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루이의 생태 및 방제

1. 서론

  온실가루이는 매미목(Homoptera) 가루이과(Aleyrodidae)에 속하는 곤충으로 흰색의 작은 해충이다. 원래 미국의 남서부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에는 열대지역에서 한대지역에 이르기까지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1977년 2월 수원에서 스테비아, 라벤다, 쥐오줌풀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이 당시에는 남미에서 도입된 스테비아 묘를 통해서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그 이후에 본 해충은 완전 박멸되었다고 보고된바 있다.

  그러나, 1983년 10월에 수원지역의 토마토에서 재발견되어 셀러리, 감자, 란타나 등에서도 확인되었으며 이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도입된 란타나를 통해서 재침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 후 온실가루이는 국내에 하우스 재배 면적이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전국적으로 번져 현재에는 하우스 재배작물의 대표적인 난방제 해충으로 등장하였다. 특히 경남, 전남지역과 제주도 등 시설원예 주재배지에서는 연중 발생하고 있다.


2. 피해양상

  온실가루이는 기주 범위가 넓어 약 84과 249종의 식물을 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충과 성충이 모두 진딧물과 같이 식물체의 즙액을 빨아먹는데 주로 잎의 뒷면에서 가해한다. 이 해충에 의해 피해를 받은 식물은 잎과 새순의 생장이 저해되거나 퇴색, 위조, 낙엽, 생장저해, 고사 등 직접적인 피해를 받으며, 배설물인 감로에 의해 그을음병을 유발시켜 상품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광합성에 저해를 주며 바이러스를 매개하여 간접적인 피해를 일으킨다.

  발생이 많아 피해가 진전되면 피해 받은 오이, 수박, 거베라, 토마토 등 기주 작물의 주위에 배설물에 의한 그을음병이 생겨 회색의 지저분한 무늬가 생기므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또한 포인세치아 등은 피해를 받으면 잎이 떨어지고 줄기만 남는다.

 

3. 생활사

  성충은 새로 나온 잎을 선호하여 식물의 즙액을 빨아먹고 생활하며 그 곳에 일생동안 약 300개의 알을 낳는다. 알에서 갓 깨어난 1령 약충은 활동성이 있어 이동하다가 적당한 장소를 찾으면 침 모양의 구기를 식물체에 꽂아 넣고 고착하며 2령 이후에는 다리가 퇴화하여 움직이지 못하고 한 곳에 붙어 흡즙 가해를 한다. 따라서 식물체의 아랫 잎에서부터 윗 쪽의 신엽으로 번데기, 유충, 알, 성충의 순서로 수직분포를 하는 경향이 있다.

  이 해충은 알에서 성충까지 되는데 3~4주정도 소요되고 증식력이 대단히 높아서 짧은 기간 내에 다발생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고 있다. 또한 온실 내에서는 연중 휴면 없이 발생할 수 있어 시설원예작물 재배지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앞으로 점점 문제시될 것으로 전망된다.

  알, 유충, 번데기, 성충 등 각 태가 공존하며 알, 유충 등에 대한 살충효과가 낮고 각 태별 약제의 효과가 달라 약제 방제에 어려움이 있다.


4. 방 제

  성충은 유기인계 및 피레스로이드계 전용약제를 살포하면 방제가 가능하나 알과 번데기가 살아 남으므로 농약 안전사용기준을 지켜 7~10일 간격으로 수 회 잎 뒷면에 골고루 살포하여야 한다. 현재 외국에서는 천적인 온실가루이좀벌(Encarsia formosa)을 이용하여 높은 방제효과를 얻고 있는데 온실가루이좀벌에 영향이 적은 농약을 선발하여 천적과 농약을 같이 이용하고 있다. 한편 Verticillium lecanii라는 곰팡이를 이용하여 방제하기도 한다. 국내에도 온실가루이좀벌을 도입하여 대량증식 및 이용방법이 어느 정도 실용화 단계에 있으며 온실가루이 방제용 살충성 곰팡이(Verticillium lecanii)가 실증시험단계에 와 있어 조만간 실용화될 전망이다.

 

온실가루이 성충

 

온실가루이 난

 

 온실가루이 약충

 

온실가루이에 의한 그을음병 피해

 

온실가루이에 의한 그을음병 피해



참고 문헌

友國雅章, 日本原色カメムシ圖鑑. 1993, 全國農村敎育協會

최귀문, 한상찬, 이문홍, 조왕수, 안성복, 이승환. 1990. 채소해충 생태와 방제. 농업기술연구소. 224pp.

河田党, 作物病害虫事典. 1975, 株式會社 養賢堂

집필 : 농업과학기술원 이상계(전화 : 031-290-0467, E-mail : sglee@rda.g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