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버섯의 특징

1) 온도와 특징

ball02b.gif 여름양송이는 고온성 버섯으로 균사생장시 적온은 25∼30℃이고, 자실체 형성온도는 20∼25℃로서 양송이보다 5∼10℃높아 여름에도 재배가 가능하다.

ball02b.gif 버섯의 수확량은 양송이보다는 낮으나 자실체의 개체중이 평균 20.3g으로서 양송이보다 3배나 무거울 뿐만 아니라 갓이 두꺼우며, 줄기가 굵고 짧으며 육질이 단단하다.

(표1) 여름 양송이의 특성

구분

균사생장

온도(℃)

자실체형성

온도(℃)

개체중

(g)

갓직경

(㎝)

갓두께

(㎝)

대직경

(㎝)

대길이

(㎝)

여름양송이

양송이

25∼30

23∼25

20∼25

15∼17

20.3

7.8

4.8

3.0

2.0

1.8

2.1

1.2

1.6

2.7

2) 초발이 및 주기 소요일수

ball02b.gif 이 버섯은 높은 온도를 좋아함에도 불구하고 양송이보다 버섯 발생시기가 늦고 형성 기간이 길다. 복토후 첫 주기버섯이 발생되기까지는 22∼26일이 소요되며, 주기와 주기 사이는 약 10∼12일이 걸린다.


나. 퇴비제조

1) 기본제조

ball02b.gif 여름양송이 퇴비를 만드는 주재료, 유기, 무기태질소원 및 보조 재료는 양송이 퇴비제조시 사용하는 재료와 동일하다.


2) 재료배합 및 퇴비제조

ball02b.gif 여름양송이 퇴비제조를 위한 재료배합은 양송이 배합법을 기본으로 하여 약간 변형시켜 배합하여야 한다.
기본 배합에는 볏짚 100㎏당 계분 15%,요소1.2%그리고 석고 35%가 알맞다.

ball02b.gif 또한 고온기에 퇴비를 제조하기 때문에 석고의 첨가량도 양송이 보다 많이 첨가하는 것이 퇴비의 물리성 개선에도 좋았고 자실체 수량에도 영향을 주었다. 여름양송이 퇴비제조는 퇴적시 전질소 수준을 1.2%로 조절하고 입상시 퇴비수분이 70∼72%정도가 되도록 하고 이외는 양소이 가을재배 퇴비제조법에 준하여 실시하면 된다.

(표2) 전질소 수준별 여름양송이의 자실체 수량비교(농기연 1989)

전질소 수준(%)

자실체수량(㎏/3.3㎡)_

양송이

여름양송이

1.2

1.5

1.8

2.0

29.4

20.1

28.8

29.8

61.8

41.2

32.8

28.8


다. 종균재식 및 균사생장

ball02b.gif 종균재식시 준비과정과 재식방법은 양송이와 동일하게 실시하여야 한다. 다만, 재식후 퇴비온도를 25~28로 유지하여야 하고 균사생장시 탄산가스는 균사생장을 촉진시키는 경향이 있으므로 종균재식후 신문지 피목을 잘하여 탄산가스가 축적되도록 해야 하며, 재배사 습도는 퇴비수분이 건조되지 않을 정도로 유지해야 한다.

ball02b.gif 이 기간동안 환기를 특별히 실시할 필요는 없으나 퇴비온도가 30℃이상 상승될때는 환기를 하여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그리고 고온기인 여름동안에 재배를 하기 때문에 종균재식시 퇴비두께는 20㎝정도가 알맞는데 이보다 퇴비량이 너무 많아지면 재발열의 우려가 잇고 온도조절이 곤란하다.

ball02b.gif 종균 재식량은 5파운드를 권장하고 있으나 이보다 종균량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이 균사활착이 양호하고, 잡균의 피해율도 적으며 수량도 증가한다. 종균재식후 15∼20일이 경과하면 복토를 할 수 있는데 여름양송이는 양송이보다 균사가 가늘고 약하게 보여 복토시기를 늦추는 경우가 있으나 복토후 2∼3주가 지나면 퇴비층내에 균사가 하얗게 되므로 퇴비내 균사가 90∼95%정도 자랐을 때 복토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버섯의 특징은 퇴비층 내의 균사가 계속 생장을 한다.

(표3) 퇴비 두께와 종균 재식량이 수량에 미치는 영향(농기연 1987)

퇴비두께(㎝)

종균재식량(Lbs/3.3㎡)

평균

3

4

5

15

20

25

20.2

36.1

11.3

20.9

30.8

23.9

24.5

43.9

25.0

21.9

36.9

20.1

평 균

22.5

25.2

25.2

31.1

※ 버섯 수량:㎏/3.3㎡


라. 복토 균상관리 및 수확

ball02b.gif 여름양송이 수량은 표에서와 같이 유기물 함량이 낮은 식토, 식양토 또는 사양토에서 수량이 현저히 낮으며 유기물 함량이 높은 토탄, 식양토 80%+토탄 20%는 수량이 높았다. 따라서 여름양송이는 복토재료의 양부에 따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크게 나타나고 있다.

(표 4) 복토재료와 여름양송 수량과의 관계(농기연 1978)

복토재료

조사항목

토탄

(100%)

식양토80+

토탄20%

식양토

(100%)

사양토

(100%)

식토

(100%)

수량(㎏/3.3㎡)

개 체 중 (g)

초발아소요일수(일)

38.2

21.7

36.0

42.4

20.2

38.0

17.0

21.7

39.0

14.1

21.5

40.0

6.4

22.3

43.0

ball02b.gif 또한 자실체 형성은 토탄구에서 촉진되었고 자실체 형성기간이 타복토재료에서 보다 1∼4일이 단축되었다

ball02b.gif 복토재료의 적정 pH는 5.8정도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으며 pH7이상에서는 균사생장이 저조하였다.

ball02b.gif 복토후 균상온도는 25∼28℃로 유지하고 재배사 습도는 90%이상 유지되어야 하며 특히 복토층내 초기 균사생장과 초발이 기간주에 재배사 습도 유지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ball02b.gif 또한 목토내 균사가 빨리 자랄 수 있도록 재배사의 환기를 가급적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토후 7일쯤이면 복토층이 균사가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자실체 발이 유기를 위해서 10∼12일이 소요된다. 이때 퇴비온도는 23±2℃가 되도록 유지해야 하면 버섯이 발아되기 시작하면서부터는 양송이의 복토관리 방법처럼 하여야 한다.

ball02b.gif 첫 주기때 흔히 균상 가장자리에서 먼저 버섯이 발생되는데 이는 고온에서 퇴비균사 생장 및 복토 후 부상이 되고 발이 온도도 이와 유사하기 때문에 퇴비온도가 낮은 가장자리에서 먼저 버섯이 형성되는 것으로 본다.

ball02b.gif 수확기간 중에도 재배사내 온도를 22±2℃로 유지하여야 정상적인 버섯이 형성된다. 수확기는 버섯이 완전히 성숙하면 주름살이 검게 변하여 품질이 급격히 손상되므로 적기를 잘 결정해야 한다.
따라서 여름양송이는 갓이 개열되기전 상태에서 수확하는 것이 생체저장 및 보존면에서 유리하다.


마. 균상진단

ball02b.gif 퇴비에 종균을 심은후 균사가 잘 자라지 못하거나 복토층의 이상, 잡균의 발생 등으로 재배를 실패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ball02b.gif 이 같은 경우에는 균상을 자세히 진단하여 그 원인을 밝히게 되면 쉽게 대책을 세울 수 있으며 실제 재배시 균상진단 방법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1) 퇴비중 균사의 생장이 부진할 때

ball02b.gif 퇴비는 양호하나 종균의 생장이 부진하다 →종균불량

ball02b.gif 퇴비의 물리성은 양호하나 균사 생장이 안 된다→ 야외퇴적 및 발효불량

ball02b.gif 과습하다 →후발효불량, 암모니아과다

ball02b.gif 퇴비가 검은 빛을 띠고 있다.→ 후발효 불량

ball02b.gif 붉은 빛을 띠고 흰가루가 많이 있다.→ 고온 및 건조

ball02b.gif 재배사에 악취가 난다 →후발효 불량

ball02b.gif 퇴비에 농록색 깨알같은 잡균이 있다.→ 오리브곰팡이, 고온발효

ball02b.gif 퇴비의 먹물버섯이 발생하였다.→과습 및 후발효 불량

ball02b.gif 후발효전 퇴비에 흰 명주실 같은 균사가 보인다.→ 괴균병

ball02b.gif 종균이 4∼5일간 잘 자라다가 소멸된다. →퇴비불량

ball02b.gif 재배사 전체가 생장이부진한 경우

  • 상하가 구분된때→ 후발효 및 온도 부적당
  • 군데군데 자라지 않은 부분이 있을 때→ 퇴비불량, 과습, 병해충

ball02b.gif 토비속의 곡립종균에서 잡균이 발생한다→ 종균불량

ball02b.gif 곡립에서 균사발생이 늦고 균사가 특별히 짙고 두껍다.→종균발생

ball02b.gif 퇴비에 이상이 없는데 잡균발생이 심하다→ 종균불량, 재배사 과습


2) 균사가 생장한 후 쇠퇴 혹인 사멸될 때

ball02b.gif 퇴비의 색이 담갈색으로 남아 있다.→ 암모니아 및 기타 유해물질

ball02b.gif 가는 솜털같은 균사는 없고 굵은 균사만 있다→ 암모니아 및 기타 유해물질

ball02b.gif 균상의 중심부 특히 상단에 먹물버섯이 발생하고 내부의 균사가 소멸된다. →퇴비의 재발열

ball02b.gif 균사가 잘 자란후 곡립에서 잡균이 발생한다. →퇴비의 재발열

ball02b.gif 균사가 국부적으로 소멸되면서 악취가 난다. →선충

ball02b.gif 균사가 국부적으로 자라지 않는 부분이 있고 출입구나 벽쪽의 퇴비에서 소멸된다. → 퇴비과습 및 선충

ball02b.gif 균사가 소멸되면서 표면에 호도알 같은 유백색 덩이가 발생한다.→ 괴균병


3) 균사 생장의 비정상

ball02b.gif 생장한 균사가 희미하고 잿빛가루를 뿌려 놓은 듯하다→ 퇴비불량

ball02b.gif 균상의 표면과 밑에 균덩이가 형성된다 →종균불량

ball02b.gif 균사는 잘 자랐으나 내부의 곡립이 균사와 유리되어 있다→ 종균불량

ball02b.gif 균상표면에만 균사가 엉성하게 자라고 균사가 자라지 못한다 →암모니아 및 유해물질의 축적

ball02b.gif 접종된 종균의 주위에는 균사가 적고 곡립의 형태가 뚜렷하게 팽창되어 있다. → 종균불량


4) 복토층의 이상

ball02b.gif 복토에 균사가 잘 자라지 않는다. →복토재료, pH, 수분, 환기, 선충, 응애, 약해

ball02b.gif 복토의 중간까지는 잘 자라나 표면에 나오지 않고 정지된다. →실내온도를 높이고 신문지 위에 관수

ball02b.gif 복토층에 균사가 왕성이 자라서 균덩이가 된다. →종균불량, 복토재료 불량

ball02b.gif 복토층에 균덩이가 많다→ 종균불량

ball02b.gif 복토층에 균사생장은 왕성하나 버섯발생이 부진하다.

ball02b.gif 균사는 정상적으로 자랐으나 버섯발생이 불량하다 → 퇴화, 혼종 ,병충해, 관리불량

ball02b.gif 초기에는 정상적으로 수확되나 후기에는 격감된다 →병충해, 퇴비과습이나 건조

ball02b.gif 정상적인 재배가 계속되다가 차츰 수량감소, 기형버섯이 발생된다 →바이러스,미이라병

ball02b.gif 첫 주기부터 버섯이 깊게 나고 갓 부분이 복토를 엎고 자란다.→복토건조

ball02b.gif 어린 버섯은 많이 형성되나 자라지 못하고 사멸된다 →관리불량

ball02b.gif 닭벼슬 모양의 버섯이 많이난다. 균상에 도료칠을 할 경우

ball02b.gif 수확중 버섯 발생이 갑자기 중단된다 병해충 온도

ball02b.gif 수확후기 버섯 발생량은 많으나 생장이 부진하다 건조

'버섯재배 > 버섯'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철 표고재배장 관리  (0) 2007.05.04
동충하초 재배기술-홍성  (0) 2007.05.01
양송이버섯재배관리  (0) 2007.05.01
표고버섯 재배-천안  (0) 2007.05.01
[스크랩] 느타리버섯 접종하기 (원목재배)  (0) 2007.04.28

+ Recent posts