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이른 봄철 관리

 ❍ 한우의 봄맞이 관리

   - 방풍막 유지

    ․ 우리나라는 봄철에 바람이 많으므로 겨울철 설치한 축사의 방풍막을 너무 일찍 제거하지 말고 바람이 직접 소에게 닫지 않도록 막아 주어야 함.

    ․ 방풍막 설치는 여러 가지 재료들을 이용할 수 있으나 가능하면 조사료 등을 북서쪽으로 저장하여 방풍막이로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임.

    ․ 양축가들이 방풍막 설치는 잘하나 샛바람에 대한 관심이 적은데 샛바람은 소 질병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므로 철저히 차단

   - 충분한 깔짚의 준비

    ․ 설사예방을 위하여 깔짚을 충분히 준비

    ․ 특히 산간지방에서도 보온을 위하여 볏짚, 톱밥, 왕겨 등을 충분히 제공

   - 급수급이 관리

    ․ 축사 내 급수시설의 청결유지

    ․ 물통의 전열창치나 급수관과 배수관 등이 누전누수 예방


 ❍ 생산성 향상을 위한 사양관리

   - 번식우 관리

    ․ 볏짚과 같은 질이 낮은 조사료 위주로 임신우를 사양할 때에는 농후사료를 하루에 2.5∼3.5㎏정도 급여해야 함.

         ․ 이는 임신우의 영양상태가 나쁘면 허약하고 체중이 작은 송아지가 태어나기 때문이며 임신말기 2∼3개월 동안에 태아가 급격한 발육을 하기 때문에 10∼20%정도의 농후사료를 추가급여 해야 함.

    ․ 분만 후에는 송아지가 필요한 영양소를 어미젖으로부터 공급받기 때문에 분만 전보다 10∼15%정도 증량급여

   - 송아지 관리

    ․ 생후 일주일 이내 송아지의 임계온도는 13℃정도인데 일교차가 심해지는 시기에 송아지를 외부에 방치하면 설사 등 질병 발생 우려가 있으므로 분만 후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함.

    ․ 갓 태어난 송아지는 온몸에 양수가 묻어 있으므로 출생 즉시 콧구멍과 입안에 들어 있는 양수를 깨끗한 수건으로 닦아주고 몸에 묻어 있는 양수는 어미소가 핥게 하거나 부드러운 건초 등으로 닦아주어 체열 발산을 막고 빠른 시간 내(20분∼1시간)에 초유를 먹이도록 함.

    ․ 송아지 방은 잘 마른 깔짚을 충분히 넣어 주어 안락하고 따뜻하게 해 주며 이 때는 질병감염이 쉬운 시기이므로 위생에 유의하도록 함.

          ․ 특히 축사에 샛바람이 스며들면 호흡기 발생이 많아지므로 철저히 막아줌.

   - 비육우 관리

   ․ 비육 중인 한우는 바람에 적응성이 양호해 기온이 떨어져도 큰 문제가 수반되지는 않는 반면 사료의 섭취량이 증가되어 증체에 유리할 수도 있음.

   ․ 수분함량이 많은 조사료를 조금씩 나누어 급여하고 마른 사료급여 시는 음수량이 늘어나므로 급수에 유의

   - 고급육 생산우 관리

    ․ 고급육 생산을 위한 거세우의 육성기 및 비육전기는 제한급여를 하는 시기이므농후사료를 사양프로그램에 제시한량 만큼만 급여하면 사육단계별 목표 증체량을 얻을 수 없게 됨.


□ 위생적인 원유 생산을 위한 유방염 관리

 ❍ 유방염의 증상

   - 유방염은 유선조직의 염증을 의미. 유선조직의 염증은 병원균의 감염, 물리적·화학적 자극에 대해 정상 기능으로 회복되려 하는 일종의 생체반응임

   - 유방염은 직접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임상형 유방염과 육안으로 관찰 할 수 없고 검사로 세균감염을 알 수 있는 준임상형으로 구분

   - 임상형 유방염은 감염여부가 육안으로 확인되는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을 나타냄

    ․ 원유내 침전물 및 덩어리가 나타남.

    ․ 염증 때문에 유방에서 열기가 느껴지고 유방이 벌겋게 부움.

    ․ 소가 통증을 느낌.

    ․ 비유기능이 정지되고 사료섭취량이 갑자기 감소.

   - 준임상형 유방염은 외관상으로는 우유가 정상적으로 보이기 때문에 발견하기 어려우며 발생율이 임상형 유방염보다 15∼40배 높으며 우리나라 전체 유우의 30% 정도가 감염된 것으로 보이며,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사를 통하여 조기발견 하여야 함

       - 준임상형 유방염의 경우 산유량의 감소와 비위생적인 원유를 생산하는 것 이외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각별히 유의하여야 함

   ․ 발견하기 힘듬.

   ․ 쉽게 임상형 유방염이 됨.

   ․ 감염기간이 길고 건강한 소에 감염원이 됨.

 ❍ 유방염 진단

   - 실험실에서는 우유를 배양액에다 24시간, 48시간 또는 78시간 동안 배양해서 원균을 찾아내거나 체세포수를 계산하여 진단한다. 체세포의 측정은 현미경하에서 직접 계산하거나 표준평판배양법, 또는 체세포측정기 등을 이용함

   - 양축가가 유방염을 간이 진단할 수 있는 방법 및 검사요령은 다음과 같음

   <스트립 검사법 (Strip Test)>

    ․ 4∼5줄기의 첫젖을 스트립 컵이나 검은 천위에 짠다.

    ․ 우유의 침전물, 응고유무 및 붉기 정도를 관찰

   <C.M.T 검사법>

   ․ C.M.T용 백색 플라스틱 패들에 각유구의 우유를 짜 넣는다.

   ․ 우유를 백색 플라스틱 패들에 2㎖ 정도 남기고 쏟아낸다.

   ․ 백색 플라스틱 패들에 2㎖ 정도의 C.M.T 시약을 첨가한다.

   ․ 백색 플라스틱 패들을 우유와 시약이 고루 섞이도록 약 10초 동안 동심원상으로 돌린 후 판정기준표에 의하여 판정한다.

 ❍ 유방염 예방관리

   - 앞에서 언급한 착유관리를 따르고 환경위생을 지킴.

   - 치료효과가 없는 만성 유방염에 감염된 유우는 조기도태 실시

   - 건유시 유방염 예방 및 치료를 철저히 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