지의 피해가 크다.  포장에 있
                 어서의 과실의 발병은 8월 중순 이후에 나타나며 9월 중순에 가장 많
                 다. 처음 과점을 중심으로 갈색의 작은 점무늬가 생기며 그후 단기간
                 내 에 확대되면서 겹무늬 모양의 습윤상태로 되는 과면은 약간 음푹 들
                 어간다. 한 개의 과실에 보통 2∼3개의 병무늬가 생기나 경우에 따라서
                 는많이 생길 때도 있다. 병무늬 크기는 5∼15mm의 것이 많으나 때로
                 는  25mm이상의 것도 있다. 병무늬속의 과육은 엿빛이고 무름상태이
                 다.
                 또 병무늬가 늦게 나타나는 경우에는 수확후에 발병되는 것도 있으므
                 로 수송 또는 저장중의 병으로서도 중요시 된다.
                 가지에서의 발병은 주지, 아주지 등에 많이 발생되며 표피에 사마귀 모
                 양의 돌기를 형성한다. 1년생∼2년생 가지에도 발생하는데 만두모양이
                 며 크기는 2×3∼5×12mm정도이고 표피와 같은 색깔을 나타낸다. 대부
                 분의 표피에 산재하나 모여있는 경우도 있다. 가지의 하면보다는 상면
                 에, 단과지, 꽃눈의 기부 등에 많이 형성된다. 사마귀 모양의 돌기는 착
                 생후 나무의 생장기에 비대해지며 나중에는 돌기 주변의 조직이 갈색
                 으로 변하면서 약간 낮아지고 건전부와의 경계에 틈이 생기고 크기
                 20mm 정도의 병무늬를 형성하며, 병환부에는 작은 흑점(병자각)이 생
                 긴다.
           (다) 발생생태와 발병환경 : 전염원은 가지나 줄기의 사마귀상 돌기에 생긴
                 병자각 또는 자낭각에 형성된 포자이다. 병포자의 분출기간은 오래된                

                병무늬에서는 2∼11월, 새로운 병무늬에서는 6∼11월이나, 특히 분출
                 이 많은 것은 7월 상순∼9월 상순이며 9월 하순이후는 급히 줄어든다.
                 포자는 빗물에 의해서 전파되며 5∼11mm 정도의 강우시에는 포자밀
                 도가 가장 높다. 과실에 대한 감염은 낙화 직후부터 시작되어 8월 상순
                 까지 계속되나 5∼6월에 가장 많다. 어린 과실의 표면에 부착된 병포자

         줄기마름병 (胴枯病, Die-back)
               * 병원균 : Phomopsis fukuskii Tanaka & Endo
          (가) 기주식물 : 배나무
          (나) 병 징 :

 


                 줄기와 가지에 발생한다. 처음에는 불규칙한 타원형, 수침상의 병
                 무늬가 암갈색을 나타내면서 생기고 나중에 마르면 건전부와 경계
                 부위에 틈이 생기고 적갈색으로 된다. 병세가 진전되면 병무늬 표
                 면에 흑색의 과립체(병자각)가 밀생하며 나무껍질이 거칠게 된다.
           (다) 발생생태와 발병환경 : 병원균은 균사로 월동한 다음 봄에 병무늬
                 에 병자각을 만들고 자낭각은 가을에 형성된다. 물기가 있을 때 포
                 자각을 만들어 빗물에 의해서 포자는 흩어지며 상처를 통해서 식
                 물체에 침입한다. 이 병은 한해, 가뭄해, 질소비료의 과잉 또는 배
                 수가 나쁜 토양에서 발생이 많고 특히 고접갱신, 강전정 및 행수의
                 장과지 이용시 병의 발생이 많다.
           (라) 방 제
                 ① 경종적 방법
                가) 배나무 묘목을 식재할 때는 가뭄의 피해를 받지 않도록 배수가
                     잘되는 땅에 심도록 한다.
                나) 상처부위를 통해서 병원균이 침입하므로 가지치기 이후에는 상
                     처부위를 치료할 수 있는 약제를 살포하여 병원균의 침입을 막
                     는다.
                다) 나무가 웃자라면 겨울에 동해를 받아 병원균이 침입하기 쉬우므
                     로 균형 시비하여 나무를 튼튼히 키우고 특히 질소비료를 많이
                     주어서는 안된다.
                라) 병든가지는 빨리 제거하여 다른 가지로 전염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② 약제방제
                가) 동계약제(석회유황합제)를 철저히 살포한다.
                나) 병든부위를 깎아내고 지오판 등 도포제로 발라준다.

         붉은가지마름병 (Nectria canker, Nectria twig blight, Coral spot)
                       * 병원균 : Nectria cinnabarina(Tode) Fr.
          (가) 기주식물 : 배나무, 사과나무, 밤나무, 호도나무, 뽕나무, 차나무 등
          (나) 병 징 :

 

                잔가지에 많이 발생하나 심하면 굵은 가지에도 발생한다. 처음에
                 는 피해부에 수침상의 흑색 소형반점이 형성되고, 병환부가 마르면서
                 흑갈색 또는 갈색으로 변한다. 병징은 확대되어 수 cm 크기 로 형성되
                 며, 건전부와의 뚜렷한 경계층이 형성되고, 심하면 수세가 약해진다.
                 병반상에는 다수의 홍색 내지 적갈색의 소립점(자낭자좌)을 형성하는
                 데 마치 산호모양처럼 형성된다.
           (다) 병환과 발병환경 : 병원균은 이병지에서 형성된 자좌속에서 자낭
                 포자와 분생포자 형태로 월동하여 1차 전염원이 된다. 3∼5월에 알맞
                 은 온도와 충분한 습도가 주어지면 자좌가 부드러워지고, 분생포자와
                 자낭포자는 강한 비바람에 의하여 다른 곳으로 전파된다.
                 기주에 전파된 병원균은 주로 전정 상구나 동해, 다른 병해 혹
                 은 해충 가해부위로 침입하여 발병되며, 4∼6월과 9∼10월에 피해 가
                 크다. 주로 봄과 가을에 많이 발생한다.
           (라) 방 제
              1) 비배관리를 철저히 하여 수세를 좋게 한다.
              2) 동상해의 피해지와 병해충지를 제거하고 동해나 병해충이 발생하
                  지 않도록 관리를 철저히 한다.
              3) 작은 가지의 발생지는 잘라 소각하고, 굵은 가지의 병반은 부란병
                  방제처리와 같이 환부를 도려내고 도포제(톱신페스트, 발코트 등)
                  를 바른다.
              4) 붉은가지마름병에 고시된 약제는 없으므로 배나무 검은무늬병 약
                  제인 포리동수화제, 겹무늬병 약제인 베노밀, 비타놀수화제 등을
                  살포할 때 가지가 흠뻑 젖도록 약제를 충분히 살포한다.

         역 병 (疫病, collar and fruit rot)
                   * 병원균 : Phytophthora cactorum Schreenk
           (가) 기주범위 및 품종
             1) 기주범위 : 배, 사과, 복숭아 등
             2) 품    종 : 추황배, 풍수, 신고, 감천배는 감수성이며 행수, 감로, 선황은                              중간정도, 장십랑, 만수, 황금배, 만풍배, 원황은 저항성이고
                              화산은 극저항성이다.
          (나) 병 징

 

 

 

 

 

 


            1) 줄기 : 주로 1년생 묘목에 발생이 많으며 성목은 대체로 역병에 저항성
                         이다. 지제부 줄기는 흑갈색으로 썩으며 부정형의 큰 병반은 줄
                         기 둘레 전반에 나타나고 위로 진전되는데 토양이 장기간 과습하
                         면 수침상의 병반이 건전부위와 불분명하게 나타난다.
             2) 잎 : 흑갈색의 큰 병반이 부정형으로 확대되는데 대개의 경우 1개의 잎
                       에 1∼3개의 병반이 형성된다.
             3) 가지 : 주로 1년생 가지에 발생이 많지만 2∼3년생 가지에도 발생된다.                    
                          병원균은 세포분열이 왕성하고 부드러운 조직인 화총 형성부위
                          로 가장 용이하게 침투하는데 일단 감염되면 화총 전체는 검게
                          고사하고 화총 생성 부위의 가지는 흑갈색의 큰 부정형 반점이
                          형성된다.
          (다) 발생생태와 발병환경 : 병원균은 주로 병든 부위에서 균사나 난포자 형
                태로 월동하여 다음해 1차전염원이 되며, 토양중에서도 난포자 형태로
                2년이상 생존하여 전염원이 될 수 있다.  병반에서 분출된 병원균은 빗
                방울에 튀어 땅 가까운 과일에 이병되기 시작하고 점차 상부 과일로 전
                파된다. 과일이나 가지의 이병부는 알맞은 온도(25℃ 전후)와 습도가 주
                어지면 병반상에 유주자낭이 형성되어 2차전염원이 된다.
                장마가 오래 계속되는 해에 많이 발생하고  봄에 피해가 크며 한여름에
                는 진전이 억제된다. 습하고 배수가 불량한 토양에서 병발생이 심하며
                한번 발생하면 방제가 매우 어렵다. 지면에서 가까운 부분은 비교적 음
                습하여 병발생이 유리하고 밀식하거나 나무가 쇠약하면 피해가 크다.
         (라) 방 제
           1) 경종적 방법
          가) 밀식을 피하고 과원에 통광과 통풍을 좋게 한다.
          나) 배수가 잘 되도록 한다.
          다) 병든 가지나 줄기, 잎, 등은 반드시 한곳에 모아 소각한다.
          라) 초생재배나 보리 및 볏짚 등으로 피복한다.  
           2) 화학적 방법
          가) 줄기나 주지에 발생한 경우에는 병든 부위의 껍질을 칼로 벗겨
               내고 성목은 도포제나 역병약제를 발라주어 병진전을 막는다.
          나) 동계약제(석회유황합제)를 철저히 살포한다.
          다) 국내에는 아직 배역병에 고시된 전문약제는 없고 외국에서는 캡탄수화
               제, 신도판, 포롬, 후루아지남을 살포한다.

         탄저병 (炭疽病, Anthracnose)
                  * 병원균 : Glomerella cingulata Spauld & Schrenk
          (가) 기주범위 : 배나무, 사과나무, 포도나무, 복숭아나무 등
          (나) 병 징 :

 

  
                 잎, 가지, 과실에 발생한다. 잎(탄저병)에는 처음 적색 내지 갈색의
                 작은 원형병반을 형성한다 병반이 점차 진전되면서 회백색이 되고
                 윤문이 생기기도 한다. 그 후에 병반 표면에 녹갈색의 작은 입자(분
                 생자층)가 형성되며 이 입자들은 점차 흑색으로 변한다. 열매에서는
                주로 숙과에 발생하며 드물게는 가지에도 발생한다. 처음 열매 표면
                 에 갈색의 작은 병반을 형성하고 점차 확대되면서 직경2∼3㎝의 병
                 반으로 된다. 이 병반은 수침상으로 함몰되며 그 표면에 작은 입자
                 (분생포자층)를 윤생하고 이 입자위에 담홍색의 점질물(포자퇴)을
                 분비한다.
           (다) 발생생태와 발병환경 : 병원균은 주로 균사 및 포자의 형으로 병든
                  잎이나 열매, 가지에서 월동하여 다음해의 전염원이 된다. 늦봄으
                  로부터 여름에 걸쳐 비가 오거나 다습하면 병든 잎이나 가지에 점액
                  질의 분생포자가 형성되고 빗방울에 의하여 전염된다. 또한 열매의
                  병반에 형성된 점액질의 분생포자도 빗방울이나 곤충에 의하여 전
                  파된다.
            (라) 방 제
              1) 병든 잎과 병든 열매를 제거하고 모아서 소각한다.
              2) 비배관리에 주의하여 수세를 강하게 한다.
              3) 열매 감염을 줄이기 위하여 봉지 씌우기를 한다.
              4) 비오기 전 또는 후에 약제를 뿌린다. 방제약제로는 만코지, 디치,
                  가 벤다 등이 있다.

          배나무잎검은점병 (구:이상반점, Pear black necrotic leaf spot )
                   * 병원균 : Apple stem grooving virus, Capillovirus
          (가) 기주품종 : 신고, 황금배, 영산배, 만삼길은 이병성이고, 장십랑, 감천
                               배, 추황배, 만삼길, 풍수는 저항성 품종이다.
          (나) 병 징 :

 

                 이 병은 도장지 기부의 잎과 과총의 잎이 점차 자라나 성엽이 경화
                  되면서 병징이 나타난다. 초기에는 잎 표면에 투명하게 보이는 황
                  색반점이 나타나기 시작하다가 점차 적자색으로 변하면서 곧 흑갈
                  색이 된다. 흑갈색 반점은 시일이 지나면서 갈색으로 색택이 옅어
                  지며 후기에는 점차 회백화되어 조직이 고사하고 구멍이 생기기도
                  한다. 발생초기에는 주로 타원형 또는 부정다각형의 반점이 잎의
                  가장자리나 소엽맥 주위에서 발생하며 시간이 지나면서 그 증세가
                  심해져 잎 전체로 번진다. 반점의 크기는 초기에 직경이 0.9∼ 2.5mm
                  의 범위(평균 1.47mm)로, 일단 발생하면 대부분 더 이상
                  커지지는 않는다. 이때 반점 부위는 함몰되며 경계가 뚜렷하다. 발
                  병이 심해질수록 작은 반점이 합쳐져 큰 반점이 되고 점차 불규칙
                  한 병무늬로 확대되며 초기에 발생한 잎은 반점부위가 찢어지고
                  지저분해진다. 가을에 발생하는 잎은 주로 여름에 자란 잎에서 발
                  생하는데 황색반점이 적자색에서 흑갈색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기
                  온이 15℃이하고 떨어지는 시기에 도달하면 흑갈색으로 변하지 못
                  하고 잎에 그대로 황색과 적자색으로 남아있다.
            (다) 발생생태와 발병환경 : 이 병의 발생시기는 기부의 잎이 성엽이 되어
                  굳어지는 시기다. 즉 중부지방은 5월 중·하순경에 반점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초에는 20 ∼30%의 발병율에 달한다. 6월 중·하순에는
                  발병의 최대치에 이르며 7월이 되어 기온이 올라가면 발생이 정지된
                  다. 이 상태가 8월까지 계속되다가 기온이 서늘해지는 9월하순부터 다
                  시 발생하기 시작하여 10월 중순까지 계속된다. 발병의 최적온도 조건
                  은 주간 23∼25℃ 야간에는 17∼19℃이다. 이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발병하지만 병징발현은 늦어진다. 또한 주간에 29℃이상되는 날이 계
                  속되면 발생이 정지된다. 가지별로 반점 발생 위치를 보면 신초당 대
                  체로 3/4이하의 기부에서 발생이 많고 선단부에서는 발생이 적다. 일
                  단 한번 발생한 나무에서는 매년 발생하게 된다. 대체로 나무전체에
                  발생하지만 몇 개의 가지에 한정해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본 병은
                  고접갱신한 과수원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병된 접수
                  로부터 전염된 것으로 생각된다.
            (라) 방 제 : 배나무잎검은점병은 현재 시판되는 어떠한 약제로도 방제하거
                  나 예방할 수 없다. 그러므로 무병묘목을 생산해서 심고 잘 관리하는
                  것이 최상의 방법이다. 다만 해에 따라서 발병정도가 차이가 나는데
                  이는 강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발병정도는 토양관리(수분)
                  를 잘하며 어느정도 약하게 할 수 있다.

          흰날개무늬병 (白紋羽病, Pear white root rot)
                     * 병원균 :  Rosellinia necatrix (Hartig) Berlese
           (가) 기주범위 : 배나무, 사과나무, 포도나무, 감나무, 복숭아나무, 자두나
                                 무, 매실나무, 살구나무, 밤나무 등 거의 모든 과종을 침
                                 해한다.
           (나) 병 징  

 

            1) 지상부 병징 : 일반적으로 사과 나무의 병징처럼 급격히 나타나지 안
                 으며 발병 초기에 나타나는 증상은 건전한 나무에 비하여 낙엽이 빠
                 르고, 착과량이 많으며 과실의 비대가 현저히 떨어진다. 병이 점차 진
                 행되면 잎이 황화되며 후기에는 검게 변한다. 신초의 생장이 억제되
                 고 꽃눈 분화가 많아진다. 병이 심해지면 신초의 생장은 급격히 나빠
                 지고 수세의 쇠약이 현저해 지며 최후에는 나무 전체가 고사하게 된
                 다.
             2) 지하부 병징 : 심하게 피해를 받은 나무의 뿌리는 이 병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흰색의 균사막으로 싸여 있으며 이 균사막은 시간이 경과
                 하면 회색 내지 흑색으로 변한다. 굵은 뿌리의 표피를 제거하면 목질
                 부에 백색 부채모양의 균사막과 실모양의 균사속을 확인할 수 있다.
           (다) 병환과 발병환경
                    흰날개무늬병은 항상 토양수분이 과습한 토양조건(70%이상)에서 발
                    생이 잘된다. 토양에 부숙되지 않은 전정가지 같은 유기물을 시용하
                    면 병원균이 증식하여 병 발생이 급격히 증가된다. 병원균은 포자를
                    형성하여 전염되는 일은 드물고 주로 균사나 균사속으로 전염된다.
                    나무의 뿌리에 발생하므로 나무가 고사할 때까지 계속하여 발병된
                    다. 생육온도 범위는 20∼29℃이나 최고온도는 35℃, 최적온도는
                     20∼25℃, 최저온도는 10℃내외로 알려져있다.
             (라) 방 제 : 토양병해는 뿌리와 관계가 있다. 강전정, 과다결실, 과도한 건
                             조를 피해하고, 배수를 철저히 하고 유기물(부숙 퇴비)를 시
                             용하여 뿌리의 생장을 최대로 하는 것이 좋다. 최근 전정가지
                             를 잘게 부셔 땅속으로 시용하는 농가에서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렇게 토양속으로 유입된 전정지는 토양 병원균의
                             생존을 도와 오히려 토양병해 발생을 조장할 수 있으므로 토
                             양 위에 시용하여 부식되게 하는 것이 좋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과수 흰날개무늬병 방제약제로 등
                             록된 농약이 없으나 외국에서는 지오판, 베노밀수화제와 이
                             소란입제 등이 등록되어 방제에 이용되고 있다. 이들 약제에
                             대한 처리 방법 및 우리나라에서의 사용 가능성이 현재 검토
                             중에 있다.
                   1) 치료법
                  가) 뿌리를 완전히 노출시킨 다음 병든 뿌리를 제거한다.
                  나) 뿌리 부근에 약제를 처리한 후 복토할 흙에도 약을 혼합하여 복토한
                       다.
                  다) 처리량은 수화제의 경우 성목1주당 100∼300ℓ, 입제의 경우 1∼3㎏
                       정도이다.
                  라) 치료 후 복토할 때 완숙퇴비를 시용하면 한층 효과가 높다.
                   2) 치료후의 관리
                  가) 수세 회복을 위하여 알맞는 적화 및 적과를 실시한다.
                  나) 적절한 시비관리 및 엽면시비를 실시한다.
                  다) 대목 또는 묘목을 기접하여 빠른 수세회복을 꾀한다.
                  라) 유기물 시용량을 늘리고 관배수 관리를 철저히 하여 급격한 수분의 변
                       화를 막아준다.
                  마) 재발병 유무를 수시로 관찰하여 재발한 경우에는 다시 치료를 실시해
                       야 한다.

          뿌리혹병 (根頭癌腫病, Crown gall)
                 * 병원균 : Agrobacterium tumefaciens (E.F.Smith &  Townsend)Conn.
            (가) 기주식물 : 배나무, 사과나무 등
            (나) 병징 :

 


                  병원균의 침입에 의해 혹이 발생하며 크기는 지름이 수㎜ 이상으로 발
                  생부위는 주로 뿌리 및 지제부밑의 줄기에 발병되나 가끔 지상부 줄기
                  에 상처를 통해 발병하기도 한다.
            (다) 병환과 발병환경 : 뿌리혹은 병원균이 식물에 침입하여 병원균이 가지
                  고 있는 Ti-plasmid를 식물세포에 전이시킴으로서 형성되며 뿌리혹에
                  병원균이 없더라도 뿌리혹은 계속 발달하게 된다. 그리고 또한 병원균
                  은 이병식물에서 건전식물 또는 토양으로 계속 전파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이병토양에서 빗물, 농기구, 바람, 곤충, 동물 및 묘목 등에 의하
                  여 쉽게  인근 건전식물로 전파가 가능하다. 최초 감염된 식물은 온도
                  가 20℃이상에서는 2∼4주일후에 작은 혹을 형성하며, 15℃이하에서
                  는 혹 형성이 지연되고 또한 적당한 온도가 될 때까지 잠복되어 있기
                  도 한다. 과수원을 조성할 때의 먼저 재배한 작물에 따라 피해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데 전작물이 포도, 복숭아나무, 딸기, 장미 등 이병성
                  작물을 재배한 포장에서는 피해가 심하게 나타난다.
           (라) 방제
              1) 묘목을 심기전에 병든 묘목을 제거시키고 스트렙토마이신 등 항생제
                  액에 침지 후 심는다.
              2) 이병식물은 발견 즉시 제거 소각시키고 흙을 훈증소독한다.
              3) 발병되었던 장소는 4∼5년간 재배하지 않는다.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나무재배-충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저장병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저장중 생리장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과실의 생리장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수체의 생리장해  (0) 2007.12.28

생리장해 - 저장중 생리장해

         과피흑변

 

 

 

그림. 심고 과실의 과피흑변

           가) 증상
                 배 과피에 생기는 매우 짙은 흑색의 반점으로 초기에 깨알정도의 크기에
                 서 시작하여 점차 확대된다. 과피흑변 과실은 식용에는 지장이 없으나
                 외관이 나빠져서 상품가치가 떨어진다. 금촌추에서 주로 발생하며 금촌
                 추 품종의 피를 받은 신고, 추황배, 영산배 등에서도 발생한다.
          ( 나) 발생원인
                 과피흑변 현상은 과피 부분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
                 (Polyphenol)이라는 물질이 저온 다습 조건에서 산화효소인 폴리페놀옥
                 시다제(polyphenol oxydase)의 작용을 받아 흑갈색으로 변색하여 발생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현재까지 알려진 과피흑변의 발생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① 금촌추 품종의 피를 받은 품종에서 발생한다.
                     ② 저장온도가 낮은 저온저장(0∼5℃)조건에서 발생하며 상온 저장
                         시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③ 저장고내 상대습도가 높을 때 발생율이 높다(표 10-4).
                     ④ 봉지를 씌워 재배한 과실을 저장하였을 때 발생하며, 빛의 투과가
                         적은 봉지일수록 심하게 발생한다.
                     ⑤ 수확시기가 늦거나 너무 일찍 수확한 과실을 저온저장하였을 때
                         발생율이 더 심하다.
      (표 10-4) 저장 온도와 습도에 따른 과피흑변 발생(신고, '92. 과수연)

구분

저온저장

저장습도

상온저장

(3∼5℃)

70~80(%)

포화습도

과피흑변과
발생율(%)

0

38.6

14.0

26.0

         (다) 방지대책
             1) 수확 후 예건(豫乾)
                 수확한 과실을 상온(15∼20℃) 통풍조건에서 7∼10일 정도 야적처리
                 하는것이 효과적이다. 10일 이상 쌓아 두었다가 저온저장하면 과피흑
                 변 발생이 감소된다. 통풍이 잘되는 그늘진 곳에 비닐을 깔아 토양습기
                 를 차단한 후, 수확용 프라스틱 상자에 봉지를 벗기지 않은 배를 담아
                 층층이 쌓아 올린다. 그 위에 비닐을 덮어 빗물을 막고 차광을 한다. 옆
                 쪽은 통풍이 원활하게 한다. 예건기간 중에 비가 내려 봉지가 젖으면
                 과피흑변 발생이 증가하고 예건기간에 기온이 높거나 기간이 지나치게
                 길게 되면 과실의 저장력이 떨어진다.
             2) 저온저장고를 이용한 예냉(豫冷)
                 과실을 저온저장 하는 경우에는 저장고에서 예냉처리한다. 저장고의
                 온도를 하루에 1℃씩 온도를 내려 15일 후 저온저장고내 온도가 0℃가
                 되도록 관리하면 과피흑변과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표
                 10-5). 과실은 봉지에 물기가 없는 날에 수확하여 봉지에 수분이 없도
                 록 하고 통풍이 잘되는 플라스틱 상자에 담아 저온저장고에 넣는다. 이
                 때 과실상자 안쪽에서는 과실은 통기불량 및 다습조건에 의해 과피흑변
                 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저장고내 온도가 0℃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환기
                 를 충분히 시켜야 한다.
             3) 저장 전 열(熱)처리
                 과실을 수확한 후 저장전에 열처리 함으로써 과피흑변 발생을 억제할
                 수있다. 열처리는 38℃에서 2일, 또는 48℃에서 2시간 동안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표 10-6). 처리방법은 과실을 수확하여 통풍이 가능
                 한 플라스틱 상자에 담아 햇볕이 잘드는 양지에다 비닐을 깐 다음 과실
                상자를 3∼4단으로 쌓고 투명비닐을 씌워 간이 비닐하우스를 만들어 고
                온처리한다. 그러나 이때 하우스내 온도가 48℃를 넘을 경우에는 환기
                를 시켜 온도를 낮추도록 한다
                그리고 과실을 장기저장하는 경우에 과피흑변의 발생을 억제하고 과실
                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관행의 수확적기 보다 1주일 정도 앞당겨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재배기간중 질소의 시비량을 줄이고 칼리의
                시비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좋다(표 10-7).  
       (표 10-5) 0℃ 도달 기간에 따른 저장중 과피흑변과 발생율('95, 원연)

입고시 온도

0℃ 도달 기간

과피흑변과발생율(%)

15 ℃

 

0일
5일
10일
15일

80.0
60.9
26.9
  3.7


       (표 10-6) 수확 후 열처리에 따른 과피흑변 감소 (신고, '92, 과수연)

구분

온도

무처리

38 ℃

48 ℃

1일

2일

3일

1시간

2시간

3시간

과피흑변과율

12

0

0

32

0

0

56


       (표 10-7) 칼리비료의 시비량에 따른 배 과실의 폴리페놀 함량

칼리비료
시비량
(g/주)

 과실내 폴리페놀함량
(㎎/100g)

 토양중
  칼  리
  (ppm)

10월1일

10월15일

10월30일

175
350
525
700

31.50
23.92
18.86
16.38

28.82
24.57
18.25
17.13

24.88
21.05
15.25
14.20

215
250
295
478

 

         심부(心腐)증상

          (가) 증상
                 심부증상은 장기저장과에서 주로 발생하며 과실의 외관은 정상이지만
                 종자가 들어 있는 과심부가 갈변괴사되는 증상이다. 초기에는 과심부
                 가 갈색을 띠고 나중에는 과실전체가 썩는다.
           (나) 발생원인
                 장기저장 중에 발생한 경우에는 산소 부족에 의하여 과실의 호흡대사
                 과정이 이상이 생겨 발생된다.
                 수확기에 발생한 경우에는 수확전 20일경부터 수확기까지 과실이 35
                 ℃이상의 고온에 장시간 노출되면 발생된다. 따라서 8월 하순부터 9월
                 상순에 걸쳐서 늦더위가 심한 해에 많이 발생한다. 심부증상의 발생이
                 많은 과수원들의 공통점은 뿌리가 습해를 받기 쉬운 조건에 있어 뿌리
                 의 활력이 약한 상태이며 과원이 남향이고 통풍조건이 나쁜 상태이다.
                 뿌리의 기능이 저하된 과수원에서는 35℃ 이상의 고온기에 과실에 대
                 한 수분 공급량이 적기 때문에 증산량도 적어지게 된다. 그 결과, 과실
                 의 온도가 상승되고 종자는 이상호흡을 한다. 이때 생성된 알콜이 과심
                 부를 갈변괴사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수확후 과실을 야적하여
                 1-2일 이상 직사광선에 노출시키면 심부증상이 발생된다.
           (다) 방지대책
                 과실을 장기저장하는 경우에는 과숙된 과실은 저장을 하지 않도록 하
                 고 밀폐된 저장고에서는 가끔 환기를 한다. 또한 저장고가 과습하지 안
                 도록 한다.생육기 중에는 우선 뿌리가 습해를 받지 않도록 배수관리를
                 철저히 하고 과원의 통풍이 잘 되게 한다. 그리고 고온건조기에는 관수
                 를 충분히 한다.

 

         탄산가스 장해

           (가) 증상
                  초기에는 저장고 내에서 과심부가 갈변하다가 나중에는 수침상으로
                  변하여 상품성을 상실한다.
            (나) 발생원인
                  저온 저장 또는 CA 저장시에 탄산가스로 인해 발생되는데 특히 지나
                  치게 익은 과실은 저장중에서 발생이 심하다.  특히 비닐밀봉 저장시에
                  비닐이 너무 두꺼울 때 또는 과실을 충분히 예냉하지 않은 상태에서
                  비닐밀봉하였을 때 많이 발생한다.
           (다) 방지대책
                 비닐밀봉 저장시에 비닐두께는 0.03∼0.05mm정도가 적당하며 과실을
                 충분히 예냉한 후에 비닐 밀봉하여 저장한다. 환경조절(CA)저장시에
                 탄산가스 농도는 4%이하로 유지한다.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나무재배-저장병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생육기 병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과실의 생리장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수체의 생리장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비료의종류  (0) 2007.12.28

생리장해 - 과실의 생리장해

          돌 배

 

 

그림. 배 과실 돌배현상

        (가) 증상
                과실의 과육이 딱딱하게 경화되는 현상으로 주로 과정부(果頂部)의 과
                육이 딱딱하고 물기가 적어 거의 먹을 수 없다. 외관적 특징은 과정부의
                과피가 다소 울퉁불퉁하고 수확기에 이르러서도 녹색이 남아있으며 배
                꼽부분은 암갈색으로 된다. 과형은 정상과인 원형에 비하여 편원형에 가
                깝다. 육안으로 식별되는 시기는 7월상순부터이며 8월상순경에 가장 심
                하게 발생된다. 그리고 돌배증상은 장십랑, 이십세기, 신세기 품종에서
                주로 발생한다.
          (나) 발생원인
                돌배현상은 토양과 수체의 여러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하여 발생
                되는데 토양적인 원인으로 점질 토양에서 생육기중에 배수가 불량한 과
                원이나 토양 물리성이 불량하여 건조와 과습의 변화가 심한 과원, 또는
                칼리질 비료의 시용량이 지나치게 많은 과원에서 주로 발생한다. 나무상
                태는 수체내 칼슘 함량이 적고 칼리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 또는
                유목기에 지상부의 생육이 지나치게 왕성할 경우, 강전정으로 나무의
                지상부 대 지하부의 균형이 깨어졌을 경우에 주로 발생한다.
                돌배현상은 칼슘 부족이 원인으로 추정되며 토양의 배수성 및 물리성이
                불량한 경우에는 새뿌리의 발달이 저조하여 칼슘의 흡수가 나빠지고 칼
                리질 비료가 과다한 경우에도 길항작용에 의해 칼슘의 흡수가 억제된다.
                그리고 과실주위의 신초생육이 왕성하면 신초와의 양분경합에 의해 과
                실에서는 칼슘이 부족하게 된다.    
          (다) 방지대책
                근본적인 대책은 토양을 개량하여 배나무 뿌리의 생육을 촉진하는 것으
                로 충분한 양의 유기물를 시용하여 토양내 부식 함량을 증가시킨다. 이
                때 질소 함량이 적은 퇴비를 사용하고 석회질 비료를 충분히 공급한다.
                배수가 불량한 경우에는 뿌리의 발달이 불량하여 칼슘 흡수가 저해되므
                로 배수 관리를 철저히 한다. 생육기중의 경운작업은 뿌리에 손상을 주
                므로 심경은 11∼12월에 완료한다.
                영양생장이 왕성하고 나무가 도장하는 과원에서는 질소 시비량을 줄이
                고 뿌리의 생장을 촉진하는 인산과 칼리질 비료를 증가시킨다. 밀식과원
                에서는 제때에 간벌하여 수세안정을 도모한다. 그리고 전정시에는 약전
                정을 하고 유인작업을 하여 도장지 발생을 억제한다.
                돌배현상은 과실내 칼슘함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퇴비를 시용할
                때 소석회나 고토석회를 10a당 200∼300kg 공급한다. 칼리질 비료는
                뿌리의 칼슘흡수를 억제하므로 과다시비하지 않도록 한다.
                응급조치로는 생육기중 염화칼슘 0.5%액을 2∼3회 엽면살포한다.

         바람들이

         
(가) 증상
                  신고와 단배 등의 품종에서 주로 발생되며 수확시 또는 저장중에 과실
                  을 잘  라보면 과육의 일부가 스폰지처럼 변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과실의 외관은 정상 과실과 같지만 비중이 1.0 이하로 가볍다. 과실크
                  기에 비하여 가볍고
                  손끝으로 눌러 보면0 과피면이 들어가는 느낌이 있어 숙달된 사람은
                  무게와 손의 감각으로 바람들이 과실을 구별할 수 있다. 건전과를 저
                  장했을 때에도 저장중에 발생되기도 하며 바람들이과는 신선도가 떨
                  어지고 맛이 없어서 상품가치가 없다.
            (나) 발생원인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대체적으로 지하부의 요인에 기인
                  하며① 토양중 칼슘이 부족하거나 토양 건조에 의해 칼슘흡수가 저해
                            된 경우,
                        ② 배수가 불량하여 뿌리가 손상을 받는 경우,
                        ③ 토양이 단단하여 토양공극률이 적은 경우에 많이 발생된다.
                            지상부 요인으로는
                        ① 가지의 생장이 지나치게 왕성한 경우,
                        ② 밀식된 성목원에서 강전정을 한 경우,
                        ③ 질소 과다시용에 의해 가지의 생장이 지나치게
                            왕성한 경우에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뿌리에서 흡수한 칼슘이
                            주로 신초생장에 소비되어 과실로의 공급이 부족하여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강우량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수확전, 즉 8∼9월의 강우량
                  이 많은 해에 주로 발생한다. 강우가 많고 근권부위의 배수상태가 불
                  량하면 새뿌리의 생장이 불량하여 칼슘 흡수가 저해된다.
                  동일한 과원에서 신고 품종에서는 바람들이 현상이 발생하고 장십랑
                  품종에서는 돌배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보아 이 두가지
                  생리장해현상은 유사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표 10-2) 신고 품종의 바람들이 과실 과피중 무기성분 함량

구   분

질   소(%)

인산(%)

칼리(%)

칼슘(%)

마그내슘(%)

정  상  과  실
바람들이과실

0.44
0.73

0.54
0.11

0.83
1.28

0.12
0.03

0.08
0.07

         (다) 방지대책
                 먼저 전정방법을 개선한다. 신고 품종의 바람들이 과실은 수체의 영양
                 생장이 왕성한 나무에서 주로 발생하므로 수세의 안정을 도모한다. 밀
                 식상태의 과원에서는 간벌을 하고 약전정을 한다. 가지가 많은 경우에
                 는 굵은 가지를 솎아내어 수관 내부에 충분한 햇빛이 들어가도록 한다.
                 도장지는 적당히 남겨두어 다음해의 도장지 발생을 견제하고 꽃눈이 착
                 생되면 인접한 굵은 가지를 대체한다.
                 그리고 영양생장을 억제하는 시비관리를 하고 토양개량을 한다. 영양생
                 장을  조장하는 질소 비료를 줄이고 인산과 칼리 비료를 증시한다. 또한
                 유기물의 공급을 증가시키고 질소함량이 적은 퇴비를 사용한다.
                 바람들이 증상은 과실내의 칼슘 부족과 관계가 있으므로 과실내 칼슘을
                 증가 시키는 재배관리를 한다. 소석회, 패화석 또는 고토석회를 매년
                 10a당 100∼200kg씩 시용한다. 배수가 불량하면 뿌리가 손상되어 칼슘
                 흡수가 떨어지므로 토양의 배수관리를 철저히 한다.
                 바람들이 과실이 발생하는 과원에서는 적숙기보다 다소 앞당겨 수확한
                 다. 신고품종의 경우 수확 1∼2 주전에 봉지를 벗겨두었다가 과피가 햇
                 빛에 충분히 노출되어 굳어진 후에 수확하면 저장중의 각종 생리장해에
                 대하여 저항력이 강화된다.

     

 







율(%)

 

      

              진정법+토양개량         대조구

 (그림 10-1) 신고품종의 전정법 개선 및 토양개량에 의한 바람
                    들이 현상 방지 효과

 

   

 

 

  (그림 10-2) 신고품종의 수확시기에 따른 바람 들이 현상 발생율

         유부과(柚膚果:유자과피)

          (가) 증상
                 유부과란 과실표면이 매끈하지 않고 마치 감귤껍질처럼 울퉁불퉁하게
                 되는 현상으로서 신흥, 장십랑, 이십세기 품종에서 주로 발생하고 풍수
                 와 신수 품종에서는 조금 발생한다.
           (나) 발생원인
                 유부과의 정확한 발생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과실비대기의 수
                 분부 족, 석회와 붕소의 결핍 등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봉지를 씌워서 재배할수록 발생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1) 수분부족
                     유부과 현상은 한발이 심한 해에 많이 발생되고 반대로 비가 많이
                     온 해에는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특히 6월 하순경부터 7월 하순경
                     에 걸쳐 수분부족이 심한 경우에 많이 발생한다.    
                     토양수분이 부족하거나 습해를 받아 세근이 고사된 경우에는 잎과
                     과실이 필요로 하는 만큼의 수분을 공급하지 못하게 되고 결국 양수
                     분 흡인력이 약한 과실에서 수분이 부족하게 된다. 7월 중,하순경은
                     과실의 수분흡인력이 가장약한 시기이며 이 시기에 수분이 부족하
                     면 유부과 발생이 가장 심하게 된다.
                2) 칼슘의 부족 및 칼리의 과다
                    유부과 현상이 매년 발생하는 이십세기 나무에서는 건전한 나무에
                    비해 과실중의 칼리가 많고 칼슘이 적은 경향이다. 6월 중순에 과실
                    내 칼리와 칼슘 함량의 비율(K/Ca)이 낮은 경우에 유부과의 발생이
                    많고 증상도 심해지는 경향이다.

    (표 10-3) 시기별 건조처리에 따른 이십세기 과실의 유부과 발생

건조처리시기

조사과수(개)

유부과발생율(%)

5 월  하 순
6 월  하 순
7 월  하 순
8 월  하 순

15
20
19
12

 7
65
95
  8

정상관리(A)
정상관리(B)

18
22

0
  5

         (다) 방지대책
                활력이 건전한 뿌리에서는 칼리와 칼슘 모두 잘 흡수되지만 노화된 뿌리
                에서는 칼리는 잘 흡수되나 칼슘의 흡수는 현저히 감소된다. 뿌리가 노
                화되면 정상적인 시비를 실시하더라도 칼리와 칼슘의 불균형이 초래되
                고 배나무의 수분 흡수가 현저하게 감소한다. 따라서 활력있는 뿌리를
                만드는 것이 유부과 발생의 방지대책이 된다.
                경토가 낮은 경우에는 뿌리의 발달이 나쁘므로 심경을 하고 유기물을
                공급하여 뿌리가 깊고 넓게 발달되도록 한다. 부식함량이 적은 점질토양
                의 경우에는 유기물을 많이 공급하여 투수성, 통기성을 좋게 하고 사질
                토양의 경우에는 토양의 부식함량과 보수력을 높여야 한다.  과습 및 배
                수가 불량하면 잔뿌리의 기능이 저하되므로 배수시설을 해야 한다. 토
                양의 산성화 및 칼리 성분의 과다는 뿌리의 칼슘흡수를 방해하므로 산성
                비료와 칼리질 비료의 시용을 줄인다. 심경 또는 제초작업에 의해 뿌리
                가 손상되어 유부과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심경은 뿌리가 활동하
                지 않는 시기에 한다. 전정시에는 도장지의 발생이 적게 나오도록 측지
                의 세력을 조절하고 또한 과다하게 착과시키지 않도록 한다. 건조한 경
                우에는 관수를 철저히 하고 관수가 어려운 곳은 멀칭을 하여 지면의 수
                분증발을 방지한다. 가뭄이 7∼10일 이상 계속되면 10a당 20∼30톤을
                5∼7일 간격으로 관수한다.
                그리고 내건성이 높은 만주콩배, 실생공대에 접목한 묘목을 재식하고 매
                년유부과의 발생이 심한 과원에서는 무대재배를 한다.

         붕소결핍증

          (가) 증상
                  과실의 외관상 특징적인 변화는 나타나지 않으나 과실 적도면의 상부
                  쪽 과육에서 붕소결핍증상이 나타나는데 그 증상은 두 가지로 구분된
                  다.
                  첫째, 유관속의 괴사부가 갈변하여 공동화하거나
                  둘째, 작은 괴사부를 중심으로 수침상이 된다.
                  괴사조직의 크기는 직경 2∼6mm로서  다양하며, 과실당 2∼6
                  개 정도가 발생된다. 이와같은 붕소결핍증상은 8월상순부터 발생되기
                  시작하여 8월하순경에는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다. 국수, 이십세기
                  등 청배계통에서 비교적 발생이 심한 편이고 장십랑 등 갈색배에서도
                  다소 발생된다.
            (나) 발생원인
                  사질토양에서 붕소의 용탈이 심하거나 성목원에서 장기간 붕소를 시
                  용하지 않을 경우 과실부위에 결핍증이 발생한다.
                  붕소결핍은 붕소수준이 ① 토양중에서 0.2ppm이하인 경우,   
                                       ② 충분히 전개된 잎에서 13∼18ppm이하인 경우,
                                       ③ 과실중에서 16ppm이하인 경우에 발생한
                                                      다.
          (다) 방지대책
                배 과원의 토양중 붕소표준함량은 0.5ppm이므로 그 이하 수준인 과원
                에는 10a당 2∼3kg의 붕사를 수관하부에 고루살포하고 가볍게 긁어준
                다. 일시에 너무 많은 붕사를 시용하면 오히려 붕소과다 피해를 받게 되
                므로 주의해야 한다.
                생육기중의 응급대책으로서 붕산 또는 붕사 0.2% 수용액을 10∼15일
                간격으로 엽면살포 한다.
                석회를 다량 시용할 때에는 토양중 붕소의 불용화가 일어나므로 반드시
                붕사를 공급하고, 유기물을 충분히 시용하여 보수력을 증진시키며, 가
                물 때에는 관수를 실시한다.

            밀증상(蜜症狀)

 

 

그림.배 과실 밀증상

             (가) 증상
                     밀증상은 수확기에 잘 익은 배를 쪼개보면 과심 주위의 과육에 꿀과
                     같은 반투명한 액체가 함유된 수침상의 조직으로 관찰된다. 일반적으
                     로 과숙된 과실에서 많이 발생하지만 풍수 품종에서는 미숙과에서도
                     발생한다.
             (나)  발생원인
                    밀증상의 발생은 품종간에 차이가 있으며 현재 일본에서는 130품종
                    중 약 50%의 품종에서 발생된다고 한다. 풍수, 영산배 등에서 많이
                    발생하고 신고 등은 조금 발생한다.  
                    밀증상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고온 건조한 해에 수세
                    가 약한 나무에서 많이 발생하며 풍수 품종에서는 여름철(7∼8월) 저
                    온이 원인이라는 보고가 있다. 일반적으로 유목보다는 노목에서 많이
                    발생되며, 수세가 약한 나무에서 많이 발생한다.
                    사과에서의 밀증상은 과숙한 과실에서 많이 발생하며 가을에 낮은 야
                    간온도는 과실의 성숙을 촉진하여 밀증상의 발생을 촉진한다. 밀증상
                    은 대과에서 많이 나타나며 엽/과비가 높은 경우에 많이 발생한다. 그
                    리고 개화기의 가뭄에의해 뿌리의 칼슘 흡수가 불량한 경우, 과실내
                    칼슘 함량이 낮은 경우, 과실내 질소와 붕소의 함량이 높은 경우, 과
                    다하게 적과한 경우, 채광조건 또는 광노출이 심한 경우, 에스렐을 살
                    포한 경우, 주지나 결과지모지를 환상박피
                    한 경우, 성숙기에 가뭄으로 수분이 부족한 경우에 밀증상 발생이 증
                    가한다.
              (다) 방지대책
                     밀증상은 고온건조한 해에 수세가 약한 나무에서 많이 발생하므로 토
                    양개량을 하여 뿌리의 발육을 촉진하고 과실의 발육중,후기의 관수를
                    충분히 한다. 또한 칼슘 비료를 충분히 공급하고 칼슘을 주로 흡수하
                    는 새뿌리의 생장이 양호하도록 토양을 개량한다.  
                    밀증상의 발생은 과실의 노화와 관련되므로 과실의 성숙 및 당도를
                    증진하는 재배적 처리를 피하고 토양수분이 부족한 기상조건에서는
                    관수를 철저히 한다. 또한 과실을 조기에 수확하여 과실이 과숙되지
                    않도록 하고 붕소 및 칼리질 비료를 과다 공급하지 않도록 한다. 나무
                    의 수세를 다소 강건하게 관리한다.

         열과(裂果)

          (가) 증상
                수확기 무렵에 과피가 갈라지는 현상으로서 과피가 얇고 육질이 유연한
                품종에서 발생한다. 열과는 행수와 팔행 품종에서 매우 심하고 풍수와
                신수 품종에서는 다소 발생한다.
          (나) 발생원인
                열과는 과육의 급격한 비대와 대하여 표피의 생장이 따라 오지 못할 때
                표피에 균열이 생겨 발생된다. 열과 발생이 많은 행수와 발생이 적은 이
                십세기의 과육세포와 표피세포의 비대 양상을 비교하면, 과실이 급격히
                비대하기 시작하는 7월 상순에 표피세포에서 큰 차이가 인정된다. 열과
                가 적은 이십세기에서는 과육세포와 표피세포 모두 비대하는데 비해 열
                과가 많은 행수에서는 과육세포는 급속히 비대하지만 표피세포는 거의
                비대하지 않는다.   
                6월 하순부터 7월 상순에 비가 많이 내리면 행수와 팔행에서는 열과현
                상이 많이 발생하는데 과실에 수분이 과다하게 공급되어 열과되기도 하
                지만 강우가 계속되어 뿌리가 과습상태로 되거나, 산소 부족상태가 되
                면 뿌리에서 에칠렌의 전구물질인 ACC가 만들어져 열과발생을 유발한
                다고 한다.과실의 성숙 촉진을 위하여 6월 중순부터 하순까지 저농도의
                에스렐을 엽면살포한 경우에 살포농도가 높거나 시기가 늦어지면 이십
                세기와 신수에서 상당한 열과가 발생한다.
          (다) 방지대책
                강우에 의한 열과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뿌리의 생육을 항상 양호하게
                유지시켜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토양 개량, 유기물 공급, 배수관리를 철
                저히 하여 토양의 통기성과 배수성을 좋게 하여야 하고 특히 장마기에
                는 배수관리을 철저히 하여야 한다. 또한 토양에 수분이 부족한 경우에
                는 뿌리가 피해를 받기 전에 관수하거나 수관하부를 볏짚, 풀 등으로 덮
                어준다. 석회가 부족한 토양에서는 심경할 때 퇴비와 함께 농용석회를
                10a당 200∼300kg 시용한다. 매년 열과가 심한 과원에서는 신문봉지보
                다는 투기성이 낮은 지질의 봉지를 씌우는 것이 좋다.

         동녹(銹)

          (가) 증상
                황금배, 이십세기 등 청색배의 큐티클층은 아주 엷어 바람, 서리, 강우,
                비료 과다시용, 지나친 건조 등에 의하여 과피에 상처를 받으면 재생되
                지 않아 동녹으로 되어 과피 외관을 불량하게 한다.
          (나) 발생원인
                청배 과피의 큐티클층은 아주 얇아 바람, 서리, 강우, 비료 과다시용, 지
                나친 건조 등에 의해 상처를 받으며 여기에 코르크가 형성되어 동녹이
                된다. 동녹은 과실 주위가 다습한 경우에 발생한다. 황금배, 이십세기
                등 청색배 과실의 표피는 큐티클층으로 되어있는데 과실 주위가 다습하
                게 되면 과실 표피의 큐티클층에 불규칙적으로 코르크층이 형성되어 외
                관을 나쁘게 한다.          
                따라서 황금배, 이십세기 등 청배 품종에서는 여름에 비가 많은 해에 과
                실  동녹이 많이 발생한다. 또한 과실비대 중기 이후에 질소가 많이 흡
                수되면 동녹 발생이 증가한다. 질소가 많이 흡수되면 과육세포는 급격
                히 비대하는데 과실의 표피세포와 큐티클층은 과실비대를 따르지 못하
                여 균열된다. 이러한 큐티클층의 균열이 수확기에 발생하면 과피에 윤
                기가 없어 보이고, 수확기보다 훨씬 이전에 발생하면 여기에 코르크가
                형성되어 동녹된다.
          (다) 방지대책
                청색배의 동녹방지를 위해서는 여름철에 강우가 적어 습도가 높지 않은
                지역에 재식한다. 청색배는 과원의 상부, 통풍과 배수가 양호한 곳에 재
                식하고 과원이 다습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초생재배를 피하거나 수관하
                의 풀을 자주 예초하고 번무한 가지를 정리하여 통풍을 좋게 한다. 과
                실비대기 이후에는 질소의 비효가 나타나지 않도록 시비관리한다. 색택
                이 좋은 과실을 생산하기위해서는 과실의 습도가 높지 않도록 하고 잘
                건조되는 봉지를 사용하여야 한다.
                만개후 20 일내에 소봉지를 씌워 과실을 보호한다. 큰 봉지를 바로 괘대
                하는 경우에는 과점 코르크가 발달하기 직전인 만개후 30일 이내에 가
                능한 빨리 씌우고 동녹방지용 전용봉지를 사용한다.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나무재배-생육기 병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저장중 생리장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수체의 생리장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비료의종류  (0) 2007.12.28
배나무재배-시비관리  (0) 2007.12.28

생리장해 - 수체의 생리장해

         고토(마그네슘, Mg) 결핍

 

 

그림.배나무 마그네슘 결핍증상

          (가) 증상
                 전형적인 증상은 늙은 잎에서 엽맥 사이의 녹색부가 퇴색하여 점차 황갈
                 색으로 황화되며 점차 심해지면 조기에 낙엽된다.
                 고토는 수체내에서 재이동이 잘되는 성분으로서 과실의 비대가 왕성한
                 7월 이후에 결핍증상이 나타나기 쉬우며, 특히 착과부위 근처의 잎이나
                 발육지의 기부로부터 4∼8엽 사이에서 많이 발생한다.
                 증상이 경미할 때에는 나무와 과실에 피해를 주지 않으나 낙엽이 심할
                 때에는 과실의 비대가 부진하고 당도가 낮아지고 품질이 떨어진다.
           (나) 발생원인
                 고토 결핍증상은 개간지 또는 모래땅에서 많이 발생되며 가뭄으로 건조
                 하거나 토양이 과습한 경우에도 많이 발생한다.
                 고토 결핍증상은         ① 토양중 치환성 고토(마그네슘) 함량이 부족한 경우,                                         ② 산성토양일 때,
                                        ③ 칼리질비료를 과다시용한 경우에 많이 발생한다.
           (다) 방지대책
                 고토석회를 10a당 150∼200kg 시용하여 토양의 치환성 고토함량
                 (MgO)을 1.0me/100g이상 유지시킨다. 칼리비료의 시비량을 10a당
                 10kg이하로 줄인다.
                 토양을 깊이 갈고 고토비료와 유기물을 충분히 시용한다. 토양의 배수
                 성 및 통기성을 좋게 하여 뿌리의 생육을 양호하게 한다. 가뭄이 심한 경
                 우에는 관수를 철저히 한다.
                 응급대책으로 황산마그네슘 1%용액을 10∼15일 간격으로 3∼4회 엽면
                 살포 한다. 그리고 낙엽 후에 밑거름으로 고토가 함유된 고토석회, 용성
                 인비를 시용한다.

 

        붕소(B) 과다
         (가) 증상
                 배나무 성목의 신초가 7월 중순경부터 잎의 엽맥주위가 황화되고 신초의
                 생 장이 정지되며 선단으로부터 말라죽게 된다. 증세가 심할 경우에는 1
                 년생 신초 뿐만 아니라 2∼3년생 가지에서도 선단부가 말라죽으면서 측
                 지의 발생이 많아지고 잎이 위로 말려진다.
          (나) 발생원인
                붕소는 미량원소로서 배나무의 생육에 필수적이지만 일시에 과다시용
                하거나 매년 기준량 이상을 장기시용하면 붕소과다증세가 발생한다. 붕
                소과다 증상 발생과원에서는 정상과원에 비해 엽내 붕소 함량이 현저히
                높다(표 10-1).
     (표 10-1) 붕소과다 과원에서 배 신고품종 엽내 무기성분 함량비교

구   분

질   소%

인산(%)

칼리(%)

칼슘(%)

고토(%)

붕소(ppm)

정상과원
붕소과다

1.82
2.00

0.13
0.13

1.25
1.07

0.95
1.29

0.11
0.16

  39
120

         (다) 방지대책
                붕소과다 증세가 나타난 경우에는 석회를 토양전면에 살포하여 붕소를
                불용화 시킴으로써 뿌리에서의 붕소 흡수를 억제한다.

 

         붕소(B) 결핍 증상
         (가) 증상
                붕소의 결핍증상은 생장점의 고사와 통도조직의 갈변괴사로 나타나며
                사과에서는 과실 코르크화, 포도에서는 화진현상으로 나타난다.
          (나) 발생원인
                붕소의 결핍증상은 개간지 토양에 석회를 과다시용한 경우, 석회를 장
                기간 과다시용한 경우에 발생하며 토양중의 석회과다는 붕소를 불용화
                한다. 또한  식물체에 석회가 많이 흡수되면 체내에 붕소가 충분하여도
                붕소결핍증상이 초래된다.
          (다) 방지대책
                토양개량시에 석회를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는 것은 금물이며 석회를 장
                기 시용하는 경우에는 정기적으로 붕사비료를 공급한다. 석회가 과다한
                경우에는 유기물과 붕사비료를 공급하고 정상적인 과원에서는 붕사비
                료를 2년에 1회씩, 10a당 2∼3kg을 과원 전면에 살포하고 긁어준다.

 

         철분(Fe) 결핍증

 

 

그림. 철분(Fe) 결핍 황화현상

         (가) 증상
                철분 결핍에의한 엽 황화현상은 신초생장이 왕성한 5월 상순부터 7월  
                상순 사이에 주로 발생한다. 초기에는 과총엽에서도 발생하지만 신초의
                어린 잎에서 주로 발생한다. 초기증상은 엽맥부위만 엽록소가 남고 엽맥
                사이는 화백화하여 잎 전체가 황백색을 띈다.  점차 심해지면 오래된 황
                화엽은 가장자리부터 갈색으로 고사된다.
          (나) 발생원인
                 철분결핍에 의한 엽 황화현상은 주로 석회질 토양, 산성 토양, 인산과잉
                 토양등에서 발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토양의 산성화와 인산의 과잉시
                 비가 주요 원인이며 또한 배수 불량한 점질 토양에서도 많이 발생한다.
                 석회질 토양에서는 토양중의 과다한 석회질에 의해 철분이 불용화 되고
                 뿌리의 철분 흡수가 감소된다.
                 산성 토양에서는 토양 산성화에 의해 망간, 아연 등 중금속이 해리되어
                 식물에 과잉흡수됨으로써 이들 중금속 과잉장해에 의해 황화현상이 발
                 생하기도 하고 망간, 아연 등  중금속의 과잉은 양분경합에 의해 철분의
                 흡수 및 활성을 억제한다. 또한 산성 토양에서는 인산의 흡수가 증가되
                 고 인산에의해 철분의 부족이 유발된다.
                인산과잉 토양에서는 토양중의 인산에의해 철분이 불용화되어 철분흡
                수가 감소되고 식물체내에 인산이 많아지면 인산에의해 철분의 이동 및
                활성이 억제되어 어린잎에서 철분 결핍 증상이 발생된다. 인산은 토양
                이 산성인 경우에 식물에 잘 흡수되며 식물체내에서 인산/철분 비율이
                높아지면 철분 결핍이 조장된다.
                배수 불량한 점질 토양에서는 뿌리의 생육이 불량하여 양분의 흡수가
                부족하고 양분흡수의 불균형이 일어나서 철분 결핍, 마그네슘 결핍, 망
                간 과잉 증상이 동시에 일어난다.
          (다) 방지대책
                 석회과용으로 인한 철분결핍은 유기철(Fe-EDTA, 또는 구연산철) 1 kg
                 을 물10ℓ에 녹여서 수관하부에 뿌려준다.
                 배수불량지나 지하수위가 높은 지역은 배수시설을 하여 토양의 통기성
                 및 배수성을 향상시킨다.
                 산성토양에서는 충분한 양의 석회를 시용하여 중금속의 용출을 억제하
                 고토 양수분이 부족한 경우에는 충분히 관수한다.
                 응급조치로는 황산제일철 0.1% 수용액을 엽면살포한다.

         엽소(葉燒)증상

 

 

그림. 배나무 염소(葉燒)현상

         (가) 증상
                주로 과총엽의 선단부 또는 잎의 한쪽이 흑갈색으로 괴사하거나 심해지
                면 엽자루만 남고 엽조직이 흑색으로 말라 죽으며 나중에는 조기낙엽 된
                다. 서양배에서 비교적 발생이 심하고 동양배 중에는 행수품종에서 빈
                번히 발생 하며 신수와 풍수에서는 드물게 발생한다.
          (나) 발생원인
                 8월의 고온건조하에서 기공의 개폐기능이 저하된 잎이 과도한 증산작
                 용으로 탈수되기 때문에 엽소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어린잎보다
                 는 잎의 기능이 원활하지 못한 늙은 잎에서 많이 발생한다.
                 배수가 불량한 토양에서는 장마철에 침수 및 산소 부족에 의해 뿌리가
                 손상을 받으며 뿌리의 기능이 저하된 상태에서 장마직후에 고온건조하
                 게 되면 수분흡수가 불량하므로 엽소현상이 발생한다.
           (다) 방지대책
                 심경과 유기물을 증시하여 토양의 통기성을 높여 뿌리의 기능을 원활
                 하게 한다. 배수가 불량한 토양은 장마철에 배수관리를 철저히 한다.
                 영양생장이 왕성한 과원에서는 가지와 잎이 너무 무성하지 않도록 질
                 소시비를 조절한다.

비료의 종류

단비
             무기질 비료는 유기질 비료와 구분되는 일정한 화학공정 규격을 거처 만
             들어지는 비료를 말한다.
             1) 질소질 비료
                 질소질 비료에는 암모니아염, 질산염, 요소, 석회질소, 완효성 질소 비
                 료 등이있으며 이들은 각각 성분량이 다르기 때문에 시비량이 달라진
                 다.
             2) 인산질비료
               무기질 인산비료는 자연계에서 생산되는 인광석을 주원료로 하여 작물
                이 흡수이용할 수 있게 만든 것이다. 비료 종류에는 과린산 석회, 중과린
                산 석회, 용성인비, 용과린 등이 판매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과수원에서
                는 지효성인 용성인비가 주로 쓰인다.
             3) 칼리질비료
                칼리질 비료의 원료는 암염이다.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칼리질 비료는
                 염화칼리와 황산칼리가 있다.

        

복 합 비 료
          질소, 인산, 칼리 3성분 중 2성분 이상을 함유하는 화학비료를 복합비료라
          부른다. 작물이나 토양에 적합한 합리적인 시비를 하고 운반이나 시비에 소
          요되는 경비를 경감할 목적으로 단일성분비료를 물리적으로 배합하거나 합
          성시킨 비료이다. 그러나 다(多)성분의 고농도 비료가 필요하게 되고 또 제
          조기술도 발달하여 지금은 배합과 화성 등 제법에는 상관없이 다성분비료를
          모두 복합비료라 부른다.
          복합비료는 앞에서 말한 이점 외에도 여러 가지 이점을 가지고 있다. 즉 단
          일성분 비료보다 부피가 커서 좀 더 고르게 뿌릴 수 있다는 점, 비료 성분이
          서로 접촉함으로서 비효가 커질 수도 있다는 점, 수용성, 구용성 등 용해도
          가 다른 여러 형태의 성분을 가지고 있어서 작물의 긴 생육기간을 통하여 꾸
          준히 영양분을 공급한다는 점, 입상으로 만들어져서 비료의 저장성을 높이
          고 비효를 지속시킨다는 점 등이다. 그리고 이런 이점은 수질오염에 비료의
          영향을 줄이는 이점도 된다.
         
        1) 복합비료의 분류
              복합비료는 단순한 배합, 또는 복잡한 화학반응(화학결합)을 거쳐서 만들
              어진 다. 화학결합에 있어서도 완전결합이 되는 경우와 부분결합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 조성분의 종류나 조성비를 거의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어
              서 복합비료의 종류가 많아질 수 있다.
              비료 공정규격에서는 복합비료를 (표 9-13)과 같이 4종류로 분류하였다.
       (표 9-13) 복합비료의 분류

분   류

주요비종 또는 성분

최저주성분 의
함량

제조
방범

 제1종 복합비료
  2성분이상을 함유한
  화성비료

 인안, 황인안, 질산칼리, 질인
  안 등...(고토, 붕소, 망간을  보증할 수 있음)

              (%)
20

 

화학적
방   법

 제 2종 복합비료
  2성분 이상을 함유한
  무기질 배합비료

 21-17-17, 17-21-17,
  18-18-18, 15-15-15,
  10-15-20,    (고토, 붕소, 망
  간을 보증할 수 있음)

20

배합

 제 3종 복합비료
  2종 복비와 유기물의  배합비료

 N, P2O5, K2O의 2종이상+유
  기질비료, 유기질 10% 이상

12

배합

 제 4종 복합비료
  액비나 수용 수화제
  비료, 양액

 N, 수용성인산, 수용성칼리중  2종이상, (고토, 붕소, 망간을  보증할 수 있음)

10

액   수,
수용제,
수화제,


          2) BB비료(Bulk blending)
             복합비료의 일종으로 볼 수 있으며 차이점은 물리적 단순혼합비료로 5톤
             이상 소규모 공장에서 개별토양에 맞도록 주문생산을 하는 것으로 비료를
             배합할 때는 입자의 크기가 비슷한 것을 골라야 한다. 비중에 차이가 있으
             면 고루 섞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섞였던 것도 운반도중에 분리되어 각 비
             료성분을 고루 뿌릴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미국에서는 벌크 부렌딩(bulk blending)이라 하여 주요 농업지대 또
             는 수송의 중심지에 설치된 비료 배합장에서 농민의 요구에 따라 비료를
             배합하여 포장하지 않은 채 판매하여 때때로 시비까지 해 주는 일이 있다.
             포장하지 안고 배합 즉시 운반해서 시비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격이 싸고
             편리한 점이 많다. 벌크 부렌딩 원료는 균일한 크기를 가지며 강하고 잘
             마른 입자라야 한다. 그리고 저장중이나 취급 중에 습기를 많이 흡수하지
             않는 원료라야 한다. 만약 흡습성이 있는 것이라면 흡습을 적게 하도록 다
             루어야 한다.
             현재 우리 나라의 벌크 부렌딩비료는 DAP(질소 18%+인산 46% 복합원
             료)에 칼리+요소(인산)를 첨가하는 형태이다. 공급비종은 고농도
             (42±5%), 저농도(31±5%)의 특성 및 일반비료 4종으로 구분된다.
             이 비료의 토양을 검정한 후에 필요한 성분을 각 과수원에 따라 처방하여
             시비하였을 때 소기에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미량요소 비료
          미량요소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료로 우리 나라 비료공정규격에는 붕소
          비료, 아연, 미량요소 복합비료가 규정되어 있으나 우리 나라 과수원 토양
          특성상 붕소비료에 대해서만 다루기로 한다.
          1) 붕소 비료
              붕사비료는 소오다염(Na2B4O7 nH2O)이 갖는 결정수는 일정하지 않으
              나 10개의 물분자가 들어있는 것이 보통 부르는 붕사이다. 결정수가 많으
              면 그만큼  붕소 함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5수염(Na2B4O7 5H2O)또는 무
              수염(Na2B4O7)으로 판매되기도 한다. 비료용으로는 5수염(B2O3: 46%)
              의 붕사가 잘 쓰이지만 무수염(B2O3: 63∼65%)도 간혹 나오며 수용성
              붕소가 30%이상으로 규정되어 있다.
              붕산비료는 붕사를 황산 처리하여 만든 H3BO3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료
              로 수용성 붕소함량이 50%이상으로 규정되고 있다.
              가) 시비법 및 비효
                   시비량은 1∼2kg/10a으로 2년마다 시용하면 되나 요즈음은 복합비
                   료 사용량이 많아 붕소가 함유되고 있어 새로운 개간지 아니면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다. 요즈음 붕소의 과다 피해가 많이 나타나고 있는
                   추세로 알맞은 량을 시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붕산은 엽면시비 하는 것이 적당하고, 붕사는 토양시비용이 알맞으며
                   이때 증량제(고운모래)를 섞어서 시비하면 좋다. 붕소가 결핍할 때 붕
                   산은 0.2% 정도의 농도로 살포하며, 이론적으로는 20℃ 물에 5.26%
                   까지 용해되나 실제로는  잘 녹지 않아 더운물에 녹인 후에 찬물을 섞
                   어서 사용하면 된다.
          2) 고토비료
             과수 재배시 Mg의 요구도가 높으나 고토석회(백운석계 석회석), 용성인
              비 등으로 공급되고 있으며 마그네슘비료는 고토가 결핍할 때 엽면시비로
              많이 시용되고 있다.
              국내에 공정규격에서는 황산고토비료와 가공 황산고토비료가 규정되어
              있으나 가공황산고토비료는 시판되지 않고 있으며 황산고토만 시판되고
              있으며 수용성고토가 14%이상, 물에 잘 녹도록 규정되어 있다. 시판제품
              은 MgSO4 7H2O제품으로 엽면살포시 2%정도로 단용으로 살포한다.
              토비료의 시용량을 6∼12kg/10a정도이고 단감, 포도 등이 많이 요구한
              다.
          3) 석회비료
             석회는 칼슘,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물질로 농업에서는 이것이 갖는 의의
              는 매우 크다. 첫째 칼슘과 마그네슘은 필수 식물 영양성분이고, 둘째 석
              회는 토양의 물리 화학적인 성질을 개량하여 식물과 미생물이 생육하는
              좋은 조건을 만들어준다. 이 밖에도 석회는 특수목적을 달성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쓰인다. 즉 토양의 산성을 중화하고 간척지나 염해지 토양을 개
              량하며 광독이나 기타 공해를 경감한다.
              자연토양에는 꽤 많은 양의 석회분이 들어 있어서 일반적으로 과수에서
              칼슘이 나 마그네슘이 부족되는 일은 드물다. 그러나 석회부족으로 토양
              이 산성화하여 작물의 생산력이 낮아지고 각종 해독을 입는 경우는 많다.
              특히 우리 나라에는 산성토양이 널리 분포되어 있는 데다가 공기와 물 등
              을 통하여 각종 공해물질 이 토양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많아서 석회의 필
              요성은 더욱 크다.         

 

유기질 비료
            화학비료가 생산되기 이전에는 자급비료가 쓰였고 자급비료의 대부분은 유
            기질 비료로 충당되었다. 그러나 과수산업이 발전과 축산업이 대규모화가
            진전됨에 따라 유기질 비료(부산물비료)도 제조되어 시판된다.
            퇴비화는 학자들간에 다소 차이는 있지만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퇴비
            화는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되어 안정화되는 과정이며 그 최종 물
            질은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하고 토양에 사용할 수 있어야하며 저장
            하기에는 충분한 부식토 상태의 물질로 변화시키는 생화학적 공정 또는 고
            체 폐기물의 유기성분을 인위적으로 만든 조건하에 연속적으로 생물화학
            적 처리를 하는 것이라고 정의되고 있어, 퇴비화의 정의에는 농업적 이용
            을 위한  퇴비뿐만 아니라 폐기물 처리 차원의 퇴비화도 포함되고 있다. 따
            라서 퇴비화의 궁극적인 목적은 각종 유기쓰레기 처리와 농업인들이 원하
            는 양질의 유기물 확보라는 두 가지측면이 있기 때문에 농가에서는 시판용
            을 구입하여 시용할 때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60∼70년대의 퇴비와 현재 농가들이 알고 있는 퇴비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으며 퇴비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사용한다면
            쓰레기 처리 차원 의 과수원 토양관리가 될 수도 있다.유기질 비료의 특성
            과 성분량은 (표 9-14) 및 (9-15)와 같다.이들의 성분량을 보면 돈분과 계
            분류는 물리성 개량효과보다는 비료적 효과가 많아 과다시비될 경우 비료
            로서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배 과원의 물리성개량 방법을
            위해서는 가축분뇨 중에서는 우분뇨가 가장 효과적인 것을 알수 있다.
            계분과 돈분을 사용할 때는 볏짚이나 왕겨와 섞어 완전히 부숙시킨 후
            사용하면 질소함량은 낮출수 있다.


            1) 유기물 시용 효과
                유기물의 시용효과는 비료적 효과, 화학적 개량효과 및 물리성개량 효
                과 등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비료 공급효과가 큰 것은 전질소함량이 높
                고, 탄질률이 낮은 것들로서 계분비료, 돈분비료, 식품산업폐기물 등이
                해당되고, 비료적 효과가 적은 것은 톱밥, 왕겨 등과 같이 분해하기 어
                려운 유기물들이다. 화학적 개량효과는 인산과 염기함량에 의하여 판정
                되며 돈분퇴비, 계분퇴비 등이 크고 톱밥퇴비, 왕겨퇴비 등의 식물성 퇴
                비는 적다. 오니류는 종류에 따라서 석회, 알루미늄 등의 염기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시용할 때 주의하여야 한다.
                물리성 개량효과는 투수성, 보수력 등이 중심이 되므로 섬유질이 많은
                가축분 퇴비, 왕겨퇴비 등이 효과가 크고 돈분 및 계분퇴비와 식품산업
                폐기물은 적어 비료공급효과와는 정반대이다.
      (표 9-14) 각종 유기물의 특성

유기물병

원재료

시용효과

시용상 주의

비료적

화학성

물리성

퇴      비

볏짚,.보리집,
야채류

안전하게 사용
할수 있음

구비류

우분류
돈분류
계분류

우분뇨와
볏집류
돈분료와
볏집류
계분과 볏집류







비료효과를
고려
하여 시용량
결정

목질류
혼합퇴비

우분류
돈분류
계분류

우분류와톱밥
돈분류와톱밥
계분류와톱밥



중 





미숙목질과
충해가
발생하기 쉬움

나무껍질
퇴 비  류

나무껍질,
톱밥을 주제로
한 퇴비

물리성 개량
효과가 큼

왕겨퇴비류

왕겨를 주체로
한 퇴비

물리성 개량
효과가 큼

도시쓰레기

가정의 부엌
쓰레기

유라, 이물질의
혼입 주의

식품산업
폐  기 물

식품산업
폐기물
과 수분조절제

비료�과를
고려한 시용

   1992, 농토배양


       2) 유기물 기능
          가) 식물의 양분공급원
              토양유기물은 완효성비료의 성질을 갖고 있으며 다량요소와 미량요소를
               동시에 공급하며 분해되기 쉬운 여러 화합물 등이 무기화되면서 각종 양
               분과 가스로 공급한다.
          나) 토양 물리 화학성 개선
               토양유기물은 입단 형성을 촉진하여 통기성과 보수성을 향상시키며 양
               이온 치환용량이 높아 토양의 완충능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한편 킬레이
               트 기능을 하여 활성 알루미늄의 생성을 억제하고 인산의 고정방지와 유
               효화을 촉진하는 기능이 있다.

 유 기 물 명

수분
(%)

성 분 량 (kg/톤)

유호성분량(kg/톤/년

질소

인산

칼리

석회

고토

질소

인산

칼리

  퇴비
   구비       우분뇨
                돈분뇨
                계  분
   혼합퇴비 우분뇨
                돈분뇨
                계  분
   나무껍질
   왕겨껍질
   도시쓰레기퇴비
   하수오니퇴적물
   식품산업폐기물

75
66
53
39
65
56
52
61
55
47
58
63

4
7
14
18
6
9
9
5
5
9
15
14

2
7
20
32
6
15
19
3
6
15
22
10

4
7
11
16
6
8
10
3
5
5
1
4

5
8
19
69
6
15
43
11
7
24
43
18

1
3
6
8
3
5
5
2
1
3
5
3

1
2
10
12
2
3
3
0
1
3
13
10

1
4
14
22
3
9
12
2
3
3
15
7

4
7
10
15
5
7
9
2
4
4
1
3

 
          다) 미생물상 활성 유지 및 증진
               토양 유기물이 증가하면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이 개선됨으로 토양중
               의 중소동물과 미생물이 증가하게 된다. 그 결과 물질순환기능이 증대되
               고 생물적 완충능이 커지며 이로 인하여 유해물질이 분해, 제거되며 안정
               화시키는 기능이 있다. 이상과 같이 유기물은 식물양분을 공급 저장하고
               수분을 흡수하여 한발을 방지하며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개선하는
               등 중요한 구실을 하기 때문에 토양내 유기물 시용은 매우 중요하다.


       3) 유기질 및 부산물 비료의 활용상 문제점
          가) 비 경제성
                시중에 유통중인 유기질비료 및 부산물비료의 가격은 진폭이 심하나 대
                체로 20kg당 2,000∼6,000원으로 이중에 함유된 질소 성분량을 기준으
                로 질소 100kg에 해당하는 부산물비료 가격은 해에 따라 변하겠으나 대
                충 280∼840천원에 해당되어 퇴비로서의 가치는 인정되나 가격이 비싸
                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게 공급되는 무허가 내지 불량 유기질비료인
                도시폐기물이나 산업폐기물이 이용될 경우가 많아 토양이 오염되고 과
                실나무가 피해를 입는 일도 종종 있다. 또한 유기질비료에 함유된 양분
                의 불균형으로 합리적인 시비가 어려울 때가 많다.
           나) 양분의 불균형
               국내에서 많이 유통되는 유기질 비료는 대부분이 가축분뇨로서 현재 시
                판되는 33개소의 유기질 또는 부산물비료을 농과원에서 조사한 결과를
                보면 비료성분이 전질소 0.23∼1.75%, 유효인산 0.19∼4.85%, 칼리
                 0.06∼1.47%로 나타났다.
                이것을 유기질비료 1톤을 시용 했을 때 투입되는 비료의 성분량으로 계
                산하면 질소 2.3∼17.5kg, 인산 0.8∼21.2kg, 칼리 0.4∼10.4kg이 된
                다. 따라서 1톤의 유기질 비료만 주더라도 시비기준에 의한 시비량 조절
                은 불가능하게 되고 인산이나 칼리는 계속적으로 축적되어 토양에 남게
                되어 양분의 불균형 축적을 가져오고 있다.
           다) 미부숙 비료의 유통
               퇴비제조의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한 부숙기간은 보통 6개월이 소요되는
                데 시중에 유통되는 유기질 비료의 제품 중에는 부숙기간이 20∼40일
                정도로 미부숙 상태인 제품이 유통되어 피해가 발생하는 일도 있다.
           라) 과다 시용에 의한 환경오염(그림 9-4)
                유기질 비료를 과다하게 시용할 때는 직접적으로 작물에 나타나는 피해
                는 양분의 불균형 축적과 염류의 과다 집적일 경우가 많다.
                유기농업 실천농가 포장의 토양화학성 조사결과를 보면 EC가 일반농경
                지보다 20배 이상 높은 경우도 있다. 연구자에 따라 다르겠으나 토양 중
                유효인산 함량이 1,600mg/kg일 때 수용성인산은 13.6∼80.7mg/kg이
                나 방출된다고 하였으며 1,000∼1,200 mg/kg에서 8∼9mg/kg이 침출
                수로 용해되어 나온다고 하였다.  
                또한 인산은 토양 중에 고정되어 환경 유해성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왔
                으나 수질 부영화를 유발하는 물질 중 인산이 제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부영양화 기준치가 P2O5로 0.02∼0.07mg/ℓ인 점을 고려하면 불필요
                한 인산의 집적은 환경오염원이 될 수 있다  
           마) 화학비료에 대한 지나친 불신
                화학비료 중 불순물이 함유된 비료는 인산질 비료뿐이고 질소와 칼리비
                료는 내용물이 매우 순수하다. 반면에 유기질 비료는 각종 폐기물을 이
                용하게 됨으로서 크롬, 카드뮴 및 납 등이 존재하며 크롬은 시판되는 제
                품에서도 기준치 300mg/kg를 훨씬 초과하여 검출된 경우도 있다.
                따라서 토양개량제가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화학비료보다 해로울 수
                가 있다. 유기질비료도 화학비료와 같이 비료로 생각하면 된다. 다만 완
                효성으로 무기화 과정이 필요하는 등 비료효과가 서서히 나타나는 것이
                화학비료와 다른 점이다.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나무재배-과실의 생리장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수체의 생리장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시비관리  (0) 2007.12.28
배나무재배-비배관리 - 무기성분  (0) 2007.12.28
배나무재배-관수  (0) 2007.12.28
시비관리

 

        배나무의 무기양분 흡수
        (가) 연간 흡수량
              배나무의 비료분의 연간 흡수량은 연구자에 따라 많이 차이가 있으나
               이는 토양, 기후, 재배방법, 품종, 시비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며 대체
               로 질소 : 인산 : 칼리 = 10 : 4 : 10으로 비슷하였다.
     (표9-1)배의 연간 흡수량 (kg/10a)

품종(연구자)

질소

인산

칼리

칼슘

마그네슘

수량

장십랑(富 )*
이십세기(細井)*
장십랑(柝木試)**

16.13
9.79
13.83

16.13
9.79
13.83

15.38
9.92
12.13

-
9.21
12.26

-
2.79
4.67

3,750
2,092
4,900

      **果樹指導指針, 1987,  長野縣, ナツ編, p.566
       *小林章, 1958, 果樹の營養生理, 朝倉書店, p.217-218
         (나) 부위별 흡수량
              년간 새로운 기관이 생성될 때 흡수하는 량을 보면 질소, 인산, 칼리 모두
               과실, 엽, 새가지에 주로 흡수되었으며, 질소 및 칼슘, 마그네슘은 엽에
               가장 많이 흡수되고, 칼리는 과실에 주로 흡수되어 전체 흡수량의 54%
               를 차지하였다(표 9-2).
         (다) 시기별 흡수량
              배 이십세기에 과실과 신초를 합한 삼요소의 흡수량을 보면(그림 9-1),
               질소는 5월에 최대 흡수량을 보였고, 다시 7월에 질소의 흡수량이 증가하
               였으나 5월의 절반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 그 외의 질소흡수량은 매우
               적었다. 인산은 전기간이 모두 비슷하였고, 칼리는 질소와 비슷하여 5월
               이 가장 많고, 7월이 그 다음으로 흡수되었다. 5월의 과실내 삼요소의 흡
               수량을 보면(그림 9-2) 칼리는 과실이 급격히 비대하는 7월 이후에 많이
               흡수하고 질소도 7월 이후에 흡수하나 완만하게 증가하며 인산은 과실내
               에서 약간 증가하였다.

     (표 9-2)배나무의 각부기관의 연간 비료 흡수량(g/주)

구분

N

P2O5

K2O

CaO

MgO

     과       실
           엽
              발육지
새가지  
              단과지
묵은가지비대부
굵은가지비대부
    주간  비대부
     작은   뿌리
묵은뿌리비대부

64.8(27)
79.9(33)
45.1(18)

5.8(2)
2.0(1)
12.7(5)
  3.6(1)
10.1(4)
20.8(9)

31.3(26)
23.9(20)
29.2(24)

2.6(2)
1.4(1)
10.0(8)
1.8(1)
7.5(6)
13.3(11) 

133.0(54)
56.5(23)
92.7(12)

2.2(1)
1.4(-)
9.8(4)
3.0(1)
4.3(2)
8.1(3) 

5.6(3)
88.3(38)
44.7(19)

15.8(7)
2.3(1)
28.1(12)
10.9(5)
9.9(4)
24.9(11)

10.6(15)
22.7(33)
18.3(26)

1.9(3)
1.0(1)
5.4(8)
1.5(2)
2.9(4)
5.6(8) 

244.8

212.0

248.0

230.5

69.9

    (   )내의 숫자는 吸收量을 100으로 한 지수
          小林章, 1958, 果樹の營養生理, 朝倉書店 , p.194


(그림 9-1) 배 이십세기 (과실+신초)의 양분 흡수(1956)

        시비량 결정 방법
         (가) 이론적 시비량
              시비량은 작물이 흡수한 비료성분의 총량에서 천연적으로 공급된 성분
               량을 빼고, 그 나머지를 비료성분의 흡수율로 나누어서 계산한다.
                          
                                         비료요소의 흡수량- 천연공급량
                   시비 성분량 =-------------------------------
                                              비료요소의 흡수이용율

               10a당 3,750kg을 수확하는 장십랑을 계산하여 보면 (표 9-3)과 같다.

 

                    (그림 9-2) 배 이십세기 품종의 비료의 흡수량(林, 1961)

     (표 9-3)장십량 품종의 10a당 이론적 시비량의 산출예       (kg/10a)

구     분

질  소

인  산

칼  리

산            출

흡  수  량
천연공급량
 

필  요  량
시  용  량

16.06
  5.35
 

10.71
21.42

6.03
  3.02
 

 3.01
10.03

15.39
  7.70
 

7.69
19.23

○ 10a 당 수량이 3,750kg의 경우
○ 질소는 흡수량의 ⅓, 인산 및 칼
     리는 흡수량의 ½
○ 흡수량- 천연공급량
○ 질소, 인산, 칼리의 이용율은 각각     50%,  30%, 40%로 계산

      
         (나) 표준 시비량
               원예연구소에서는 (표 9-4), (표 9-5)와 같이 배나무 시비량을 추천하고
               있다. 특히 배나무 재배에서는 다수확과 대과 생산에 주력하여 다비재배
               를 하는 경향이나 질소의 과다시용은 과실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나머지
               양분이 용탈되거나 토양에 축적되어 해가 거듭됨에 따라 시비관리가 어
               려워진다. 덕식재배는 무지주재배에 비해서 재식밀도가 높다. 그러나
               10a당 시비량이 도표에 표시된 양을 초과하지 않도록 해야한다.

     (표 9-4)배나무에 대한 시비성분량                            (kg/10a)

수  령
(년)

질     소

인      산

칼      리

퇴  비

비옥지~척박지

비옥지~척박지

비옥지~척박지

1∼4
5∼9
10∼14
15∼19
20이상

2.0
3.0∼6.0
10.0∼15.0
17.0∼20.0
20.0∼25.0

1.0
3.0∼4.0
5.0∼8.0
8.0∼13.0
13.0∼18.0

1.0
3.0∼5.0
8.0∼12.0
15.0∼18.0
18.0∼23.0

 300
1,000
2,000
2,000
2,000

 

     (표9-5)배나무에 대한 수령별 시비성분량                           (g/주)

비료성분

수               령(년)

2

3

4

5

6

7

8

9

10

질소
인산
칼리

80
40
60

120
   50
100

180
   70
140

240
100
200

320
130
250

400
160
320

460
180
370

520
210
420

600
240
480

   

     (표 9-6)토양 유기물 함량에 의한 질소시비량 (kg/10a)

수   령(년)

토   양   유   기   물(g/kg)

15이하

16~25

26이상

1∼4
5∼9
10∼14
15∼19
20이상

2.0
6.0
15.0
20.0
25.0

2.0
4.5
12.5
18.5
22.5

2.0
3.0
10.0
17.0
20.0

    농토배양기술, 1992, p.133


      (표9-7)토양래 친환성 칼리함량에 의한 칼리시비량(kg/10a)

수   령(년)

토양중 유효인산 함량(mg/kg)

350이하

351~550

551~750

751이상

1∼4
5∼9
10∼14
15∼19
20년이상

1.0
5.0
12.0
20.0
25.0

1.0
4.0
10.0
17.5
22.5

1.0
3.0
8.0
15.0
20.0

1.0
3.0
3.0
3.0
3.0

     농토배양기술, 1992, p.134

     (표9-8)토양래 치환성 칼리함량에 의한 칼리시비량(kg/10a)

수   령(년)

토양중 치환성칼리 함량(cmol/kg)

0.5이하

0.51~0.80

0.81~1.10

1.11이상

1∼4
5∼9
10∼14
15∼19
20년이상

1.0
5.0
12.0
20.0
25.0

1.0
4.0
10.0
17.5
22.5

1.0
3.0
8.0
15.0
20.0

1.0
3.0
3.0
3.0
3.00

     농토배양기술, 1992, p.134



         (다) 토양검정에 의한 시비
              최근에는 배과원마다 영양상태가 아주 다르므로 토양검정에 의한 시비량
               결정이 보다 합리적이다. 질소의 공급원인 유기물 함량을 검정하여 질소
               시비량(표 9-6)을 결정하고, 유효인산함량을 검정하여 인산시비량(표
               9-7)을, 치환성 칼리함량을 검정하여 칼리시비량(표 9-8)을 결정한다.

        시비시기
        비료 주는 시기는 생장주기에 따라 분시하여야 수량이 높고 품질이 좋은
         과실을 얻을 수 있다. 배나무의 분시 비율은 (표 9-9)와 같다.

   (표9-9)배나무에 대한 분시 비율

비료성분

밑거름

웃거름

가 을 거 름

질      소
인      산
칼      리

 70
100
  60

10
-
40

30
-
  - 

  *퇴비, 석회, 고토석회, 붕사 등은 밑거름으로 시용
         (가) 밑거름

 





배나무의 밑거름은 낙엽기부터 휴면기중에 시용되는 비료로 겨울비료하고도 한다. 질소는 연간 시비량의 50∼70%를 시용하고, 인산질 비료는 100%, 칼리는 50∼60%를 시용한다. 특히 이때는 퇴비 및 석회(고토석회)를 기비로 주며 시비시기, 퇴비의 종류에 따라서 화학비료량을 가감하여야 한다.

(그림9-3)정상적인 신초선단

              현재 우리 나라는 질소질비료를 과다 시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정확한 판단
               은 엽분석을 통한 영양진단을 해야하나,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어 어
               려움이 많고, 개략적인 방법으로 낙엽상태, 가지와 눈의 상태를 보고 판단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신초 생장은 6월하순∼7월상순에 그치고 신초선단이 다소 비대하여 3장
               의 멈춤잎이 붙어있는 것이 낙엽전의 이상적인 가지이다(그림 9-3).
               낙엽시기는 일반적으로 10월 하순경이고 1∼2회 서리가 내릴 때 일제히
               낙엽되는 것이 정상적인 상태이다. 낙엽기가 너무 빠르거나 늦은 현상은
               수체의 영양상태가 정상이 아님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낙엽시기가 빠
               른 것은 양 수분의 부족이나 결실과다 등으로 수세가 떨어진 경우이다. 반
               대로 낙엽시기가 늦거나 오랜 기간에 걸쳐서 낙엽되는 현상은 질소시용이
               많았거나 생육후기까지 질소가 너무 많이 흡수된 것으로 본다. 낙엽된 후
               의 가지와 눈 상태를 보아 나무의 영양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금년 성장한
               가지의 색과 생장정도, 눈의 착색상태, 단과지의 착생 등이 나무의 영양상
               태를 보는 기준이 된다.
               (표 9-10)에서 보면 수체내 질소가 많이 흡수될 때 나타나는 현상은 신초
               의 경우 2차 생장되거나 가지 선단부분이 녹색을 띠고 연한 털이 있으며
               정아는 잎눈이 많으며 가지는 도장되어 마디수가 22개 이상 되는 경우가
               많다.
               가지에 착생된 잎눈 상태를 보면 기부의 눈은 가지에서 대부(臺部)가 돌
               출하여 눈이 착생되거나 눈이 횡으로 서있고 가지 선단부의눈은 편편하며
               눈의 인편은 적색을 띠고 있다. 장십랑과 같이 액화아가 많이 착색되는 품
               종은 선단부에만 꽃눈이 착생되고 기부는 잎눈이 붙게 된다. 단과지에서
               보면 질소의 함량이 정상인 경우에는 가지에 바로 꽃눈이 착색되나 질소
               의 흡수량이 많을 때는 가지에서 약간 생장(2차)하고 그 위에 꽃눈이 착생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낙엽기의 낙엽상태나 가지 및 눈의 상태를 관찰하
               여 수체내 질소함량을 판단하여 정상상태를 보일 경우에는 금년에 시용
               한 시비량을 기준하여 주어도 좋지만 질소의 흡수량이 많거나 적을 경우
               에는 시용량의 가감 조절하여 주어야 나무가 정상적인 영양상태가 유지
               되어 수체가 충실하고 품질 좋은 과실이 생산되리라 본다.
         (나) 웃거름(덧거름)
               웃거름은 생육기간 중에 부족한 비료성분을 보충해주어 꽃눈분화, 과실비
               대에 도움을 줄 목적으로 시용하며 시비시기는 5월 하순에 주며 질소는 년
               간 시용량의 10∼20%, 칼리는 40∼50%이다.
               웃거름이 너무 강하면 신초생장이 늦게까지 계속되어 과실품종이 저하되
               는 폐단이 있어 일본에서는 (표 9-11)의 경우는 가급적 웃거름을 피한다.
               또한 우리 나라는 강수량이 6월 하순부터 7월말까지 집중적으로 내리므로
               칼리질비료는 2 ∼3차로 분시하는 것이 좋고 사질과 경사지 과수원에서는
               분시 회수가 많을수록 좋다.
         (다) 가을거름
              가을거름은 과실생산에 소모된 양분을 나무에 보충하여 줌으로써 다음해
               발육초기에 이용될 저장양분을 많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용하는 것이다.
               좋은 과실을 만들어낸 나무에 대하여 감사하는 의미로 주는 비료라고 하
               여 예비라고 하며 가을에 주는 비료이기 때문에 가을비료라고도 한다.
               가을거름은 9월중 하순부터 시작되는 가을 뿌리의 신장에 맞추어 시용하
               며 이 시기에 흡수된 양분은 다음해 봄에 나무의 초기발육 즉 전엽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한랭지에서는 예비가 토양미생물의 증식을 촉진하여 봄에
               겨울비료의 비효를 빨리 나타내게 하며 유효양분의 양이 많아지므로 나무
               의 초기생육을 좋게 하여 증수의 요인이 된다.
   (표 9-10)가지와 눈의 형태에 의한영양상태 판단법

 

              예비를 너무 일찍 수확 전에 시용하면 과실의 품질을 나쁘게 할 염려가 있
               고, 동시에 가을에 발아될 위험성이 있으므로 조 중생종의 경우 9월 하순
               에 시용하는 것이 좋으며, 만생종은 10월 중순에 시용하는 것이 좋다. 대
               체로 질소로 연간 시용량의 20%정도이다.
         (라) 시비방법
               배나무의 수평근군은 수관보다 멀리 분포된다. 양분흡수의 주체가 되는 잔
               뿌리는 수관의 바깥 둘레 밑에 많이 분포된다. 그리고 수직근군의 분포는
               지표로부터 0∼60cm에 가장 많이 분포된다. 뿌리의 손상을 줄이고 비효를
               높이려면 이웃나무와 수관이 맞닿지 않는 유목기에 윤구시비나 방사선구
               시비를 하는 것이 좋다. 윤구시비는 방사선구시비보다 토양의 심경효과도
               크고 비효도 높지만 많은 노력이 소요되므로 재식 후 2∼4년째까지 하는
               것이 경제적이고 그후 성목이 될 때까지는 방사선구 시비를 하는 것이 경제
               적이다. 성목원의 경우 전원시비를 원칙으로 한다.
      (표 9-11)웃거름(여름 비료)를 가급적 비해야 할경우

1.토양

○ 토성에 관계없이 토심이 깊고 보수력이 좋은 토양

2. 기상환경

○ 일조량이 적고 기온이 낮은 곳
○ 여름에 강우가 많은 해

3. 과실상태

○ 당도가 9∼10도 내외로 낮은 때
○ 과실이 크고 과피가 얇고 매끈매끈하며 육질이 연하고
    늦게까지 푸른색을 띨 때

4.나무의 상태

○ 유목이며 신초의 신장이 7월 상중순까지 계속될 때
○ 6월의 엽색이 진하고 잎이 클 때
○ 도장지의 발생이 많고 매년 가지의 경화가 잘 안될때
○ 덕식의 경우 덕 아래가 어둡고 다습하며 통기가 불량     할 때

5. 비배관리

○ 계분과 구비를 매년 사용하는 경우
○ 시비구덩이를 파서 유기물과 비료를 주는 경우
○ 매년 멀칭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 겨울비료가 늦어 3월에 다량 시용하는 경우

6.출화목표

○ 조기출하를 목표로 하는 경우

    米山寬一, 1981, ナミ栽培實際 , 農産漁村文化協會, p.132

              심경방법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배수가 불량한 토양에서는 윤구시비나 방
               사선구 시비는 구덩이가 집수구가 되어 나무의 생육을 오히려 해롭게 하
               므로 곤란하다. 전원시비의 경우 토양에서 이동하기 어려운 인산, 석회, 유
               기물 등은 지표면에 시용하면 근군에 도달하기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심경
               등의 방법으로 토양에 골고루 섞이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엽면시비
         1) 엽면시비의 목적
             비료 또는 각종 영양제로 토양에 시비하는 대신 나뭇잎에 살포하여 흡수
              시키는것을  엽면시비 또는 엽면 살포라고 한다.  따라서 엽면시비는 토
              양시비와는 달리일시적인 효과를 얻기 위한 것으로 뿌리에서 제 기능이
              안되어 흡수할 수 없을 때 나뭇잎에 살포하여 빠른 시일 내에 보충하고자
              할 때 이용한다. 즉 응급조치라고볼 수 있으므로 상시 이용할 수 있는  방
              법은  아니며 응급조치의  회수가  많으면 뿌리의 제 기능이 떨어질 수도
              있고 필요이상으로 비용을 부담하여 생산감에 역행하는 시비관리가 될
              수 있다.
          2) 배나무 재배에서 엽면시비
             현재 우리 나라 농가에서는 요소의 엽면살포 이외에 마그네슘, 칼륨, 붕소
              등의엽면살포를 실시하고 있다. 또 각종 비료요소가 함유되어 있는 영양
              제(제4종 복비)의 엽면살포가 실시되는 경우도 있다. 영양제 제 4종 복비
              는 나무가 장해 받았을 때 아니면 생리장해 등이 발생했을 때 단기적으로
              처방하는 방법이지 궁극적인 방법은 아니다. (표 9-16)은 각종 양분의 엽
              면시비 성분 및 양분의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것을 참조하여 부족할 때
              는 엽면살포를 하면 된다.
      (표 9-16)엽 면살포제와 살포농도

비료성분

엽  면   살  포  제

살 포  농 도

질   소

인   산
칼   리
칼   슘
마그네슘
붕   소


아연

요소(CO(NH2)2)

H2PO4)
인산 1칼륨, 황산칼리(K2SO4)
염화칼슘(CaCl2)
황산마그네슘(MgSO4, 7H2O)
붕사(Na2B4O·7H2O),
붕산(H3BO3)
황산철(FeSO4 5H2O)
황산아연(ZnSO4 7H2O)

생육기간 : 0.5%정도
수확후 : 4∼5% (사과)
0.5~1.0%
0.5!1.0%
0.4%
2%정도
0.2~0.3%

0.1~0.3%
0.25~0.4%

        * 질소는 농약과 혼용해도 무방, 약해방지를 위하여 인산과 칼리는 그 1/2량
           의 생석회와 혼용. 마그네슘은 요소와 혼용, 붕소는 요소 또는 농약과 혼용
           가함.민감한 품종의 경우, 아연은 동량의 생석회와 혼용하면 약해가 방지됨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나무재배-수체의 생리장해  (0) 2007.12.28
배나무재배-비료의종류  (0) 2007.12.28
배나무재배-비배관리 - 무기성분  (0) 2007.12.28
배나무재배-관수  (0) 2007.12.28
배나무재배-수분관리  (0) 2007.12.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