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더덕의 병해 |
|
|
|
|
|
|
기관 : 농업과학기술원 |
|
|
|
성명 : 김완규 |
|
|
|
전화 : 031-290-0439 |
|
|
|
|
|
|
|
|
|
|
|
|
|
|
더덕은 주로 강원, 경기, 전북지방의 산간지대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약초인데, 최근 녹병, 시들음병, 줄기썩음병 등에 의한 피해가 큰 실정이다. 따라서 이들 병으로부터 경제적인 피해를 크게 줄이기 위해서는 조기에 병을 진단하여 종합적인 방제대책을 세워야 한다.
|
|
|
|
1. 녹병 |
|
|
|
가. 병증세 |
|
|
처음에는 잎의 뒷면에 가루모양의 노란색 포자덩어리(하포자퇴)가 여기저기 흩어져 붙어 있으며, 병이 진전되면 부정형의 병무늬가 생기고, 잎이 찢어지기도 한다. 더 심해지면 잎이 퇴색하여 말라 죽는다.
|
|
|
 |
|
|
|
|
그림 1. 녹병
|
|
|
|
|
나. 발생요인 |
|
|
녹병은 코레오스포리움(Coleosporium)균에 의해서 발생되는데, 이 균에는 하포자와 동포자, 그리고 수포자 시대가 있어 다른 식물에 기생하여 생활주기를 바꾸는 기주교대의 특성이 있으나, 더덕녹병의 발생생태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
|
|
다. 방제법 |
|
|
병발생 초기에 채소작물에 사용되는 녹병약을 뿌리면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더덕에는 방제농약으로 고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약제를 뿌릴 때는 미리 약해여부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만 한다.
|
|
2. 점무늬병 |
|
|
|
가. 병증세 |
|
|
잎에 부정형의 작은 점무늬가 형성되는데, 병무늬 가장자리는 잎맥을 경계로 각이 진 것처럼 보인다. 더 심해지면 잎이 누렇게 변하고, 일찍 떨어진다.
|
|
|
 |
|
|
|
|
그림 2. 점무늬병
|
|
|
|
|
나. 발생요인 |
|
|
점무늬병은 셉토리아(Septoria)균에 의해서 발생되는데, 이 균은 병든 부위에서 병자각을 형성하고, 병자각 내에는 실모양의 많은 병포자를 형성한다. 병원균은 병든 부위에서 병자각의 형태로 월동하여 이듬해 봄에 병포자가 흩날려 다시 더덕을 침해하는데, 온도가 높고 습기가 많은 여름철의 장마기에 발생이 심하다.
|
|
|
다. 방제법 |
|
|
점무늬병의 발생이 심한 포장에서는 가능한 한 이어짓기를 피하고, 약제방제는 병발생 초기에 해주어야만 한다. 국내에서는 더덕점무늬병에 대한 방제농약이 고시되어 있지 않으나 캡탄수화제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약제를 뿌릴 때는 미리 약해 여부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만 한다.
|
|
3. 탄저병 |
|
|
|
가. 병증세 |
|
|
잎과 줄기에 원형 내지 타원형의 병무늬가 형성되며, 병무늬의 주위는 갈색 내지 자갈색을 띤다. 심하면 병무늬가 부정형으로 커지면서 잎이 마른다.
|
|
|
 |
|
|
|
|
그림 3. 탄저병
|
|
|
|
|
나. 발생요인 |
|
|
탄저병은 콜레토트리쿰(Colletotrichum)균에 의해서 발생되는데, 이 균은 병든 부위에서 포자층을 형성하고, 포자층 위에 긴 타원형의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주로 비바람 등에 의해 분생포자가 흩날려 더덕의 잎과 줄기를 침해하는데, 비가 많이 오는 여름과 가을철에 발생이 심하다.
|
|
|
다. 방제법 |
|
|
더덕 탄저병의 방제농약으로 고시된 농약은 없으나, 채소작물에 사용되는 탄저병약을 병이 발생한 초기에 뿌리면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약제를 뿌릴 때는 미리 약해여부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만 한다.
|
|
4. 시들음병 |
|
|
|
가. 병증세 |
|
|
병든 식물체는 줄기의 땅과 맞닿는 부위가 약간 움푹 들어간 상태로 변색되어 마르며, 지상부가 시들고 말라 죽는다.
|
|
|
나. 발생요인 |
|
|
시들음병은 후사리움(Fusarium)균에 의해서 발생되는데, 이 균은 토양전염성으로 병든 부위에서 초승달 모양의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병원균은 후막포자의 형태로 월동한 다음, 이듬해 봄에 후막포자가 발아하여 다시 더덕을 침해한다.
|
|
|
다. 방제법 |
|
|
발생이 심한 포장은 이어짓기를 피하고, 병발생 초기에 베노밀수화제를식물체의 땅과 맞닿는 부위에 뿌려주면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방제농약으로 고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미리 약해 여부를 검토한 후 사용해야만 한다.
|
|
5. 줄기썩음병 |
|
|
|
가. 병증세 |
|
|
병에 걸린 식물체는 줄기의 땅과 맞닿는 부위에서부터 검게 변색되어 썩으며, 지상부의 생육이 나쁘고 뿌리가 잘 크지 않는다. 심하면 식물체가 시들어 죽는다.
|
|
|
나. 발생요인 |
|
|
줄기썩음병은 라이족토니아(Rhizoctonia)균에 의해서 발생되는데, 이 균은 주로 균사의 신장에 의해서 식물체를 침해한다. 병원균은 병든 부위나 토양 중에서 균핵을 형성하여 월동한 다음, 이듬해 봄에 다시 식물체를 침해한다.
|
|
|
다. 방제법 |
|
|
발생이 심한 포장은 이어짓기를 피하고, 병발생 초기에 방제농약으로 펜시쿠론수화제 혹은 토로스수화제를 식물체의 땅과 맞닿는 부위에 뿌려주면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방제농약으로 고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미리 약해 여부를 검토한 후 사용해야만 한다.
|
|
참 고 문 헌
|
|
|
|
농업기술지. 1992. 제 308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