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품종
1) 촉성재배에 이용되는 주요품종
품종명 |
꽃색 |
초형 |
품종명 |
꽃색 |
초형 |
마릴린먼로 |
분홍색 |
대형 |
우라라 |
연분홍색 |
중형 |
마이 페어 레이디 |
분홍색 |
대형 |
에이꼬 |
적색 |
중형 |
체리 라이프 |
분홍색 |
대형 |
안제리카 |
황색 |
대형 |
안미스 히매 |
분홍색 |
대형 |
헌터스 포인트 |
황색 |
대형 |
엑셀아무르 |
분홍색 |
중형 |
써니 문 |
황색 |
중형 |
엑셀 러브리 송 |
분홍색 |
중형 |
에이 원 |
녹색 |
중형 |
바이오 신데렐라 |
분홍색 |
중형 |
왈츠 아이돌 |
녹색 |
중형 |
크리스마스 트리 |
백색 |
중형 |
허스키 허니 |
백색 |
중형 |
소피아 |
분홍색 |
중형 |
와인 칼라 |
적색 |
중형 |
나. 작형
1). 보통재배
하우스 야간온도 10℃ 정도로 재배하는 작형이며, 1-2월에 개화 집중
여름철 바람이 잘 불어 통풍이 좋고, 시원한 지대가 좋다.
2) 억제재배
겨울의 야간온도를 2-5℃ 정도로 낮게 관리하여 개화기를 봄이후로 지연시키는 작형이다.
만생종 중에서도 저온에 강한 품종을 선택한다.
3) 촉성재배
고랭지의 야간 저온을 이용하여 브라인더를 방지하고 개화촉진 및 상품생산을 목적으로 여름동안 고랭지에서 재배하는 작형이다. 고랭지로 이동이 빠를수록 개화가 촉진되며 주로 조생품종을 이용한다.
다. 관비재배
1) 적정양액농도 : 1.5㎳/㎝
2) 개화년도 출하분 : 6월-7월까지 양액의 질소농도를 1/2-1/3정도 줄여 시비
3)관비재배의 잇점
전용양액 사용으로 비용 절감
시비의 자동화로 노동력 절감
시비의 균형으로 생육 균일하고, 생리장해 예방
4) 양액조재시 물 1톤당 비료 소요량
비료명(A액) |
소요량(g) |
비료명(B액) |
소요량(g) |
Ca(NO3)24H2O |
708.3 |
NH4H2PO4 |
86.3 |
KNO3 |
75.8 |
KH2PO4 |
102.1 |
Fe-EDTA |
3.44 |
K2SO4 |
325.9 |
|
|
MnSO4 |
325.4 |
|
|
MgSO47H2O |
1.69 |
|
|
ZnSO44HO |
1.15 |
|
|
H3BO3 |
1.24 |
|
|
CuSO4 |
0.1 |
|
|
Na2MoO4 |
0.1 |
라. 심비디움 재배용 배지개선
우리나라는 매년 수백만달러의 난 식재재료(수태, 야자섬유 등) 가 수입되며 가격이 비싸므로 생산비 증가 원인이 된다.
현재 개발된 배지로는 훈탄이 경제성과 생육면에서 활용가치가 가장 높다
장기재배시 훈탄과 퍼라이트등과 혼합하여 사용한다
- 배지종류가 심비디움 품종별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
품종별 |
배지종류 |
초장 (㎝) |
엽수 매/위구경 |
위구경수 개/수 |
호하경수 개/분 |
화경장 (㎝) |
소화수 개/화경 |
허스키 허니 |
바크 |
58.9 |
10.6 |
4.8 |
2.8 |
44.0 |
13.6 |
암면 |
70.4 |
11.6 |
5.2 |
4.2 |
47.9 |
13.2 | |
훈탄 |
73.6 |
12.6 |
4.6 |
4.6 |
50.5 |
17.2 | |
왕겨 |
69.4 |
11.8 |
5.2 |
5.2 |
51.0 |
15.0 | |
마릴린 먼로 |
바크 |
63.3 |
9.6 |
3.2 |
1.6 |
37.4 |
7.6 |
암면 |
74.7 |
11.6 |
3.6 |
2.0 |
37.4 |
9.2 | |
훈탄 |
77.6 |
12.8 |
3.2 |
2.6 |
38.8 |
9.8 | |
왕겨 |
62.4 |
11.4 |
3.2 |
1.4 |
37.5 |
9.2 |
마. 기관 생장의 상호관계
1) 잎의 생장
중위엽(제6-9엽)은 엽폭이 넓고 엽신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화아 발생기까지 생장한다. 중위엽(제10-14엽)의 생육이 화아의 발생과 개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상위엽은 7, 8월에 생장이 빠르고 곧게 자라는 편이다.
50%정도 차광 재배하면 생육 양호하고 화아 수도 증가하나 80%이상 차광은 광합성율이 낮아져 잎이 부실하고 꽃눈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도 생긴다.
2) 벌브의 생장
잎의 생장후기인 초가을에 온도가 낮고 강한 햇빛이 쪼일 때 가장 좋다.
3) 뿌리의 생장
뿌리 생육적온은 25-27℃로 여름의 고온기와 겨울의 저온기에는 생장이 완만하며, 봄과 가을에 생장이 촉진된다.
4) 개화생리
꽃눈의 분화와 발육
벌브(위구경)기부의 액아에서 2-3개의 신초가 생장한다. 6월 중순에 화아 분화되어 겨울부터 이른 봄에 개화된다. 화아 형성은 10-15℃의 저온에 의해 이루어지고 15℃에서 화아 발육이 된다.
25℃이상 고온에서 화아가 고사하는 화비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여름철에 발생하는 리드(벌브에서 나온 새싹)는 전부 제거하고 10월 상중순 이후에 발생 시킨다. 리드 제거후 45-60일이면 새로운 리드가 나오고, 그 후 개화까지는 270일(9개월)에서 420일(14개월)쯤 걸린다.
꽃대 고사현상(화비현상)
여름철 고온기에 화아나 꽃대가 자라지 못하고 누렇게 변하여 고사되는 화비현상이 발생된다.
고온기에 많이 발생하므로 평지재배시 큰 문제가 된다.
-
브라인드 : 화아 형성 초기에 분화 및 발달 정지
-
블라스팅 : 화아 분화된 꽃대의 발달이 정지되고 고사함
바. 재배기술
1) 우량묘 와 식재재료
우량묘 구입 : 장기 계대배양에 의한 퇴화묘에 주의하고, 인기있는 품종을 선택한다
식재 재료 : 수태, 바크, 훈탄, 왕겨, 암면, 스폰지 조각, 야자피트, 경석, 마사 화산석 등을 한가지만 사용(단용)하거나 또는 적당한 비율로 섞어서 쓰고 있다
식재재료 구비조건 : 적당한 통기성 및 보수력, 무병무해, 구입용이, 가격저렴
2) 시비관리
고형비료 : 깻묵, 골분, 액비 및 고형성 비료
관 비 : 4종복비, 비료염
3) 온도와 광 관리
온 도 : 생육 적온은 20-25℃이고 야간은 이보다 10℃ 정도 낮은 것이 이상적이다. 1년째의 겨울 야간은 15-20℃로, 2년째는 10-15℃로, 개화당년은 2-15℃로 관리한다
광 관 리 : 심비디움은 호광성 난으로 기온이 아주 높지 않으면 강한 광선에서도 잘 자라고 화아 분화 이후는 다소 낮은 광선에서 잘 자란다. 차광은 50%가 적당하지만 일소현상이 일어나기 쉬운 대형종은 70%로 한다.
4) 꽃눈 형성 및 개화조절
개화 리드(lead)의 생장
상 벌브로 불리는 줄기의 비대한 부분에는 액아가 있고, 액아는 리드 벌브가 비대하기 전후에 각 마디에서 생긴다.
리드벌브는 일반적으로 가을부터 봄에 신장한다.
리드벌브의 생장은 고온장일, 강광, 다비조건 등에서 촉진된다
여러개의 액아중에서 화아로 되는 것은 리드 벌브의 기부로부터 2-4번째의 것인데 화아 분화는 온도조건과 리드 벌브의 생육상태 의해 분화 위치가 달라진다
화아 형성과 광
화아 형성은 일장에 관계없이 일어나지만 화아의 출현율은 광도가 높을수록 높다.
광도가 5만-7만 룩스하에서 잎의 도장을 억제하고 화아수를 늘린다.
화아 형성과 온도
보통 6-8월에 화아 형성
주간온도 : 30-20℃ 야간온도 : 20-10℃
리드 벌브의 생육조절
리드 벌브의 발생 조절은 소극적방법으로 필요시 남겨놓고, 불필요시 눈을 제거(눈따주기)한다.
생육초기 20℃ 이하에서 지속적 생장
고온이 지속되면 엽수감소 및 지엽과 리드 벌브의 발달이 조기완료 되어 충실하지 못하다
어린시기 : 고온은 생장을 촉진시켜 생육기간 단축, 저온은 생장을 완만하게 한다
생육후기 : 고온은 생육 끝나는 시기 지연, 저온은 영양생장에서 생식생장으로 전환 촉진
묘 구입 시기별 관리
가을에 구입한 중, 소형종 묘 : 리드 벌브의 발생시기는 다음해 여름 6-8월이 되는데 겨울 고온재배시 본수가 증가하고 발생시기가 빨라진다.
봄에 구입한 묘 : 연말부터 다음해 봄까지 리드 벌브가 발생되고, 겨울철 저온시 벌브 발생 촉진되고 고온시 억제 된다.
개화조절
온도에 의한 개화 반응 : 화아 완성부터 개화까지의 발달은 저온에서 촉진되고, 고온에서 억제된다.
-
적색, 분홍색계 : 저온 및 고광도, 자외선 통과되는 비닐하우스 재배 유리
-
황색, 녹색, 백색계 : 고온 및 저광도
고온 지속기간과 화아 고사와의 관계 : 화아고사 방지를 위해서는 고랭지 재배 및 냉방 등의 저온유지로 화아가 20일 이상 고온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화아 발육 지연
-
가온시작을 늦춘다
-
적아를 하여 신초 발생 지연시킨다
-
겨울철의 온도 낮게유지
5) 관수
관수 횟수 : 여름철은 아침 저녁으로 하루 두차례, 여름외에는 1-2일에 한번
관수 수질 점검 : 전기전도도(EC)가 높거나 나트륨 농도와 규산 함량이 높은 물은 사용하지 않는다. 규산이나 칼슘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물을 주면 잎이 하얗게 되어 상품성이 떨어진다.
6) 신초관리
리드 발생 조건인 다비, 고온, 다습 및 약광 등의 원리 활용
화분 당 개화 리드의 수는 중,대형종은 3개, 소형종은 4개를 넘지 않도록 한다.
- 심비디움의 리드 받는 방법 -
⊙◐⊙ |
⊙◐ |
|
⊙ |
○ 메리크론묘 |
○ |
○ |
○ |
○ |
◐ 제1차 리드 |
⊙◐⊙ |
◐⊙ |
⊙◐⊙ |
⊙ |
⊙ 개화 리드 |
소형종 |
중,대형종 |
소형종 |
중,대형종 |
|
'화훼재배 > 화훼재배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미의 주요 품종 특성 (0) | 2007.05.10 |
---|---|
장미의 재배적 특성과 이용 (0) | 2007.05.10 |
다알리아 (0) | 2007.04.29 |
데이지 재재법 (0) | 2007.04.28 |
매리골드 재배법 (0) | 2007.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