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리사육 현황
  전세계의 오리사육 현황을 보면, 1999년 현재 전세계의 오리 사육수수는 830백만수로 1989~1991년 평균 사육수수에 비해 60.9%의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대륙별 오리 사육수수를 보면, 1999년 현재 아시아에서 86.8%인 720백만수를 사육하고 있고, 유럽이 7.8%인 65백만수, 아프리카와 북아메리카가 1.9%인 16백만수를 사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표 1. 세계의 오리사육 현황
 
구 분
1989~1991
평균(A)
1995 1996
1997 1998 1999(B) B/A(%)
516 710 735 736 781 830(100) 160.9
아 시 아
남아메리카
유 럽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오세아니아
441
   9
  39
  13
  14
-
608
  12
  60
  14
  15
   1
633
  12
  59
  15
  15
   1
642
  12
  51
  15
  15
   1
677
  12
  60
  15
  16
   1
720(86.8)
12(1.5)
65(7.8)
16(1.9)
16(1.9)
  1(0.1)
163.3
133.3
166.7
123.1
114.3
-
  주) ( )은 구성비율임.
자료 : 농림부 무역진흥과, 각년도.
           
    연도별 사육수수 증가율에 있어서는 유럽이 66.7%, 아시아가 63.3%로 높은 신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국가별로는 1999년 현재 중국이 전세계 사육수수의 67.7%인 562백만수로 가장 많이 사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베트남이 6%인 50백만수, 인도네시아가 3.4%인 28백만수 순으로 나타나 있다.
           
  표 2. 오리 사육두수가 상위 7개국의 사육두수 변화추이
 
구 분 1989~1991평균(A) 1995 1996
1997 1998 1999(B) B/A(%)
중 국
베 트 남
프 랑 스
태 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우크라이나
324 
25
16
18
25
13
-
463  
43
20
19
27
13
20
483  
44
20
21
27
13
19
493  
44
20
21
27
13
14
512  
50
22
22
28
13
19
562  
50
23
20
28
13
22
173.5
200.0
143.8
111.1
112.0
100.0
-
  자료 : 농림부 무역진흥과, 각년도.
           
    1989~1990년 평균 대비 증가율에 있어서는 베트남이 200%, 중국 73.5%, 프랑스 43.8% 순으로 나타난다.
결국 대륙별, 국가별로 볼 때 중국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국가들의 사육수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국제 오리가격의 향방은 이들 나라에 의해서 주도될 것으로 예상된다.
           
 
표 3. 연도별, 경영규모별 국내 오리 사육두수 변화
(단위 : 호, 수)
 
구 분 1,000수
미만
1,000~
4,999
5,000~
9,999
10,000~
29,999
30,000수
이상
1990 농 가 수
사육수수
호당평균
13,675    
156,482    
11.4 
102    
204,467    
2,004.6 
11    
118,300    
10,754.5 
12    
150,132    
12,511.0 
4    
87,500    
21,875.0 
13,804    
716,881    
51.9 
1991 농 가 수
사육수수
호당평균
14,308    
289,027    
20.2 
166    
355,901    
2,143.9 
35    
309,600    
8,845.7 
11    
174,127    
15,829.7 
2    
60,000    
30,000    
14,522    
1,188,655    
81.9 
1992 농 가 수
사육수수
호당평균
12,507    
224,720    
18.0 
149    
371,383    
2,492.5 
32    
162,000    
5,062.5 
14    
217,500    
15,535.7 
4    
69,400    
17,350.0 
12,706    
1,045,003    
82.2 
1995 농 가 수
사육수수
호당평균
9,115    
213,942    
23.5 
203    
551,893    
2,718.7 
123    
856,700    
6,965.0 
42    
666,368    
15,865.9 
2    
68,000    
34,000.0 
9,485    
2,356,903    
248.5 
1996 농 가 수
사육수수
호당평균
8,168    
235,546    
28.8 
174    
464,203    
2,667.5 
183    
1,047,820    
5,725.8 
59    
853,797    
14,471.1 
40    
863,506    
21,587.7 
8,624    
3,464,872    
401.8 
1997 농 가 수
사육수수
호당평균
8,631    
226,332    
26.2 
196    
464,896    
2,371.9 
121    
801,803    
6,626.5 
72    
1,000,500    
13,895.8 
8    
215,900    
26,987.5 
9,028    
2,709,431    
300.1 
1998 농 가 수
사육수수
호당평균
8,374    
235,289    
28.1 
229    
548,122    
2,394    
112    
733,403    
6,548    
81    
1,054,900    
13,023    
24    
595,500    
24,813    
8,820    
3,167,214    
359.1 
1999. 6 농 가 수
사육수수
호당평균
11,322    
380,706    
33.6 
262    
604,028    
2,305    
139    
880,362    
6,334    
114    
1,464,083    
12,843    
43    
934,550    
21,734    
11,880    
4,263,729    
358.9 
  자료 : 농림부, 기타가축통계, 각년도.
           
    우리나라의 오리 사육 현황을 보면, 1999. 6월 현재 수입개방 원년인 1991년 대비 농가수는 18.2% 감소한 11,880호, 사육수수는 257.8% 증가한 4,264천수, 농가 호당 평균 사육수수는 338.2% 증대한 358.9수로 나타난다.
  경영규모별 농가수에 있어서는 수입자유화 원년인 1991년에 5,000수미만이 전체 사육농가수의 99.7%인 14,474호로 영세한 실정이며, 5,000수이상 사육하는 농가수는 0.3%수준인 48호이나, 이들 농가에서 전체사육수수의 45.7%인 544천수를 사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1999. 6월 현재에는 5,000수미만의 사육농가가 97.5%인 11,584호로 1991년과 비슷한 추세이며, 5,000수이상 사육하는 농가수는 2.5%인 296호이나, 이들 농가에서 전체사육수수의 76.9%인 3,279천수를 사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2. 오리고기의 수급 동향
           
 
표 4. 우리나라 오리고기 수입 물량 추이
(단위 : 톤)
 
년도 미국 중국 프랑스 프랑스 대만 베트남 일본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117
114
107
133
136
218
270
141
  98
   228
1,203
   713
2,936
4,642
7,966
6,134
   507
-
517
840
1,280   
371
143
183
211
1,522   
1,962   
-
-
-
1
-
1
-
1
4
299
161
  12
-
-
-
-
-
-
122
1,471  
571
-
-
-
-
-
-
-
-
10
-
-
-
-
-
-
1,283
3,789
2,693
3,441
4,921
8,368
6,615
2,171
2,063
1,334   24,329   7,029    7 472 2,164 10 35,344  
  자료 : 농림부 무역진흥과, 각년도.
           
    오리고기의 수입물량을 보면, 수입자유화 원년인 1991년에 1,283톤이 들어온 이후 점진적 증가세를 보이면서 1996년 8,368톤를 기점으로 하향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1997. 12월에 중국에서 가금인플루엔자가 발생하여 중국산 오리고기가 국내로 들어올 수 없었기 때문이다.
  국가별 수입물량을 보면, 1991년 이후 현재까지 가장 많이 수출한 국가로는 중국이 24,329톤, 태국이 7,029톤, 베트남이 2,164톤, 미국이 1,334톤, 일본 10톤, 프랑스가 7톤 순으로 나타난다.
  연도별로 보면 수입개방 초창기에는 태국, 중국, 베트남, 대만에서 주로 수입되었고 1994년이후에는 중국과 태국에서 대부분 수입물량이 들어왔으나, 1998년 이후에는 태국과 미국, 프랑스에서 주로 수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금년 5월 이후 중국산 가금류에 대한 수입 재허용으로 국내 오리산업에 큰 어려움이 제기될 것으로 예상된다.
           
 
표 5. 환율변동시 오리고기의 경쟁력 수준
(단위 : 원/kg)
 
1$=원 구분 수입육 가격 국내도매
가격
(B)
B/A
(%)
경쟁가능 산지가격
CIF가격 도매가격
(A)
$/kg 원/정육kg 정육
수당
900 중국
태국
미국
1.9
2.7
3.1
1,710
2,430
2,790
2,291
3,256
3,739
6,500 2.8
2.0
1.7
1,471
2,090
2,400
2,087
2,966
3,406
1,000 중국
태국
미국
1.9
2.7
3.1
1,900
2,700
3,100
2,546
3,618
4,154
6,500 2.6
1.8
1.6
1,635
2,323
2,667
2,319
3,296
3,784
1,100 중국
태국
미국
1.9
2.7
3.1
2,090
2,970
3,410
2,801
3,980
4,569
6,500 2.3
1.6
1.4
1,798
2,555
2,934
2,551
3,626
4,163
1,200 중국
태국
미국
1.9
2.7
3.1
2,280
3,240
3,720
3,055
4,342
4,985
6,500 2.1
1.5
1.3
1,961
2,787
3,200
2,783
3,955
4,541
1,300 중국
태국
미국
1.9
2.7
3.1
2,470
3,510
4,030
3,310
4,703
5,400
6,500 2.0
1.4
1.2
2,125
3,020
3,467
3,015
4,285
4,920
  주 : 1) 수입육 도매가격 : CIF가격을 기준으로 관세(19.0%), 부대비용(5%), 수입업자이윤(10%)을 고려하여 산출
2) 경쟁가능 산지가격 : 수입육 도매가격×0.642(1999년 도매가격에 대한 산지가격의 비율)
           
    환율변동에 따른 국내 오리고기의 경쟁력 수준을 보면, 1$=1,100원 수준에서는 국내산이 중국산 대비 2.3배로 가장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태국산 1.6배, 미국산은 1.4배 수준으로 나타난다.
  이때 경쟁가능 산지가격은 kg당 정육량 기준으로 중국산이 1,798원, 태국산이 2,555원, 미국산이 2,934원, 수당 생체중으로는 중국산이 2,551원, 태국산이 3,626원, 미국산이 4,163원으로 추정된다.
  환율 변화에 따른 수입 오리고기와 국내산 오리고기의 가격 경쟁력 수준은 1$=1,000원일 때 1.6~2.6배 수준으로 나타났고, 산지경쟁가능가격은 kg당 정육량 기준 1,635~2,667원, 수당 생체중으로는 2,319~3,784원, 1$=1,200원일 때 1.3~2.1배, 경쟁가능 산지가격은 kg당 정육량 기준 1,961~3,200원, 수당 생체중 기준 2,783~4,541원으로 추정된다.
  1999년 육용오리 출하수수는 21,439천수로 나타났고, 월별 소비량에 있어서는 6~9월에 여름철 보신용으로 가장 많은 소비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표 6. 육용오리의 출하수수
(단위 : 톤)
 
년 월 산란사료
생산량(톤)
종오리사육수수(수) 종란생산개수
(개)
새끼오리생산수수
(수)
육용오리출하수수
(수)
전년대비 증감
(%)
1999. 1 








10 
11 
12 
1,437
1,515
17,33
1,726
1,614
1,704
1,622
1,612
1,834
2,059
2,028
2,341
159,507
168,165
192,363
191,586
179,154
189,144
180,042
178,932
203,574
228,549
225,108
252,081
2,871,126
2,919,344
3,751,078
3,850,878
3,493,503
3,688,308
3,132,740
3,113,416
3,664,332
4,456,705
4,254,541
4,310,585
1,770,311
1,722,675
1,809,993
2,438,201
2,580,088
2,340,647
2,397,400
1,723,001
1,805,781
2,198,599
2,756,166
2,548,193
1,385,812
1,534,322
1,504,765
1,515,954
1,628,994
2,194,380
2,322,079
2,106,582
2,157,660
1,550,701
1,625,203
1,912,781
14%감
25%증
14%증
44%증
39%증
25%증
39%증
25%증
47%증
39%증
58%증
69%증
21,225 2,348,205 43,506,556 26,091,055 21,439,233 -
  자료 : 한국오리협회, 내부자료.
           
  3. 오리의 가격 동향
           
 
그림 1. 오리의 가격 동향
           
    새끼오리 수당 구입가격은 1990년대 초반까지는 큰오리 판매가격의 12~16% 수준인 555~640원에 거래되었으나, 1990년 중반이후부터는 18~25% 수준인 850~1,033원로 상승하였다. 이는 부화장에서 종오리의 자체 개량보다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태에서 국제가격이 상승하였기 때문이다.
  한편, 큰오리가격은 1990년 초반까지는 점진적 증가추세를 보이다가 수입물량이 급속히 증가되기 시작한 1993년부터 1997년까지는 수당 4,000원에서 거래가 이루어졌다.
  1998년의 경우에는 중국산 오리고기의 수입중단조치로 5,608원로 초강세를 보이기도 하였으나, 1999년에는 사육두수의 급속한 증가로 수당 4,175원에 거래되고 있다.
  특히, 금년 5월이후 중국산 오리고기 수입의 재허용으로 국내 산지가격은 그리전망이 밝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생산성 향상과 사료급여체계의 개선 등을 통한 비용절감이 요구된다.

4. 오리 사육농가의 경영성과
  조사농가의 육용오리 생산기술수준을 보면, 농가 호당 평균 사육일수는 46.9일로 나타났고, 판매시 체중은 수당 3.3kg, 일당증체량은 70.4g, 회전당 사육수수는 12,685수, 연간 총출하수수는 83,182수, 사료요구율은 2.9로 나타난다.
  폐사율은 1주 이내의 폐사율이 1.6%, 2~3주 사이에 1.4%, 4주~출하 사이에 0.8%로 총 3.8%의 폐사가 발생되고 있어 입식 초기의 사육관리가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표 7. 오리 생산기술 수준
 
사육
일수(일)
판매시
체중(kg)

일당
증체량(g)
회전당
사육수수(수)
입식간격
(일)
사료
요구율
폐사율
(%)
연간총출하
수수(수)
46.9 3.3 70.4 12,685 10.1 2.9 3.8 83,182
           
    오리 수당 농후사료 급여량은 9.4kg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당 노동투하시간은 0.052시간으로 연간 부부중심 노동력을 300일을 기준하고, 1일 작업시간을 8시간 기준으로 할 때 농가 호당 적정 사육수수는 92,308수로 시산된다.
  오리사육에 따른 수당 생산비용은 4,370원으로 나타났고, 생체 kg당으로 환산하면 1,324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수당 생산비 가운데 농후사료비가 57.4%인 2,516원, 가축비가 16.4%인 720원으로 전체 생산비의 73.8%를 차지하고 있다.
           
  표 8. 사료급여량 및 노동투하시간
 
구 분 호당 회전당 수당
농후사료(kg)
노동투하시간(시간)
781,911
   4,325
119,238
   695.6
9.400
0.052
           
  표 9. 오리의 생산비(1999)
 
비 목 별 농가호당
(천원)
회전당
(천원)
수당
(원)
kg당
생산비(원)
비목별
구성비(%)




종 축 비
농후사료비
진료위생비
수도광열비
제재료비
소농구비
대농구상각비
영농시설상각비
수리(修理)비
차입금이자
기타요금
59,896 
209,279 
1,674 
8,400 
1,318 
576 
3,733 
4,584 
824 
2,412 
4,990 
9,134 
31,914 
255 
1,281 
201 
88 
569 
699 
126 
368 
761 
720 
2,516 
20 
101 
16 

45 
55 
10 
29 
60 
218.2 
762.4 
6.1 
30.6 
4.8 
2.1 
13.6 
16.7 
3.0 
24.2 
2.7 
16.4 
57.4 
0.5 
2.3 
0.4 
0.2 
1.0 
1.3 
0.2 
0.6 
1.4 
소 계
297,686  45,396  3,579  1,084.4  81.6 
임 차 료
고용노력비
6,725 
11,145 
1,026 
1,700 
81 
134 
24.5 
40.6 
1.8 
3.1 
315,556  48,122  3,794  1,149.5  86.5 
자 가 노력비
유동자본이자
고정자본이자
토지자본이자
23,552 
15,399 
8,647 
1,510 
3,592 
2,348 
1,319 
230 
283 
185 
104 
18 
85.8 
56.1 
31.5 
5.5 
6.5 
4.2 
2.4 
0.4 
비용합계(A) 364,664  55,611  4,384  1,328  100.0 
부산물 수입(B) 1,153  176  14  4.2  -   
생 산 비(A-B) 363,511  55,435  4,370  1,324.2  -   
           
  표 10. 오리의 수익성(1999)
 
구 분 조수입 경영비 생산비 소득 순수익
농가호당(천원)
회전당(천원)
수당(원)
337,469 
451,463 
4,057 
315,538 
48,119 
3,794 
363,494 
55,432 
4,384 
21,931 
3,344 
263 
△26,025 
△3,969 
△327 
           
    오리사육의 수익성을 보면, 수당 조수입은 4,057원, 경영비는 3,794원이 소요되어 263원의 소득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회전당으로는 3,344천원, 농가호당 평균 21,931천원의 소득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5. 오리사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가. 사육농장
  오리산업의 국제 경쟁력 향상과 소득안정화를 위해서는 생력기술의 도입으로 비용절감과 고품질 오리고기를 생산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오리산업은 농가 호당 평균 사육규모가 358.9수로 영세한 실정이며, 사육시설의 노후화 등으로 생체 kg당 생산비가 1,324원으로 높은 실정이므로서 생산비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사료비와 가축비의 절감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사료비 절감을 위해서는 지역주민이나 생산자단체를 통한 공동구매 및 현금결재로 구입비용을 낮추고, 현재와 같은 무제한 급여체계에서 제한급여체계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종축비에 있어서도 개별구입 보다는 공동구입하고, 구입처를 통일하여 대량거래에 따른 규모경제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육시설의 현대화와 생력기술의 도입으로 규모확대를 도모하고, 판로의 안정화 및 제값 받기 실현을 위한 출하처의 통일이 필요하다.

나. 부화장
  국내 오리산업은 규모확대를 도모하는 과정에서 판매비와 일반관리비가 과다하게 지출되어 오리새끼 분양가격이 높은 실정이므로 부화업계의 활성화와 판매망의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오리사육의 생산성 향상과 고품질 오리고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종오리에 대한 후대검정 사업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대부분의 부화장은 종오리의 생산과정이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종오리의 최근 수입량 및 금액은 1998년에 33,351수, 금액은 166천$에 달하고 있다.
  한편, 계절별로 차이가 많이 발생되고 있는 산란율, 부화율 향상을 위해서 시설현대화 및 생력기술 도입이 필요하고, 규모확대와 더불어 계획적인 생산라인의 구축을 위한 사육농가와의 연계로 판매비와 일반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다. 정부
  국내 오리산업은 건강식품으로서의 각광을 받아 소비량이 매년 큰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수입오리고기와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생산비의 절감과 고품질 오리고기 생산을 해야하나, 오리산업에 대한 정부지원은 상대적으로 다른 축종에 비하여 미흡한 실정이다
  오리산업은 사육체계가 유사한 육계와는 달리 부화장, 사료공장, 약품생산 업체, 사육농가, 도압장, 유통 등 각 단계가 대부분이 독자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같이 개별경영체가 상호 연계되지 못함에 따라 의사결정의 분산과 이윤이 상충됨으로써 오리 생체 kg당 생산비가 1,324원으로 높고, 도매가격은 정육 kg당 6,500원 수준으로 대외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
  2003년부터 오리도압은 허가된 작업장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법제화를 했다지만, 오리전문 도압장은 하나도 설치된 지역이 없어 육계에 비하여 작업이 어려운 오리의 경우 도압 수수료가 과다하게 지출되고 있다.
  특히, 오리의 도압장은 소규모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으며, 1일 작업량은 500수내외의 소규모 작업장에서 도압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물류비용이 과다하여 유통비용 증가를 가져와 수입 오리고기와의 경쟁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은 실정이다.
  또한, 오리고기 품질개선을 위해서는 품종 및 사양기술도 중요하지만, 도압과정의 위생적인 조건도 간과해서는 안되며, 특히 현재와 같은 중간상인들이 하고 있는 가내수공업식의 도압장 운영체계에서는 위생적인 오리고기 생산을 바라는 것은 무리이다.
  특히, 오리전문 도압장 없이는 대량거래를 수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다양화를 도모할 수 없기 때문에 지역별 중규모의 오리전문 도압장 건설이 필요하므로 개별농가의 시설자금지원은 확대와 더불어 계열화사업의 진전을 위한 종합적인 지원시책으로 대외 경쟁력 향상과 고품질 오리고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지원되어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