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명나방 | ||||
![]() |
기관 : 작물시험장 | ||||
![]() |
성명 : 임대준 | ||||
![]() |
전화 : 031-290-6763 | ||||
학명은 Ostrinia furnacalis(Guen’e)로 명나방과에 속하며 유럽에 분포되고 있는 O.nubilaris와는 다른 종이다. | |||||
1. 숙주 및 분포 | |||||
숙주는 옥수수를 비롯한 조, 피, 율무, 수수, 기장 등 화본과를 가해하며 한국, 일본, 중국, 인도, 필리핀, 호주 등에 분포한다. | |||||
2. 형 태 | |||||
가. 성 충 | |||||
몸 길이는 13~15㎜이고 날개를 편 길이는 25~35㎜으로 앞날개에는 물결무늬가 있고 뒷날개에는 한줄의 황색띠가 있으며 암컷은 담황색내지 적갈색이고 수컷은 암황갈색내지 암적갈색이다. | |||||
나. 알 | |||||
긴 지름이 0.8㎜의 납작한 타원형이며 산란초기에는 담황색이나 부화시기에는 회흑색으로 변한다. | |||||
다. 유 충 | |||||
몸길이 20~25㎜내외로 전체가 거의 담황색내지 암갈색으로 머리와 앞가슴 피부판은 흑갈색이며 각 마디에 담갈색의 육질돌기가 많이 나 있다. | |||||
라. 번데기 | |||||
길이 12~16㎜내외로 갈색내지 암갈색으로 얇은 고치속에 들어 있다. | |||||
![]() | |||||
그림 1. 옥수수 조명나방의 생육시기별 형태, 피해 양상 | |||||
1. 조명나방성충 2. 알덩어리 3. 유충의 가해 3₁: 수꽃(어린유충) 3₂ : 줄기(다자란유충) 3₃ : 수꽃대 피해 4. 번데기 5. 알좀벌 5₁ : 성충 5₂ : 기생알덩어리(화살표) | |||||
3. 생활사 | |||||
1년에 2~3회 발생하며 추운 북부지방에서는 2회 발생하고 노숙유충으로 월동하여 이듬해 봄에 번데기가 된다. 제 1회 성충은 5월 하순~6월 중순에 걸쳐 우화하고 주로 벼과 식물에 알을 낳으며, 제 2회 성충은 7월 중순~8월 초순에 우화하여 옥수수, 율무, 조 등의 잎 뒷면에 알을 낳는다. 제 3회 성충은 8월 중순~9월 초순에 우화하여 추운 지역은 이보다 10일 정도 늦게 발생한다. 성충은 야간등화에 유인되며 수명은 약 2주간으로 산란전 기간은 3~4일이고 산란기간 약 1주일동안 10여 개의 알덩어리로 300~1000개의 알을 잎 뒷면에 2~4열의 고기비늘모양으로 중첩하여 산란한다. 알기간은 4~6일, 유충기간은 25~30일(월동유충은 300일정도), 번데기 기간은 월동하지 않은 세대에서는 3~15일, 월동세대는 2~24 주로 옥수수 줄기, 옥수수이삭의 속대, 낙엽속 등에서 월동한다. | |||||
4. 가 해 | |||||
매우 잡식성 해충으로 제 1화기 어린유충은 무더기로 살며 초기에 상부 또는 중부의 잎 뒷면 엽육을 식해하며 2~3령 이후에는 엽초 또는 줄기속으로 파고 들어가 속을 가해한다. 피해가 심하면 바람에 줄기가 부러지거나 먹어 들어간 부분의 위쪽이 말라죽게 되어 기계작업이 어려워지며 종실에 피해를 받으면 품질과 수량이 떨어진다. 특히 당 함유량이 많은 품종일수록 피해가 커 상품가치를 떨어뜨리므로 경제적 손실이 크다. 내부로 먹어 들어간 곳에서 담갈색의 똥을 밖으로 배출하므로 다른 벌레와 구별하기 쉽다. | |||||
5. 방제법 | |||||
가. 화학적 방제법 | |||||
6~7월경 제2화기 성충발생이 시작되면 후라단 입제나 침투성 살충제를 1주 간격으로 2~3회 뿌린다. 주의할 것은 단옥수수 이삭을 수확하기 20일 전에는 살충제를 뿌려서는 안된다. | |||||
나. 재배적 방법 | |||||
(1) 옥수수 수확 후 포장내 피해주 또는 다른 식물체를 깨끗이 제거하거나 이듬해 봄 유충이 활동하기 전 그루를 태워 유충밀도를 낮춘다. (2) 출수전에는 어린유충이 수꽃을 식해하며 수술대 속으로 먹어 들어감으로 피해를 받은 수술대는 잘라 태워 유충의 분산을 막는다. (3) 단옥수수나 초당옥수수 등 당 함유량이 많은 품종은 조기재배 함으로써 해충가해 시기를 피한다. (4) 조명나방에 대한 내충성은 식용옥수수, 사료용옥수수, 찰옥수수 순으로 강하므로 용도별로 선택 재배하여 피해를 경감시킨다. | |||||
다. 생물적 방제 | |||||
알 기생봉으로 알좀벌(Trichogramma sp.)과 유충 기생봉인 고치벌 등이 있으며 알좀벌은 기생율이 높아 대량 증식하여 방제에 이용할 수 있다. | |||||
참 고 문 헌 | |||||
김인환 외. 1971. 원색생태 농림해충도설. 학창사. 농촌진흥청. 1978. 식량작물의 해충도감. 백운하 등. 1984. 신고 해충학. 향문사. 이영복 등. 1980. 조명나방의 생태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보호학회지 19(4) : 187-192. | |||||
출처 : 곧은터 사람들
글쓴이 : 솔메 원글보기
메모 :
'밭작물재배 > 옥수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옥수수 재배법 (0) | 2007.03.04 |
---|---|
[스크랩] 간단한 옥수수 재배법 (0) | 2007.02.25 |
[스크랩] 옥수수-수퍼 스위트콘 재배법 (0) | 2007.02.04 |
[스크랩] 대학찰 옥수수 농사일기... (0) | 2007.01.30 |
[스크랩] 대학찰옥수수 재배법(무주 하얀이농원에서) (0) | 2007.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