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 수량증수 재배기술

1. 콩 수량은 어디까지 가능한가

가. 10a당 300~400kg 생산이 가능하다

  (1) 보통재배 408kg/10a('99년,경기파주,통일촌), 팔달콩2호 재배

  (2) 다수확기록667kg(1988년,충북제원,성윤경, 황금콩 재배)

나. 10a당 평균수량비교

  (1)한국(2001)154kg,미국('97~'99)256kg,중국('97~                 '99)176kg, 일본('97~'99)176kg/10a

  (2) 평균 수량이 낮은 원인

   (가)지역간, 개인간의 재배기술의 격차가 크다

   (나)같은 지역에서도 300~400kg을 생산하는 농가가 있는  한편 100kg을 생산하는 농가도 있다

   (다)안정다수 농가는 기본기술 투입과 자신감이 크다

다. 중국의 국영농장 10a당 평균수량

   (1) 2000년도 217kg

  (2) 요녕성(遼寧省) 246kg, 흑룡강성 224kg, 내몽고 180kg

  (3) 우량품종보급, 유기물함량 유지(4%), 충분한 시비,        (4) 밀식적응 내도복성 품종, 발아의 균일성 제고(均平整地) 


2. 콩의 기초생리

  가. 발아 생리

    발아력이란 좋은 환경조건에서 종자가 정상적인 생육이      되는 식물체를 종자 배주(胚珠)에서 발생시켜 이것을  발육시키는 능력이다

   (1) 발아세가 우수한 종자를 사용하여, 결 주를 감소시키고, 그후 생육을 순조롭게 하는데 중요하다

   (2) 종자 수분함량을 18%로 보존하면 고온(30℃)에서는 발  아력을 잃고, 9.4%는 적어도 1년 이상 종자로서 사용가능

   (3) 발아력이 있는 종자도 토양수분, 온도, 통기(산소) 및 토양의 물리성이 부적합하면 발아율이 떨어진다

   (4) 콩 종자의 발아에 필요한 종자의 함수 율은 약 50%정도로서 옥수수31%, 벼26%에 비하여 높다.

   (5) 그러나 종자 주위에 과도한 수분이 있으면 산소 공급이 제한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6) 발아에 필요한 온도는 최하 2~4℃, 최고42~44℃, 최 적30~35℃,일반적으로 10℃이하에서는 발아까지 장시 일이 걸리나, 15℃이상에서는 보통 1주일 전후에 발아된다

   (7) 이 때문에 파종기가 너무 빨라 저온에 처하게 되면 발아 일수가 너무 길어지고 병해충의 발생으로 발아 장 해를 받기 쉽다

나. 발아과정

   (1) 파종된 종자는 먼저 주공(珠孔) 및 배꼽(臍)부분과 종피에서 흡수(吸水)한다. 그후 자엽(子葉)도 흡수하여  비대하고 종피는 파괴되어 유근(幼根)이 크기 시작다. 배축(胚軸)의 신장과 함께 자엽은 종피 밖으로 나와 녹색을 띠고 지상부로 나오게 된다.

   (2) 자엽은 지상에 나오면 엽녹소가 만들어져 잎으로서의   기능을 갖게 된다. 자엽은 양분을 공급하여 초기생육을 도와 신장을 왕성하게 한다

   (3) 자엽에 함유되어 있는 양분의 다소는 발아후의 생육에  크게 영향하여 초기생육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발아 후 2~3주간이 지나면 본엽이 나와 생육은 활발지고 자엽의 역할은 끝이 나고 황변하여 떨어 진다.

  다. 영양생리

    (1) 유한신육형 품종을 결협(結莢)초기에 질소(N), 인산(P), 카리(K), 칼슘(Ca), 마그네슘(Mg)등의 1일 흡수량을 조사한결과,질소0.77kg>카리0.46kg>칼슘0.24kg>마그네슘0.08kg>인산0.04kg> 순위로 질소 흡수량이 가장 많았다 (Henderson,1970)

    (2)식물체400kg/10a중,무기영양소함유량                     

무기영양소

  종실

 줄기와 잎

  뿌  리

 합  계

   질소(N)

   인산(P)

   카리(K)

   칼슘(Ca)

마그네슘(Mg)

   25.0kg

    2.5

    6.5

     -

     -

    8.0kg

    1.0

    4.2

     -

     -

   4.0kg

   0.5

   2.3

    -

    -

  37.0  kg

   4.0

  13.0

   9.0

   4.0

   

    그림 : 생육시기별 비료요소별 총 흡수량(소조,복정.1966)

    (가) 콩은 종실수량 100kg을 생산 할 때 10kg 전후의 질소를 흡수하는  호질소(好窒素) 작물이다

    (나) 콩의 질소공급원은 토양 중에 함유된 토양질소, 인공적으로 시비하는 시비질소, 공생하는 근류균에 의하여 고정하는 고정질소 이

    (다) 고정질소는 콩 일생동안 필요한 질소량의 50%이상을 공급하기 때문에 질소시비의 효과가 크지 않은   것은 고정질소로 충당되기 때문이다

    (라) 생육시기별 비료요소별 총 흡수량을 보아도 질소는    개화기에서부터 흡수량이 급속도로 많아지며 황엽 기전에 최고에 달한다

    (마) 콩은 칼슘 흡수량이 많다는데 주목해야 한다

   (3) 콩과 같이 발육하는 근류(根瘤)

    (가) 콩은 뿌리에 붙는 근류균이 흙속에 생존하고 있어, 뿌리가 커가면서 분비물이 나오게 되면 근류균이

         착생 증식하고, 근류균은 뿌리의 표피로 침입하여 피층(皮層)조직에 근류를 만든다.

    (나) 콩 뿌리로부터 糖分을 공급받고, 근류균은 공기중의   질소를 고정시켜 콩에 공급한다.

    (다) 콩의 생육이 진전함에 따라 근류 수가 증가하고, 개화 1개월 후에 최대 번성기(繁盛期)가 된다. 그 후  감소하여 성숙 후에는 다시 흙으로 돌아 간다

   (4) 시비질소는 흡수량의 5%

    (가) 콩은 시비질소보다 근류균이 만드는 고정질소(固定窒素)의 흡수량이 크기 때문이다

    (나) 콩을 재배한다는 것은 근류균을 잘 발육시킨다는 의미가 된다

    (다) 1983년 다나까씨의 연구결과 10a당 콩 445kg을 생산하였을 때, 지력질소 12.1kg, 근류균의 고정질소18.6kg,시비질소 1.5kg, 계 32kg을 흡수, 시비질소  흡수율은 5%에 불과

   (5) 근류균의 번식을 증대시킬 수 있는 비배관리 중요

    (가) 질소비료가 많으면 근류의 착생을 방해한다. 또한  형성된 근류균의 활동도 나쁘다

    (나) 같은 질소 분이라도 퇴비를 계속준 지력질소가 많은    비옥한 토양일 수록 잘 증식한다

      1) 질소비료를 많이 주지 말 것

      2) 산성 토양이 아닐 것(석회 투입)

      3) 토양수분이 적당할 것(습해, 건조에 약함)

      4) 토양에 통기조직이 좋을 것(많은 산소 흡수)

      5) 유기물 함량이 적절할 것(퇴비 시용)

      6) 인산이 많을 것(인산은 근류의 증식 촉진)

      7) 콩의 생육이 양호 할 것(공급 당분이 많아 근류증식이양호-공생관계)

      8) 배수대책, 중경제초, 배토의 효과가 큰 것은 콩 생육   뿐만 아니라 근류균의 발육을 높인다

      9) 석회 시용으로 산성을 교정하는 것, 퇴비나 인산을 기 비로 주어, 토양개량을 하는 것도 근류균의 발육을 돕는 것이고, 콩이 좋아하는 환경이 곧 근류균이 좋아하는 것이 된다.

   (6) 생육초기와 결실기(結實期)에는 질소가 부족

    (가) 질소비료는 근류균의 발육을 방해한다고 해서 질소비료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 아니고, 질소시용은   초기 생육에 좋다(기비로 질소비료를 주어 근류균이 질소 고정을 할 때까지)

    (나) 개화기 전후의 콩은 급생장하는 기간에 근류수도 많아지고 많은 고정질소를 공급한다

    (다) 근류균은 개화기 이후가 되면 급속하게 감소하기 때문에 지력이 없으면 꼬투리의 신장, 종실의 비대기 에 질소가 부족하게 된다

    (라) 개화기 전후의 질소 추비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이때문이다

  라. 발아에서부터 생육초기까지는 과습(過濕)에 약하다

  (1) 과습에 약한 발아기

    (가) 토양수분의 과잉(과잉)은 발아를 극단적으로 감퇴시킨다. 그러나 토양수분이 너무 적으면 발아율이 떨어지고 발아까지의 시간이 길어진다. 그러므로 비가 많이 오면 배수작업을 철저하게 해야한다

    (나) 습해가 발생하면 자엽의 양분을 다 소비한 다음 빨리 황화(黃化)하여 버린다. 근중(根重)도 적고, 근류 균도 산소부족으로 증식되지 않으며 착생수도 적어진다

   (2) 파종된 콩은 물을 흡수하여 2배정도 부풀고, 평균기온이 약 15~20℃로 약 1주간에 발아한다. 이 발아율을높이는 것이 소정의 주수를 확보하는데 대단히 중요 하다

   (3) 콩은 과습이나 복토심이 깊으면 발아율이 나쁘고 결주가 생긴다. 큰 자엽(子葉)을 지상으로 올리어 발아하는 콩은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게된다

   (4) 발아에서 초생엽이(初生葉)이 나올 때까지의 장해요소  (수분, 과습, 흙살, 꿩, 비들기 등)를 제거하면, 목표로 하는 주수(株數) 확보는 물론, 안전다수를 이룩할 수 있다

  마. 개화기에 습해에 약하다

   (1) 우리 나라는 콩 개화기에 장마로 습해가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내습성정도는 품종간의 차이가 있다.

  바. 개화기에 습해에 약하다

   (1) 우리 나라는 콩 개화기에 장마로 습해가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품종간에 차이가 있다     

    그림. 습해처리시기에 따른 지하부․지상부 건물중과

          T/R율과의 관계.

   (2) 지상부 건물중의 대조구대비 과습구의 습해지수에  의한 내습성 정도의 구분을 보면, 장려품종 중

      10품종은 내습성이 강한 반응을 보였다

습해지수

구  분

     품       종        명

85%이상

 

  강

 

새알콩,무한콩,장수콩,단원콩,만리콩,태광콩,화엄풋콩,진품콩,익산나물콩,소백나물콩(10품종)

75~84%

 

 

 중강

 

 

장엽콩,황금콩,밀양콩,백운콩,보광콩,단경콩,은하콩, 큰올콩,신팔달콩2호,부광콩,광안콩,푸른콩,두유콩,석량풋콩,(14품종)

65~74%

 

 중약

 

남해콩,장경콩,삼남콩,검정콩1호,신팔달콩,금강콩(6품종)

65%이하

 

  약

 

단엽콩,한남콩,담백콩,명주나물콩,진품콩1호(5품종)

 

   바.개화에서부터 토양수분에 주의(注意)

   (1) 토양수분 부족으로 증가하는 낙화(落花)․나협(落莢)

    (가) 초기생육에서는 습해에 약한 콩이, 급생장하는 개화기 부터는 급격히 요수량(要水量)이 많아진다

    (나) 개화시에 고온으로 건조가 강해지면 수분부족으로 개화수가 감소하고 따라서 낙화, 낙협으로 착협율이떨어진다

   사.개화기부터의 생장을 한번에 가속화시키는 배토(培土)

   (1) 여러 가지의 중경․배토의 효과

    (가) 중경 배토는 제초․도복방지만을 위해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 사람이 적지 않다

    (나) 그러나 배토는 다수확을 위해서 한다. 안정 다수확을 실현하기 위하여 없어서 아니 될 기본기술이다

   (2) 중경 배토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가) 배토 부분에서 신근(新根)의 발생을 촉진하고, 생육후기의 양분과 수분의 흡수를 높인다

    (나) 토양미생물의 활동이 활발하게 되어 토양질소가 급증하고, 후기의 양분흡수가 증가한다

    (다) 토양의 통기성이 좋아지고 근류균과 뿌리의 발육이 좋아진다

    (라) 토양의 수분보축력(水分保蓄力)이 높아지고 한발해

    (마) 근권역(根圈域)넓어지고 도복을 방지 할 수 있다

    (바) 배수 및 관수에 유리하고, 잡초의 발생을 억제한다

   (3) 부정근(不定根)을 발생시켜 양수분의 흡수 증대

    (가) 개화시 전까지 1~3회의 배토를 하는데, 제1본엽절까지한다, 그 배토 된 줄기에서 화력이 높은 신근이 발생한다

    (나) 부정근은 수량을 좌우하는 開花始부터의 급생장에  큰 활약을 한다

    (다) 배토된 부분은 通氣性이 좋기 깨문에 산소를 좋아하는 근류균이 활발하게 증식하고, 固定窒素의 공급이증가한다. 또한 근류균 이외의 토양미생물의 활동이 활발하게 되고, 유기물의 분해가 빨라져서 지력질소의 발현도 높아진다

    (라) 施肥하 것 보다 배토하는 것이 토중 질소량이 증가한다

         배토에 의해 증가한 질소를 활력이 높은 부정근이 흡수하여 개화후의 급생장을 또다시 증가시키는 것이다

    (마) 중경․배토는 토양 표면으로부터의 수분 증발산의  방지효과도 크다. 따라서 개화시부터 수분부족을 방지하여 뿌리를 한발로부터 보호 할 수 있다

 3. 주요 생리 생태

  가. 웃자라지 않고 도복되지 않는 신품종

   (1) 신품종은 내도복성이 강하다

      과거 재래종은 최근에 개발된 품종보다 줄기가 연약하여 비바람이 불면 잎․줄기의 무게를 이겨내지 못하여줄기는 굽으러지고 심하면 90°각도로 땅에 깔리는 상 태가 된다. 그러므로 일직 줄기 밑을 배토하여 주면 도복을 방지 할 수 있다

   (2) 밀식하여도 마디사이(節間)가 신장하지 않는 품종

      키가 커도 줄기는 굵고 짧은 마디사이를 유지할 때 다수확이 가능하다

  나. 수과태세(受光態勢)가 좋은 품종

    (1) 가지(分枝)와 잎자루가 곧게 서는 품종

   밀식하여도 줄기가 단단하고 가지와 잎자루가 곧게뻗어 햇빛을 잘 받을 수가 있고 아래부위 마디에서  나온 잎자루와 잎까지도 늦게까지 수명이 연장되면서 햇빛을 받을 때 꼬투리가 많이 착생한다

       마디마다 발생된 잎은 그 마디의 꽃과 꼬투리의 영양을 공급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다. 햇빛을 따라 움직이는 잎과 잎자루의 활력

    (1) 신품종은 햇빛을 따라 잎이 활발하게 움직인다.

  콩도 해바라기와 같이 태양의 움직임에 맞추어 상위잎이 곧게 서므로 콩 포기 내부까지 빛을 잘 통과시켜 꼬투리의 착생을 좋게 하고 종실 비대(種實肥大)를 활발하게 한다

    (2) 잎자루에 저장되는 탄수화물(炭水化物)

  잎에서 만들어진 탄 수 화 물 은   그   잎  자루에   일 단   저 장   된다. 유협기에, 잎자루의 全糖濃度(탄수화물)와 그 집적량을 보면 다수성인 품종일수록 농도도 높고 집적량도 많았다. 그러므로 단위 면적당 마디수가 많을 수록 잎과 꼬투리 수가 많아지고 다수확이 되는 것이다

   라. 신품종은 결실일수(結實日數)가 길다

    (1) 콩은 개화부터 성숙까지의 기간이 길다

   발아에서 개화까지가 30~60일로 짧으나, 개화에서 수확까지는 70~100일로 길다. 그것은 개화기간이 약 30일로 길기 때문이다. 이 기간은 경엽(莖葉)을 활발하게신장시키는 영양생장과 개화, 결실기간인 생식생장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안정 다수확을 위해서는 이 기간의 영양상태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개화 후 약 1개월부터 결실기간이 길고, 꼬투리가 많고, 잎의 수명이 긴 조건이 중요하다

    (2) 신품종은 결실일수도 잎의 수명도 비교적 길다

    (3) 개화기부터 생육능력을 최대한 발휘토록 한다

    탄수화물과, 단백질 및 기름의 저장고가 되는 꼬투리수가 적으면 경엽에 저장되어 오랜 기간 푸르게 성숙되지 않는다(예:노린재류의 흡즙해). 개화기로부터 흡수가 많어지는 양수분(養水分)을 추비, 관수를 공  급하여 품종의 능력을 발휘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마.10a당 알맞는 재식본수 확보로 안정다수확

    (1) 10a당 20,000(조파)~30,000(만파)개체 이상 확보

      수량=개체수X1개체당 꼬투리수X1꼬투리당 립수X1립

   바. 개화후의 생육량(生育量)이 수량을 좌우한다 

    (1) 최대 무성기에 하엽의 황화․낙엽을 방지 할 수 있는 재배기술을 고려해야 한다

    (2) 개화기부터 급격히 흡수하는 양분을 충당 시킨다

        콩은 질소를 벼의 3~4배 흡수, 인산은 2배, 칼리는 약 1.5배, 특히 석회는 5배이상 흡수한다

    (3 ) 물도 벼보다 2배 필요

        개화후 1개월간의 수분부족은 낙화․낙협을 증가시키고  임실협수와 1협입수의 감소를 갖어온다


   사. 파종시기에 따라 파종량을 조정한다

작형별

파종기

생  육  기  간  (일)

생  육

일수차

50

100

150

단작형

(16품종

평균)

 

 

 

 

 

 

 

 

5. 10

69

72

 141

  0

 

 

 

 

 

 

 

 

5. 30

58

65

 123

-18

 

 

 

 

 

 

 

 

6. 20

52

67

 119

-22

 

 

 

 

 

 

 

 

7. 10

45

67

 112

-29

 

 

 

 

 

 

 

 

 

단 축

개화일수 : -7.8, 결실일수 : -1.5, 생육일수 : -9.3

 

맥후작형

(16품종

평균)

 

 

 

 

 

 

 

 

5. 10

72

75

 147

  0

 

 

 

 

 

 

 

 

5. 30

61

70

 131

-16

 

 

 

 

 

 

 

 

6. 20

49

67

 116

-31

 

 

 

 

 

 

 

 

7. 10

40

66

 106

-41

 

 

 

 

 

 

 

 

 

단 축

 개화일수 : -10.9, 결실일수 : -2.9, 생육일수 : -13.8

 

그림 : 파종기에 따른 생육일수의 단축정도.

   (1) 생육기간이 짧아 질 수록 적절한 밀식재배를 한다.

   (2) 중국 흑룔강성 콩 주산지의 파종방법은 휴폭을 70㎝로하고, 2열로 조파, 조간거리를 15㎝로하여 10a당 약 3만~4만개체의 입모 수로 밀식재배(2002.9.12 조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