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 흰가루증상 발생원인과 방제대책


1. 포도 흰가루 증상의 발생원인

최근 포도 주산지를 중심으로 결과지와 과실에 흰색곰팡이가 부착하여 상품으로의 가치가 없는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런 현상은 잦은 강우로 인해 습한 날씨가 이어질수록 심하다. 농가에서는 흰가루병으로 오인하거나 일부에서는 “곰팡이병”으로 부르며 발생원인과 방제대책을 몰라 포도 재배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캠벨얼리 포도의 결과지와 과실에 주로 착색기 이후에 습한 날씨가 계속되는 해에 많이 발생하는 흰가루 증상의 원인을 구명하고자 김천, 안성 등 우리나라 포도 주산지를 비롯한 4개 지역에서 채집한 시료에서 미생물을 분리한 결과는 표1과 같았다.

미생물 분리결과 9종 이상의 미생물이 분리되었고, 분리한 미생물을 건전한 포도나무의 결과지에 다시 접종한 결과 Acremonium sp.균과 Trichothecium sp.균 2종류에서 같은 증상이 재현되었다. 따라서 포도흰가루 증상은 이들 2종의 미생물이 단독 또는 혼합하여 표면에 기생하여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자현미경을 통한 검경 결과 다른 일반 식물병원균들이 식물체의 조직을 침입하는 반면, 이들 미생물은 단지 표면을 감싸고 있고 조직 속을 침입하지는 않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한편 천안 등 포도 주산지에서 캠벨얼리 이외의 품종에서도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확산될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1> 포도 과실과 결과지에 나타난 흰가루증상


<사진 2> 포도 흰가루증상에서 분리한 Trichothecium sp.균(좌)과 분리균이 과실표면을 뒤덮고 있는 모습(중) 및 사과 갈색무늬병균(우상)과 포도 갈색무늬병균(우하)의 침입과정


<표 1> 포도흰가루 증상에서 분리한 미생물 종류 및 재접종 결과 (2003, 원예연)

분리균

채집지역

접종결과

Acremonium sp.

Alternaria sp.-1

Alternaria sp.-2

Aspergillus sp.

Cladosporium sp.

Fusarium sp.

Geoticum sp.

Penicillium sp.

Trichothecium sp.

기타

수원, 김천, 영동, 안성

++

-

-

-

-

-

-

-

++

-



2. 포도 흰가루 증상의 방제대책

흰가루증상에 대한 방제 약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기존에 포도에 등록되어 사용하고 있는 약제를 계통별로 구분하여 1종씩 6종을 공시하여 흰가루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발생 초기부터 10일 간격으로 3회씩 처리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포도 흰가루병에 등록되어 사용하고 있는 디페노코나졸유제의 경우 무처리에 비하여 82.4%의 방제효과를 나타내 효과적인 방제약제로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무처리>

<디페노코나졸유제>

<이프로수화제>


<표 2> 포도 흰가루 증상 방제약제 선발 시험 결과(2003, 원예연)

약제명

희석배수(배)

발병도

방제가

디페노코나졸(유)

이프로(수)

타로닐ㆍ마이탄(수)

디치(수)

프로피(수)

포세칠알(수)

무처리

2,000

1,000

500

1,000

500

500

-

12.9

32.9

47.1

47.1

37.1

51.4

72.9

82.4a

54.9b

35.3b

35.3b

49.0b

20.4c

-


<타로닐ㆍ마이탄(수)>

 

<프로피수화제>

<그림 3> 포도 흰가루증상에 대한 약제방제 효과(2003, 원예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